Skip to content
Home »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181 개의 정답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181 개의 정답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트레이더 두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9,872회 및 좋아요 56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볼린저밴드 #해외선물강의 #두달트레이더
볼린저밴드 지표를 활용한 해외선물 트레이딩 방법공개 합니다.
(진짜 1억수익 인증 공개, 지금 확인하세요)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IOUxpVGOnHU
소통방입장 : https://bit.ly/3ABF21A
참여코드 pw: [1084]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완전정복 – 매매기법은?

볼린저 밴드 보는 법과 매매 기법 대부분의 보조지표는 다소 비슷비슷하거나 평범한 모습을 보입니다만, 가끔은 특이하면서도 무언가 심오해 보이는 …

+ 더 읽기

Source: overshooting.tistory.com

Date Published: 3/20/2021

View: 5082

볼린저밴드 매매기법 – 넌센스 라이프

볼린저밴드를 하나만을 활용한 매매가 아닌 다른 지표와 함께 매수하는 방법이다. 주가가 밴드 상한선에 접근했을 때 각종 지표를 활용하여 주가의 강세를 …

+ 여기에 표시

Source: baeck.tistory.com

Date Published: 10/1/2021

View: 8374

볼린저밴드 총정리 – 매매 기법 및 설정 하는 방법 – Jun Talk

볼린저밴드 총정리 – 매매 기법 및 설정 하는 방법. 불독s 2021. 3. 27. 09:10.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하게 되면 어느 시점이 매수 및 매도 시점인지 모르고 투자하시는 …

+ 여기에 보기

Source: juntalk.tistory.com

Date Published: 7/11/2021

View: 2972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주식차트 보는법] 27일 밴드폭을 이용한 …

볼린저밴드 총정리 – 매매 기법 및 설정 하는 방법. 불독s 2021. 3. 27. 09:10.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하게 되면 어느 시점이 매수 및 매도 시점인지 모르고 투자하시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you.covadoc.vn

Date Published: 3/2/2022

View: 7383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 Economics – Google Sites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대부분의 주가는 볼린저 밴드의 상한선이나 하한선에서 기존 방향과 반대되는 움직임을 보일 때 일시적이나마 추세가 새롭게 형성되며 상한 …

+ 여기에 표시

Source: sites.google.com

Date Published: 12/30/2022

View: 524

[기술적 보조지표 2탄] 볼린저 밴드의 매매 기법 – 제테크의 바이블

볼린저 밴드의 정의와 매매기법. 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의 주가는 하루도 빼먹지 않고 변한다. 주가는 그 회사의 실적과 영업경쟁력, 미래의 성장가능성은 물론 그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ible.tistory.com

Date Published: 3/8/2021

View: 1231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주식차트 보는법] 27일 밴드폭을 이용한 …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완전정복 – 매매기법은? 볼린저 밴드 보는 법과 매매 기법 대부분의 보조지표는 다소 비슷비슷하거나 평범한 모습을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you.dianhac.com.vn

Date Published: 10/3/2021

View: 8668

볼린저밴드 매매기법 by 성민 박 – Prezi

볼린저 밴드란 · 주식은 변동성 자체가 가변적이고 ·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한 매매 범위를 · 찾기 위해 만든 기술적 지표 …

+ 여기에 보기

Source: prezi.com

Date Published: 11/30/2021

View: 1917

볼린저밴드로 주식 차트 분석하는 방법

존 볼린저의 3가지 매매기법 · ① 밴드의 폭이 축소되면서 밀집구간을 거친 후에 주가가 상한선을 상향 돌파시에는 매수, 하한선을 하향이탈할시에는 공매도한다. · ② 주가 …

+ 여기에 표시

Source: md2biz.tistory.com

Date Published: 2/23/2021

View: 634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Author: 트레이더 두달
  • Views: 조회수 19,872회
  • Likes: 좋아요 569개
  • Date Published: 2022. 7. 2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39zm_be-df0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완전정복 – 매매기법은?

반응형

볼린저 밴드 보는 법과 매매 기법

대부분의 보조지표는 다소 비슷비슷하거나 평범한 모습을 보입니다만, 가끔은 특이하면서도 무언가 심오해 보이는 보조지표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여러 기술적 분석에서 애용되고 있는 볼린저밴드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가격의 상대적인 높고 낮음에 대한 판단 기준과 함께 변동성과 추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활용도 높은 지표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볼린저밴드와 이를 이용한 매매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볼린저밴드란?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는 1980년대 존 볼린저가 개발한 기술적 분석 보조지표입니다. 엔벨로프 지표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일정한 폭이 아닌 변동성에 따라서 변화하는 특이한 모습으로 무언가 엄청난 정보를 줄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 존 볼린저(John A. Bollinger)

미국의 저술가이자 재무분석가. 1983년 주가 기술적 분석 도구인 ‘볼린저 밴드’를 개발했습니다. 저서로 볼린저 밴드 투자기법이 있으며 국내에도 출판되어 있습니다.

아래에서 볼린저 밴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 계산식

볼린저 밴드의 계산식을 살펴볼까요? 볼린저밴드는 기본적으로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의 3요소]

구분 계산법 상한선 중심선 + 2σ 중심선 20일 단순 이동평균선 하한선 중심선 – 2σ

※ σ: 20일 동안 종가의 표준편차

※ 20일 이평, 2σ는 일반적인 설정값이며,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20일과 2σ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즉, 볼린저 밴드는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에 표준편차의 2 배수만큼 떨어뜨린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그리기

추가로, 볼린저 밴드를 해석할 때 여기에는 정규분포의 개념을 적용하여 설명하기도 합니다.

※ 정규분포

확률론과 통계학에서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는 연속 확률 분포의 하나입니다. 정규분포는 수집된 자료의 분포를 근사하는 데에 자주 사용되는데, 이는 중심극한정리에 의하여 독립적인 확률변수들의 평균은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위키백과

정규분포는 다음과 같은 확률분포함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 출처: 위키백과

이때, 중심에서 표준편차(σ)의 배수만큼 이내에 값이 존재할 확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준편차 배수에 따른 확률

즉, 평균에서 ±2σ 이내에 있을 확률은 95.4%가 됩니다. (한동한 유행했던 6-sigma도 정규분포의 표준편차에서 비롯된 용어죠)

주가가 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면, 주가가 볼린저 밴드 안에 위치할 확률이 95.4%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주가는 정규분포는 아니기 때문에 확률 값은 다소 다릅니다. 종합지수 일봉(2010년 ~ 2021년)을 기준으로 측정해보면 종가가 밴드를 벗어날 확률이 약 12% 정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체거래일 (2010 ~ 2021) 밴드 범위 밖 벗어날 확률 2962 349 11.78%

볼린저밴드 보는 법

사실 밴드의 실제 활용에 있어서 95.4%와 같은 숫자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볼린저 밴드는 이동평균을 기준으로 변동성을 반영한 상단선과 하단선을 표시한다는 것이 핵심인데요, 이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횡보구간에서는 밴드의 상-하한선 폭도 축소되며, 조만간 가격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가격의 등락폭이 커지면 밴드의 상-하한선 폭이 확대된다. 이때 본격적인 추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가격이 볼린저밴드 상-하한선을 돌파하는 것은 확률적으로 드문 경우이며 조만간 추세의 반전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100% 이렇다”라기보다는 “현재 상태가 이러이러하면 향후 이러한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라는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엔벨로프와의 차이

엔벨로프와 비교해보면 볼린저 밴드의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이평선 기준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엔벨로프와 달리 볼린저밴드는 변동성에 따라서 폭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굵은선이 엔벨로프

주가에 따라서 밴드폭이 출렁거리면서 꺾이고 확장하는 모습이 무언가 신기해 보이죠? 사실 조금 특이하게 보이는 것은 2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밴드를 그려줘서 그렇습니다.

만약 20일선의 영향을 제거하고 살펴보면 0을 기준으로 위·아래 밴드가 동일하게 확장, 축소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평선의 영향을 제거한 밴드 움직임

반응형

2. 볼린저밴드 파생지표

볼린저 밴드만으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만, “정량적”인 매매기법을 도출하기에 조금 아쉬운 면이 있기도 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약간의 가공을 거쳐서 상단/하단/기준선을 이용한 새로운 파생지표가 탄생하게 되는데요, 바로 다음의 2가지입니다.

Bollinger Band Width

Band %b

Bollinger Band Width

밴드의 수렴과 발산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Bollinger Band Width라는 지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BBW = ( 볼린저밴드 상단 – 볼린저밴드 하단 ) / 기준선

수식을 보면 결국 기준선(이동평균선) 가격 대비 볼린저 밴드의 폭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는 보조지표입니다. 밴드폭의 수렴-발산에 대한 정량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특정 수치 이하는 수렴 구간으로, 그 이상으로 진입하는 경우는 발산인 것으로 판단 기준을 삼을 수 있겠죠? 다만 오실레이터 성격의 지표는 아니기 때문에 개별 종목의 평균 변동성에 따라서 적정 수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Band %b

현재 주가가 어느 정도의 강세를 보이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Band %b라는 지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밴드의 폭 대비 현재 주가가 어느 정도에 위치해 있는지 파악하는 지표로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Band %b = (주가 – 볼린저밴드 하단) / (볼린저밴드 상단 – 볼린저밴드 하단) × 100

계산식에 따르면 현재의 주가가 볼린저 밴드 폭 내에서 어느 정도에 위치하고 있는지 정량적인 값(%)을 제공해줍니다. 주가는 밴드의 상, 하단을 뚫고 나갈 수 있기 때문에 100% 이상, 혹은 0% 이하로 갈 수도 있습니다.

위 지표를 사용하면 밴드폭을 기준으로 수치적으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Band %B가 80% 이상이면 강세, 20% 이하이면 약세” 등으로 판단 기준을 세워볼 수 있겠죠?

3. 볼린저밴드 매매기법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매매기법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존 볼린저의 책에서 언급한 내용을 위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세부 전략은 존 볼린저의 책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여기서는 다음 세 가지 매매기법의 기본 개념과 철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변동성 돌파

추세 추종

반전

3.1 변동성 돌파

볼린저 밴드를 이용한 첫 번째 기법은 변동성 돌파 기법입니다. 밴드폭이 축소되어 밀집구간을 거친 후, 상단 밴드를 돌파할 때 매수하고 하단 밴드를 하향 이탈할 때 (공)매도하는 방법입니다.

주가가 횡보구간을 거친 후 한 방향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진입.

차트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변동성 돌파 – 매수 변동성 돌파 – 매도

성공만 한다면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볼린저밴드 상·하단을 돌파한다는 것은 가격이 어느 정도 움직인 이후여서 심리적으로는 저항감이 있는 편입니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실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돌파 실패

돌파 전 횡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앞에서 언급한 Bollinger Band Width 지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 몇 개 봉의 Band Width 수치가 특정값 이상인 적이 있었다면 해당 신호는 필터로 걸러주는 식으로 매매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3번째 매수 신호는 무시

3.2 추세 추종 매매

두 번째 매매기법은 상·하단 밴드와 추가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추세추종 기법입니다. 주가가 밴드 상한선에 접근하고 다른 보조지표가 강세를 확증할 때에는 매수, 주가가 하한선에 접근하고 지표가 약세를 확증할 때에는 매도하는 방법입니다.

볼린저밴드 상·하한선 접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Band %b 지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수를 예로 들면, 추가 보조지표로 MACD 오실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매수 조건을 설정해 볼 수 있습니다. (단순 예제입니다!)

Band %b > 90%

MACD OScillator>0

볼린저 밴드를 활용한 추세추종매매

사실 1번의 변동성 돌파 매매기법과 비슷한 위치에서 신호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급격한 변동성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진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3.3 반전 (역추세 매매)

반전 기법은 주가가 반전하는 지점을 찾아내 매수, 매도하는 기법입니다. 주가가 밴드 하한선을 여러 번 건드리거나 하향 돌파한 상태에서 주가지표가 강세를 보이면 매수, 밴드 상한선 근처에서 지표 혹은 패턴이 약세를 보이면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인터넷 등에서 볼린저 밴드를 설명할 때 상, 하단을 터치하거나 돌파하면 반대 방향으로 진입한다는 식으로 설명하기도 하는데, 그보다는 최소한의 “반전의 시그널”을 보여줄 때에 진입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매수를 예로 들면, 주가가 밴드 하단에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 매수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쌍바닥 패턴

다이버전스 발생

보조지표가 강세로 전환

상승형 캔들 패턴

아래는 반전 매매기법을 활용한 매수 방법의 한 간단한 예입니다. (단지 이해를 위한 샘플입니다!)

사전 조건 : 최근 5봉 이내에 밴드 하단 아래에 종가가 형성된 적이 있는 경우

매수 : RSI가 30선 상향 돌파시 매수

진입에 성공한 경우의 차트를 볼까요? 경우에 따라서는 제법 큰 추세를 먹을 수 있습니다.

캔들, RSI 모두 쌍바닥 패턴 발생

물론 항상 맞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는 종합지수가 코로나 발생으로 폭락하던 2020년 초반 차트인데, 최초의 신호는 실패하였으며, 두 번째 신호는 비교적 바닥을 잘 잡아내었네요. 여기서도 캔들과 RSI 지표가 쌍바닥 패턴의 형태를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신호 발생 후 하염없이 하락하기도 합니다.

실패 신호

반전 매매기법은 상대적으로 저점 매수가 가능해서, 심리적 저항감이 앞의 두 가지 기법에 비해서는 적은 편입니다.

4. 볼린저 밴드의 효용성

볼린저 밴드는 현재 가격의 수준과 변동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해줍니다. 하지만 향후 주가가 어떻게 될지를 알려주지는 않습니다. 더 오르는 방향으로 진행될지, 꺾이는 결과가 나타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변동성이 다시 줄어들지 늘어날지도 알 수 없죠.

하지만 매매 기준을 쉽게 설정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좋은 지표임에는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다음 두 개의 매매 전략을 비교해 볼까요?

추상적 구체적 주가가 급격하게 많이 빠졌을 때 추세 전환이 기대되면 매수 최근 5개 봉의 종가가 밴드 하단 아래로 간 적이 있고 RSI가 30을 상향돌파하면 매수를 하자

두 가지 모두 의도하는 바는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우측의 전략이 확실하게 명료합니다. (물론 수익이 난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해당 매매 방법을 사용한다면 누가, 언제 매매를 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볼린저 밴드는 매매 기준을 세우는 데 있어서 변동성과 가격 수준을 포함한 기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효용성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이번 글에서는 기술적 분석의 보조지표 중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지표 중 하나인 볼린저 밴드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파생지표와 함께,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단순하게 볼린저밴드를 활용하는 것만으로 100%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만, 다양한 기준을 설정해볼 수 있으므로 매매의 판단 기준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되는 지표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

볼린저밴드 매매기법

볼린저밴드란?

1980년대 존 볼린저라는 투자전문가가 고안해 낸 지표로, 주가의 변동이 표준 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주가를 따라 위아래로 폭이 같이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주가를 그 밴드를 기준선으로 판단하고자 고안된 지표다.

볼린저밴드 보는 법

볼린저밴드 상한선,중심선,하한선

볼린저밴드는 위 사진처럼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으로 구분된다. 볼린저밴드는 추세지표로 거의 활용되며 주가가 상한선을 돌파하면 상향(주가가 오름)으로, 하한선을 돌파하면 하향(주가가 내림)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중심선은 이동평균선으로서 보통 20 이동평균값으로 적용된다.

볼린저밴드 매매법

1. 상한선, 하한선의 폭 활용

볼린저밴드는 상한선, 하한선이 주가 가격의 영향을 받아 수축과 확장을 반복한다. 볼린저밴드가 수축하고 주가가 박스구간에 있다가 상한선을 돌파할 때 매수로 본다. 반대로 하한선을 돌파하면 매도로 본다.

볼린전밴드 박스돌파 매수

위 차트를 보면 볼린저밴드 폭이 수축하고 주가가 약 5개월간 박스에 갇혀 있다. 매수 캔들을 보면 시가부터 갭으로 강하게 볼린전 밴드 상한선을 뚫어 주었으며, 박스구간 또한 시가 갭으로 강하게 돌파하고 시작하는 걸 볼 수 있다. 매수 캔들 이후 추세가 상승하는 걸 볼 수 있다.

볼린저밴드 박스돌파 매도

위 차트를 보면 강한 하락 후에 볼린저밴드 하한선을 지지받은 후 한 달간 작은 박스구간을 만들었다. 매도 캔틀을 보면 그동안 지켜주던 박스구간 지지라인을 깨고 볼린저밴드 하한선마저 뚫어버렸다. 매도 캔들 이후 추세가 하락하는 걸 보여주고 있다.

2. 추세 활용법

볼린저밴드를 하나만을 활용한 매매가 아닌 다른 지표와 함께 매수하는 방법이다. 주가가 밴드 상한선에 접근했을 때 각종 지표를 활용하여 주가의 강세를 나타낸다면 매수, 반대로 하한선에 접근했을 때 각종 지표가 약세를 나타낸다면 매도한다.

볼린전밴드 추세활용 매수

위 차트는 볼린저밴드, 이동평균선, 일목균형표, MACD를 활용했다.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면 볼린저밴드 상한선에 캔들이 접촉했고, 이동평균선은 5일선이 20일선과 60일선을 동시에 골든크로스 했다. 일목균형표 또한 선행스팬 1,2 보다 캔들이 위에 위치해 있으며, MACD 또한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바뀌어 매수신호를 주고 있다. 이렇듯 여러 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차트가 상승추세임이 증명되면 매수한다.

볼린저밴드 추세 활용 매도

위 차트 또한 매수 차트와 같은 지표들을 활용했다. 노란색 표시 부분을 보면 캔들이 볼린저밴드 하한선을 돌파했으며, 이동평균선도 5일선이 20일선과 60일선을 데드크로스 했다. 일목균형표는 주가가 갭으로 빠지면서 선행스팬 밑으로 빠졌으며, MACD 또한 매도 신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단기 박스구간에 지지선마저 무너지는 구간이다. 이렇듯 여러 가지 지표가 하락 추세임이 증명되면 매도한다.

3. 반전 매매법

볼린전 밴드에서는 상한선을 저항선으로 보고, 하한선을 지지선으로 본다. 주가가 상한선을 돌파하려는 여러 번의 시도가 있었으나 돌파하지 못하고 주가가 힘이 점점 약해진다면 매도, 반대로 주가가 하한선을 돌파하려는 여러 번의 시도가 있었으나 주가가 힘이 점점 약해진다면 매수로 본다.

볼린저밴드 반전매매 매수

위 차트는 주가가 하향하며 볼린저밴드 상한선에 접촉 없이 하한선을 계속 돌파 시도하고 있다.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면 볼린저밴드 하한선을 돌파하려는 건 똑같지만 거래량을 지표를 보면 앞에서 돌파시도 자리들보다 거래량이 현저히 줄어든 걸 알 수 있다. 거래량 지표를 일종의 힘으로 보고 매도세가 약해졌다는 판단하에 매수를 하는 방법이다.

볼린전밴드 반전매매 매도

위 차트에서 주가가 처음 볼린저밴드 상한선을 돌파하려는 자리를 보면 강한 거래량이 같이 들어오고 있다. 돌파 후 다시 하락했지만 하한선에 접촉 없이 계속해서 상단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나오고 있다. 그리고 노란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면 여전히 상한선을 돌파하려 시도하지만 캔들을 보면 앞에 장대 캔들과 다르게 현저히 작아져 있다. 거래량도 보면 처음 돌파하려던 자리에서는 강한 거래량이 들어왔지만 그 이후 돌파를 시도할 때마다 거래량이 점점 작아지면서 노란 부분에서는 거래량 또한 현저히 줄어든 걸 볼 수 있다. 이렇듯 캔들과 거래량을 보고 힘이 주가가 힘이 약해졌다고 판단되면 매도를 하는 방법이다.

위 세 가지 매매방법은 볼린저밴드를 만든 볼린저가 추천하는 매매방법이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1번과 2번을 합쳐서 같이 활용해야 하며, 3번 같은 경우는 위험한 매매라 생각이 되기 때문에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1번과 2번을 합쳐서 매매한다고 해도 주식의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다. 볼린저 밴드는 어디까지나 추세지표로서 참고만 해야지 절대적인 매매 지표로 활용해선 안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매수를 한다면 단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하며, 장기적 관점으로 다가간다면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볼린저밴드 총정리 – 매매 기법 및 설정 하는 방법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하게 되면 어느 시점이 매수 및 매도 시점인지 모르고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럼 매수/매도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1980년대 존 볼린저(John Bollinger)에 의해 개발된 볼린저밴드 보조지표를 사용하여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매수, 매도 시점을 알 수 있는 볼린저밴드의 의미와 예제 문제 풀이를 해보겠습니다.

<목차>

1. 볼린저 밴드란?

2. 지지선과 저항선

3. 횡보 추세 매수, 매도 시점

4. 볼린저밴드의 밴드 폭 특징

5. 볼린저밴드 지표 설정

6. 볼린저밴드 예제 풀이

1. 볼린저 밴드란?

볼린저밴드의 정의는 주가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주가 변동성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선(주가 이동평균선) 기준으로 상한선과 하한선으로 변동폭을 보여줍니다. 글로 이해하기 어려우니 그림으로 바로 넘어가겠습니다.

볼린저밴드란?

업비트 볼린저밴드를 예시로 가져왔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볼린저 밴드입니다. 구성을 보면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주가가 이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회색으로 칠해진 부분에서 맨 위 검은색 선을 상한선, 중간에 있는 것을 중심선, 맨 하단에 있는 선을 하한선이라고 합니다.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에서 밴드의 폭이 넓어지고, 횡보 추세, 즉 보합 구간에서는 밴드 폭이 좁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볼린저밴드의 주요 특징 : 볼린저는 주가의 95% 이상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임을 보인다.

2. 지지선과 저항선

볼린저밴드의 지지선과 저항선

볼린저밴드에서 상승추세이 중간에 있는 중심선은 지지선이 되고, 상한선은 저항선이 되어 움직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 추세에서는 중심선이 저항선이고, 하한선이 지지선이 됩니다. 즉, 상승과 하락 추세가 만들어지면 중심선이 지지선 또는 저항선이 되며, 상한선은 저항선, 하한선은 지지선이 됩니다. 이 사실을 이용해서 추세를 확인하고 매수, 매도 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횡보 추세 매수, 매도 시점

횡보 추세 매수, 매도 시점

횡보 추세에서 매수와 매도가 가능합니다. 단, 이 방법은 단타 시에 주로 사용되며, 계속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직장인 분들은 하기 힘든 매매 방법입니다. 위 그림의 왼쪽부터 보시면, 약간의 상승 추세에서 지지선(중심선) 아래로 주가가 떨어지는 것이 보입니다. 이때 추세선 분석법과 같이 분석하여 매수를 한 후에 지지선(상한선)을 이탈하려다가 떨어지는 시점이 매도 시점입니다. 빨간색 네모칸 부분을 보시면 하락 추세에서 지지선(하한선)이 잠깐 깨졌다가 올라가는 것이 보입니다. 보통 이렇게 하한선을 뚫고 다시 상승하는 경우 대부분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가 있기 때문에 많은 전문투자자들이 이때를 매수 시점으로 잡고 손절가 확정 및 매도 시점을 파악합니다. 빨간색 네모칸의 매수 시점에서 매수를 한 다음, 빨간색 네모칸 오른쪽에 있는 매수 시점에서 손절을 하거나 버티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저의 경우 이 지점의 지지선(하한선)이 깨지지 않았기 때문에 조금 더 버틴 다음 그림의 맨 오른쪽에 있는 매도 시점에서 매도를 했을 겁니다.

4. 볼린저밴드의 밴드 폭 특징

볼린저밴드의 밴드 폭 특징

볼린저 밴드의 횡보 및 보합 구간은 밴드 폭이 좁은 경향성을 보이며, 상승, 하락 추세에서는 밴드 폭이 굉장이 넓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상승추세 구간에서 주가가 상한선을 타고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주가가 떨어진다고 매도하는 것이 아니고, 추세선을 그어서 그 추세가 깨지는 시점에 매도를 해야 합니다. 위 그림에서 어느 시점이 매도 시점인지 바로 이해가 가시죠?

5. 볼린저밴드 지표 세팅

업비트 볼린저밴드 지표 설정 방법

업비트 볼린저밴드를 예시로 가져왔습니다. 그림에서 빨간색 네모 칸에 있는 글씨를 두번 연속 클릭하시면 화살표와 같이 지표 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지표조건설정, 라인 설정, 기준 설정, 스케일 등이 있는데, 여기서 지표조건설정과 라인 설정만 바꾸어주시면 볼린저밴드를 보시는 데,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이제 지표조건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플랫폼의 볼린저밴드 세팅 방법 : 위 방법으로 설정 화면에 들어가지지 않는 다면, 빨간색 네모칸 주변에 설정 버튼 및 아이콘이 있을 겁니다. 그것을 클릭해주시면 설정 화면에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설정화면 안의 내용은 대부분 동일합니다.

라인 설정 :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볼린저밴드 선의 색깔, 두께 등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지표 의미

위 그림은 볼린저밴드의 지표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Period와 D1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eriod(기간) : 몇일의 이동평균선으로 할 것인지 설정하는 곳, 대부분의 플랫폼에서 20일이 기준입니다.

D1(Distribution) : 표준정규분포 값을 설정하는 곳이며, 평균을 ‘0’으로 변환하여 편차가 실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2’라는 숫자가 대부분의 플랫폼의 기준입니다. ‘2’의 의미는 표준편차에서 x2를 한다는 의미인데, 볼린저밴드에서 상한선과 하한선 안에 캔들이 위치할 확률이 95.44%라는 의미입니다.

위 그림과 동일하게 설정을 하면 아래와 같인 값으로 상한선, 하한선, 중심선이 형성됩니다.

중심선 : n(20)일 이동평균선

상한선 : n(20)일 이동평균선 + 2표준편차

하한선 : n(20)일 이동평균선 – 2표준편차

6. 볼린저밴드 예제 풀이

볼린저밴드 예제1 매도, 매수 시점

볼린저밴드 예제입니다. 볼린저밴드를 보시면 하락 추세에 하한선 아래로 캔들이 아래로 튀어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하락 추세에서 매수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여기는 정말 고수의 영역, 초단타 영역입니다. 저라면 약간의 횡보 추세인, 3번째 매수 시점에 매수를 할 것 같습니다. 그다음에는 상한선을 뚫고 내려가기 직전에 매도를 하거나, 추세선을 그어보고 홀딩을 할 것인지 결정을 하시면 됩니다.

볼린더밴드 예제2 매도, 매수 시점

횡보 구간에 있다가 갑자기 밴드 폭이 점점 늘어나면서 상승 추세에 접어듭니다. 그림에 나와있는 매수 시점은 정말 잡기 어렵습니다. 아마 조금 더 오른쪽에서 매수가 하게 될 것이며, 추세와 지지선을 보았을 때 계속 상승할 것 같으니 계속 홀딩합니다. 홀딩하다가 어느 순간 지지선을 이탈하는 것이 보이네요. 이때 매도하시면 됩니다. 하락 추세에서 주가가 쭉 내려오다가 볼린저밴드 하한선을 뚫고 내려가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때가 무슨 시점이라고요? 바로 매수 시점입니다. 매수하고 나니 중심선 즉 저항선까지 뚫는 모습을 보입니다. 단타를 하시려는 분들은 상한선을 뚫고 내려가는 시점에서 매도하시면 됩니다.

오늘 볼린저밴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볼린저밴드의 신뢰도는 95%로 매우 높기 때문에 투자 기준만 잘 정하신다면 확실한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에 꼭 볼린저밴드로 투자를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주식차트 보는법] 27일 밴드폭을 이용한 매매기법 답을 믿으세요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기술적 보조지표 2탄] 볼린저 밴드의 매매 기법

볼린저 밴드의 정의와 매매기법

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의 주가는 하루도 빼먹지 않고 변한다. 주가는 그 회사의 실적과 영업경쟁력, 미래의 성장가능성은 물론 그 나라 경제상황과 글로벌 경제의 흐름까지 반영한다. 하지만 막상 하루하루 변하는 개별회사의 주가를 보면 그 흐름과 패턴을 찾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어떤 주식이 회사 본래가치에서 고평가된 것인지, 저평가된 것인지도 모호하기 짝이 없다. 투자자들은 그래서 현재 주가수준이 어떤지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준을 원한다. 투자자 중 일부는 주가의 변동성과 흐름을 분석해 이를 지표로 삼기도 한다. 볼린저밴드는 이런 수요에서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라는 투자전문가가 고안해 낸 지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주가의 변동이 표준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주가를 따라 위아래로폭이 같이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주가를 그 밴드를 기준선으로 판단하고자 고안된 지표를 말한다.

볼린저밴드 공식 홈페이지는 볼린저밴드의 정의를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가 개발한 기술적인 거래도구로 주식의 변동성 자체가 가변적이고, 일정하지 않다는 당시 시장상황에서 적합한 매매범위를 찾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그래프의 모양과 추세를 보고 투자 여부 결정에 참고한다는 점에서 볼린저밴드는 기술적인 분석의 대표적인 도구로 평가된다.

1. 이동평균선, 상단밴드, 하단밴드 구성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주식 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밴드, 하단밴드로 구성된다. 이동평균선을 추세 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 하한 변동 폭은 추세 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 이 때 이동평균과 표준편차의 관계는 통계학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표준정규분포를 가정해 산출하게 된다. 볼린저밴드는 일정 기간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 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 폭이 좁아지는 자기 조정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세부적으로 볼린저밴드는 중심선인 ‘20일 이동평균선’과 중심선에서 ‘표준편차×2’를 더한 상한선, ‘표준편차×2’를 뺀 하한선으로 구성된다. 주가는 90% 이상 볼린저밴드 내에서 수렴과 발산을 반복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가격변동 띠의 폭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큰 상태에서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밴드를 매도와 매수가 과도하게 집중된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림 1. 볼린저 밴드의 구성

주가는 일정한 기간 동안 과매수나 과매도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거나 낮은지를 알면 매도와 매수시기를 가늠할 적기를 선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볼린저밴드는 여기에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고, 가격 움직임이나 기타 지표들과 결합해 신호를 만들고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2. 기술적인 분석가들이 가장 신뢰하는 도구

보통 주식시장을 분석하는 수단에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이 있다. 기술적 분석가는 주가 그래프를 보고 기본적 분석가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본다. 기업의 모습과 기업의 주식 사이에는 분명 연관성이 있지만 주식이 그 기업은 아니며 기업 역시 주식이 아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인 분석법을 통합할 수 있는 분석수단으로 볼린저밴드를 제시한다. 볼린저밴드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주가와 거래량, 그리고 변동성이다. 주가와 거래량을 통해 기술적인 측면을 살핀다면 변동성에는 기업의 실질가치와 투자 심리가 반영된다. 때문에 이 둘을 결합한 볼린저밴드가 합리적 투자결정의 토대가 된다는 것이 기술적인 분석가들의 주장이다.

3. 존 볼린저가 충고하는 투자요령

기술적인 분석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볼린저밴드 투자기법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존 볼린저는 국내에도 출간된 ‘볼린저밴드 투자기법’을 통해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핵심적인 투자기법 세가지를 공개한 바 있다.

첫 번째 투자기법은 밴드 자체의 폭이 수축하거나, 확장하는 변동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존 볼린저는 밴드 자체의 폭이 축소되면서 밀집구간을 거친 후에는 상단 밴드를 돌파할 때 주식을 사들이고, 하단 밴드에서 하향 이탈할 때 주식을 공매도하라고 충고한다. 두 번째 투자기법은 상단, 하단 밴드와 지표를 활용하는 추세 추종기법이다. 주가가 상단 밴드에 접근할 때 각종 지표들이 주가의 강세를 확증하면 매수하고, 주가가 하단 밴드에 접근할 때 지표가 주가의 약세를 확증하면 매도하는 방법이다. 마지막 기법은 반전기법으로 복수의 밴드 접촉과 지표를 활용한다. 주가가 상단 밴드를 여러 번 건드리는 반면 주가지표는 점진적 약세를 보일 때, 그리고 주가가 하단 밴드를 여러 번 건드리는 반면 지표는 점진적 강세를 보일 때 주가흐름의 반전을 예측할 수 있다. 볼린저는 저서를 통해 각 기법이 어떤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는지를 밝히고 승률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설정 방법, 지표 선택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4. 기술적 분석, 한계도 명확하다는 점 인지해야

볼린저밴드를 기술적 분석과 기업 경영지표 분석의 통합 수단으로 추켜세우는 의견도 있지만 여전히 정규 투자이론을 따르는 축에서는 그 가치를 인정하는데 미온적이다. 차트의 움직임만으로 어떤 기업의 주식가치를 따지는 것 자체가 무리라는 얘기다. 한 연금펀드 운용자는 “볼린저밴드라는 말이 전문적인 투자용어로 보여도 사실은 증권방송 출연하는 분들이 근거로 내세우는 기술적인 지표분석의 도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운용자는 “결국 개인 투자자들은 이런 식의 차트 분석을 통한 단기투자에 매달리기보다는 기업의 본질가치를 보고 장기투자에 나서는 것이 좋다”고 충고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볼린저밴드 – 기술적인 분석가들이 신뢰하는 도구 (금융사전, 김태근, 전정홍)

볼린저 밴드를 이용한 매매기법 소개

1.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이란?

그림 2. 나스닥 미니의 볼린저 밴드가 적용된 1분봉 그래프

볼린저 밴드는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존 볼린저가 개발한 보조지표로써 밴드 상,하한선 안에서 97%가격이 형성되고 움직인다는 것을 모토로 밴드의 진행방향과 두 상, 하한선간 거리에 따라 그 추세의 힘을 알 수 있다는 컨셉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보통 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매매기법 2개를 소개하려 한다.

2. 밴드의 수렴과 분출 매매기법

그림 3. 수렴과 분출 매매기법

수렴과 발산에 대한 정의는 상한선인 빨간색 선과 하한선인 파란색 선의 간격이 좁아지고 멀어지는 맥동현상을 보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매매하는 기법을 말한다. 수렴이란 상한선이 아래로 꺽이고 하한선이 위로 꺽임으로써 두 밴드선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이야기한다. 발산이란 상한선이 위로 꺽이고 하한선이 아래로 꺽임으로써 두 밴드선의 간격이 멀어지는 것을 이야기한다. 볼린저 밴드에서 수렴하는 구간은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보이기 전 힘을 모으는 단계로 보통 횡보(가격이 일정 좁은 범위내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현상)를 보이는 구간으로 일정 시간 이후에는 반드시 한쪽 방향으로 추세를 시작한다. 발산하는 구간은 볼린저 밴드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승 또는 하락으로 크게 움직이는 구간으로 양 밴드선이 이동평균선 방향으로 모두 꺽이기 전까지는 해당 방향으로 추세가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위의 개념을 기준으로 그림 3과 같은 매매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림 3의 1번 지점은 볼린저 밴드의 상, 하한선이 바깥으로 멀어지기 시작하는 구간으로 이때 가격이 이동평균선 위에 존재하므로 상승 추세라 보고 매수진입을 한다. 이후 하한선은 곧바로 상한선의 방향으로 따라 올라가다가 상한선이 이동평균선 쪽으로 꺽이는 순간 두 밴드선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2번 지점에서 청산한다.

마찬가지로 3번에서 매도, 4번에서 청산, 5번에서 매도, 6번에서 청산하는 방법으로 수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도 100%의 확률은 아니다 7번 진입지점처럼 볼린저 밴드가 발산하고 가격이 이동평균선 위에 있어 매수 진입을 했더라도 반대방향으로 추세가 진행되면서 손실청산될 수도 있다.

3. 볼린저 밴드를 이용한 이동평균선 돌파 매매기법

그림 4. 이동평균선 돌파 매매기법

이동평균선 돌파 매매기법은 그림 4와 같이 진행한다.

이 방법은 가격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한 돌파매매기법과 동일하지만 볼린저 밴드선의 수렴과 발산을 이용하면서 성공확률을 높이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이동평균선의 돌파매매기법은 기준으로 하는 이동평균선(보통은 20분선)을 상승 또는 하락 돌파하여 안착했을 때에 매수 또는 매도 진입을 하여 반대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락 돌파하여 안착했을 때 청산하는 방식의 매매기법이다. 여기서 볼린저 밴드의 돌파매매기법은 그림 4의 1번 지점과 같이 가격이 볼린저 밴드 하한선에 도달했다가 이동평균선을 상승돌파하여 안착하면 매수로 진입하고 다시 이동평균선을 하락 돌파하는 2번 지점에서 청산하는 방식이다. 이 때 반드시 다음 캔들 또는 다다음 캔들에서 볼린저밴드가 발산하여야 추세가 이어진다. 만약 계속 수렴하거나 횡보할 경우에는 진입포인트 3번과 같이 다시 반대로 돌아오게 되어 손실을 볼 수 있다. 물론 다시 5번 지점처럼 추세가 이어질 수도 있지만 그 반대로 크게 손실청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물론 이 두가지의 대표적인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두가지 방법을 병행하거나 다른 보조지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내가 여기서 설명하는 매매기법들은 각 보조지표를 이용한 기본적인 매매기법이므로 맹신하여서는 안되며, “이런 기본적인 매매기법들이 있구나” 정도로 받아드려야 합니다.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 [주식차트 보는법] 27일 밴드폭을 이용한 매매기법 빠른 답변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볼린저밴드로 주식 차트 분석하는 방법

주식투자자들에게 있어서 차트는 빼놓을 수 없는 필수적인 투자지표입니다. 보통 일봉, 분봉 등으로 구성된 봉차트를 5일선, 20일선 등의 이동평균선과 같은 지표와 함께 보곤 하죠.

2017/06/05 – [투자] – 주식 차트 보는법

2017/04/25 – [투자] – 이동평균선(이평선)과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와의 관계 알아보기

하지만 차트의 보조지표로 이평선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물망, 피봇 등등.. 복잡한 지표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오늘 다룰 내용은 차트의 지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볼린저밴드입니다. 저도 이 정보를 잘 활용하고 있는데요, 차트를 잘 못보시는 분들도 비교적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한번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란?

주식 분석에는 크게 기본적분석과 기술적분석 2가지가 있습니다. 기본적분석은 주로 기업의 가치를 파악하는 분석방법이며, 기술적분석은 차트에 나타난 다양한 지표, 수치들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볼린저밴드는 이 중 기술적분석에 속합니다.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미국의 재무분석가인 존 볼린저(1950년 ~ )가 1983년 개발하고 2011년 상표권을 취득한 주가 기술적 분석 도구. 이 밴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표준편차) 안에서 움직인다는 전제로 개발되었으며, 3가지의 선이 밴드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존 볼린저는 미국의 유명한 재무분석가이자 저술가입니다. 그는 주가의 이동범위가 일정한 통계범위 내에서 움직인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 지표를 고안해내었습니다.

※ 대림산업 주가, 출처 : 신한 i-알파

볼린저 밴드는 총 3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선들은 아래와 같은 의미를 지닙니다.

① 중심선 : 이동평균선(20일선) ② 상한선 : 20일 이동평균선 + 2σ ③ 하한선 : 20일 이동평균선 – 2σ

※ σ : 표준편차

통계학에서는 평균값에서 양쪽으로 2표준편차(±2σ)이내에 95%의 표본값이 존재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를 볼린저밴드에 적용한다면, 주가의 95% 이상은 볼린저밴드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볼린저밴드의 기본값은 이평선중 20일선을 중심선으로, 그리고 2표준편차를 사용하므로 (20,2)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3표준편차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20,3), 60일선을 중심선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60,2).

볼린저밴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매매기법보다 이 특성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① 가격의 등락폭이 적은 상황에서는 밴드의 상-하한선 폭도 축소된다. 이 때에는 조만간 가격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② 반면, 가격의 등락폭이 큰 상황에서는 밴드의 상-하한선 폭이 확대된다. 이 때에는 본격적인 추세전환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③ 가격이 볼린저밴드 상-하한선을 돌파했을 경우, 현재 주가가 과대 혹은 과소평가 된 상황이므로, 추세가 반전될 확률이 높다.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매매기법

존 볼린저의 3가지 매매기법 존 볼린저는 자신의 저서에서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3가지의 매매기법을 이야기했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본 포스팅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겠습니다.)

① 밴드의 폭이 축소되면서 밀집구간을 거친 후에 주가가 상한선을 상향 돌파시에는 매수, 하한선을 하향이탈할시에는 공매도한다.

② 주가가 상한선에 접근하고 지표가 강세를 확증할 때에는 매수, 주가가 하한선에 접근하고 지표가 약세를 확증할 때에는 매도한다.

③ 주가가 상한선을 여러번 건드리지만 주가지표가 약세를 보이면 상한선 근처에서 매도, 주가가 하한선을 여러번 건드리지만 주가지표가 강세를 보이면 하한선 근처에서 매수한다.

매매기법 ①번만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LG디스플레이 차트, 출처 : 신한 i-알파

위의 차트를 보면 한동안 주가의 등락폭이 심하지 않아서 볼린저밴드 또한 좁게 유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밀집구간이라고 합니다. 2017년 5월말경 주가가 강한 상승동력으로 밴드 상한선을 뚫으면서 볼린저밴드의 폭도 증가하게 됩니다. 즉 밀집구간이 끝나는 시점이죠. 이 때를 존 볼린저는 주식의 매수시점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러나, 볼린저의 매매방법이 100%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사실 주식투자에 있어서 차트만 보고 성공적인 투자가 가능하지도 않습니다.

저 역시 위에 언급된 매매기법을 숙지하고는 있지만.. 저는 주로 과매도/과매수의 지표정도로 활용하곤 합니다. 이 방법은 고도의 지식이 필요치 않아 주식에 입문하신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활용하는지 한번 예시를 들어 살펴볼게요.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방법 역시 100% 정답은 아닙니다. 그러나 본인만의 매매기법을 가진다는 것은 투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뇌동매매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과매도 포지션 포착

※ LG디스플레이 주가, 출처 : 신한 i-알파

위의 그림과 같이 볼린저밴드 하한선을 돌파하는 부분을 발견하였다면, 매수를 고려해볼만 합니다. 통계적으로 95%의 주가가 밴드 내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밴드 하한선을 살짝 건드린 정도가 아니라 매우 크게 밑돌 경우(과매도)에 유효한 방법입니다. 또한 이 방법은 장타보다는 단타매매에 더 효과적입니다.

과매수 포지션 포착

※ 비트코인 가격, 출처 : 업비트

볼린저 밴드는 주식에만 국한되진 않습니다. 위와 같이 가상화폐 거래시에도 적용할 수 있죠. 위의 그래프는 비트코인의 시세 그래프입니다. 중간중간 밴드 상한선을 강하게 상승이탈하는 부분이 존재합니다. 이 때에는 가격이 과열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다시 밴드 내로 회귀하려는 성향이 강해집니다. 매도가 유효한 시기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볼린저밴드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활용한 매매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투자에 있어서 매매기법에 정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가는 차트만으로 움직이진 않기 때문이죠. 볼린저밴드 역시 투자성공을 보장해주진 않기 때문에, 투자의 참고자료 정도로만 사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다음은 Bing에서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 해외선물
  • 키움대회수상자
  • 해선
  • 박호두
  • 카피트레이딩
  • 볼린저밴드
  • 1억수익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YouTube에서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볼린저밴드 매매기법1 기초 (하루에 20만원버는 지표설정법) | 볼린저 밴드 매매 기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낙제 기사 의 영웅담 5 권 텍본 | 낙제기사의영웅담 中 최고명장면 13350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