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가정용 연료 전지 |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답을 믿으세요

가정용 연료 전지 |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가정용 연료 전지 –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KBS News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3,959회 및 좋아요 19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가정용 연료 전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 가정용 연료 전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많은 정부 예산이 투입된 수소연료전지 발전기 상당 수가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신재생 에너지 보급 차원에서 정부가 설치를 지원했지만, 현장에서는 효율이 떨어져 가동을 기피하기 때문이라는데요.
[리포트] 서울의 한 공공시설입니다.
기계실에 들어가니, 2대의 수소연료전지 발전기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억 6천만 원을 들여 설치했는데, 올해 한 번도 가동된 적이 없습니다.
[공공시설 관계자/음성변조 : \”(설치 이후) 초반에 몇 개월 정도 쓰다가 효율이 너무 안 나와 가지고 가동이 정지됐다고… 무용지물이긴 하죠.\”] 수소연료전지 발전기는 도시가스에서 수소를 만들고, 다시 이 수소로 전기와 열을 생산합니다.
이 발전기를 가동하려면 도시가스 요금을 내야 합니다.
하지만 효율이 좋지 않다 보니 생산한 전기에 비해서 가스요금이 부담스럽다는 게 운영사 측의 설명입니다.
전기 1kWh의 요금은 108원, 그러나 수소 연료전지 발전기로 같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 데 드는 가스요금은 153원입니다.
비용이 40% 넘게 상승하는 겁니다.
그러다 보니 수소연료전지 발전기를 설치한 민간과 공공건물 660여 곳 가운데, 한 달 이상 가동을 하지 않는 곳이 72%, 이 가운데 34%는 지난해 아예 가동 실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런 수소연료전지 발전기에 투입된 예산만 민간 보조금 722억 등 모두 천억 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김성환/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 \”제도 자체가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제도를 바꿔서… 일반 건물이나 이런 데는 연료전지를 설치하는 게 타당하지 않아 보입니다.\”] 정부는 수소연료전지 발전기를 설치할 때 경제성 평가를 하는 등 가동 확대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영상취재:김상하 임동수/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고석훈\r
\r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304604\r
\r
▣ 제보 하기\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r
◇ 전화 : 02-781-1234\r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수소연료전지 #가동중단 #국정감사

가정용 연료 전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연료전지 주택이란? – 한국에너지공단 그린홈

연료용가스에 포함되어있는 수소와 대기중의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생산해내는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전기뿐만 아니라 급탕과 난방에도 이용하는 주택입니다.

+ 여기를 클릭

Source: greenhome.kemco.or.kr

Date Published: 2/9/2022

View: 8431

가정용 연료전지 현황 및 전망

Abstract: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은 천연가스를 이용하여 일반주택에서 전기와 열을 생산할 수 있는 열병합 시스템. 으로 일본에서는 대규모 실증 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cheric.org

Date Published: 8/24/2022

View: 9085

가정용·건물용 수소연료전지발전 실증 착수 – 이투뉴스

[이투뉴스] 중소벤처기업부와 충청남도가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의 첫 번째 과제인 가정용·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실증사업에 착수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e2news.com

Date Published: 11/25/2022

View: 4317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 시장’ 열린다 – 에너지신문

[에너지신문]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로 수소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SOFC)’이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energy-news.co.kr

Date Published: 11/24/2021

View: 4671

전기와 열을 동시에 얻는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도시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부수적으로 열도 얻을수 있는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이 주인공인데요.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정부 그린홈 보급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log.63realty.co.kr

Date Published: 9/5/2021

View: 3328

日,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 35만대 눈앞 – 가스신문

[가스신문=강동수 일본특파원] 일본에서 2020년도(2020.4.1. ~2021.3.31.)의 에네팜(가정용 연료전지) 보조금 교부 예정대수가 2만8723대(전년비 7.2%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gasnews.com

Date Published: 2/8/2022

View: 5515

일본, 가정용 연료전지로 수소사회 구현 나선다 – 인더스트리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며, ‘수소경제’ 선점을 위해 노력 중인 정부가 가정용 연료전지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industrynews.co.kr

Date Published: 8/29/2021

View: 5886

떠오르는 ‘연료전지 발전’…가정용 전기도 ‘수소 발전’ – 노컷뉴스

대한민국 연료전지발전량은 600MW로 걸음마단계. 전기차 충전. 연합뉴스. NOCUTBIZ. 수소가 전기자동차 뿐아니라 가정용 전열기의 동력원으로 부상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nocutnews.co.kr

Date Published: 9/3/2022

View: 1871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의 성공 사례 – 동아사이언스

가정용 연료전지 열병합발전시스템의 안전성 및 기술 검증이 목표이던 이 실증사업은 에너팜 보급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당초 에너팜은 …

See also  무선 충전기 소음 | C1Wc 무선 충전기 소음비교 최근 답변 123개

+ 여기에 보기

Source: www.dongascience.com

Date Published: 5/2/2021

View: 15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가정용 연료 전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가정용 연료 전지

  • Author: KBS News
  • Views: 조회수 23,959회
  • Likes: 좋아요 199개
  • Date Published: 2021. 10. 1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ck5XAuKVeug

가정용·건물용 수소연료전지발전 실증 착수

중기부·충남도, 수소에너지전환 구제자유특구 과제 수행

복합배기 설치기준, 계통전환형 연료전지 규정 등 마련

[이투뉴스] 중소벤처기업부와 충청남도가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의 첫 번째 과제인 가정용·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실증사업에 착수했다.

이번 연료전지 실증사업에는 미코파워, 에이치앤파워, 범한퓨얼셀, SPG수소, 고등기술연구원 등 5개 특구 사업자가 참여한다. 이들은 실증 기간 시스템별 정량적 목표 항목을 설정해 안정성 등을 평가하고 최적화된 시스템을 도출할 계획이다.

충남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는 ‘수소연료전지 발전·충전·모빌리티 실증 및 사업화를 통한 수소경제사회 촉진’을 목표로 2020년 8월부터 2024년 7월까지 4년 동안 지정돼 운영된다. 총 3가지 과제 6개 실증 특례를 부여받은 충남 수소특구는 지난해부터 실증 사이트 구축 및 시운전 등을 통해 실증 준비를 마쳤고 올해 순차적으로 각 사업의 실증에 착수하게 된다.

그동안 가정·상업용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증가로 인한 전력수요 급증,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등으로 연료전지와 같은 친환경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도입이 필요했으나 관련 제도 미비로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국내 부생수소 3대 생산지인 충남의 지역 인프라를 기반으로 ▶고온형 연료전지 복합배기 실증 ▶계통전환형 연료전지 시스템 실증 ▶직접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 실증 등 3개 실증 특례를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사업으로 추진한다.

이번 실증을 통해 현행 안전기준 상 저온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에 한해 가능한 복합배기 시스템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 다양한 형태의 연료전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복합배기 설치기준을 마련한다.

또 계통연계형과 독립형만 허용해 정전 시 가동 중지로 효율 저하 및 무정전 시스템 구현이 불가했던 연료전지 시스템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계통전환형 연료전지 규정도 수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시가스 및 액화석유가스 개질형 연료전지에 한해 법정 검사가 이뤄지던 기존 규정에 직접 수소 공급 방식의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제조·시설·기술·안전 기준을 더해 수소사회로의 전환에 선제 대응할 방침이다.

이 같은 실증사업이 올해 11월까지 완료돼 관련 기준이 법제화되면 연료전지 설치 효율 제고 및 활용 극대화, 소비자 신뢰도 확보 등의 효과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증에 앞서 산·학·연 등 관련 전문가로 이루어진 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증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인적·물적 안전사고에 대비해 자체 안전관리계획 수립과 책임보험 가입도 완료했다. 또한 올해 안으로 성공적인 실증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해당 기술·제품이 신속하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규제 소관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규제법령 정비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송인혜 중기부 규제자유특구과장은 “충남 수소 특구의 다양한 실증 추진을 통한 규제 해소로 수소 관련 기업에 자유로운 경영 환경을 제공하고, 수소에너지가 탄소중립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실증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충남도 관계자는 “생산-저장-공급의 수소산업 3대 요소를 모두 갖춰 수소 생태계 구축에 매우 유리한 지역적 강점을 바탕으로 연료전지 시장 활성화 및 고용 창출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며 “각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필요한 기준을 법제화하고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을 통한 비용 절감 및 효율 증대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채제용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 시장’ 열린다

국표원, 고체산화물 수소연료전지 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 부여

하반기 SOFC KS표준 마련…수소연료전지 시장 확대 가속화될 것

[에너지신문]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로 수소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SOFC)’이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STX중공업이 개발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발전 시스템 기술이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은 국내업체가 개발한 고체산화물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에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인증’을 부여했다고 25일 밝혔다.

융합신제품 적합성인증제도는 규제샌드박스와 더불어 대표적인 기업 규제 완화 제도로, 융합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제품이 기존의 인증을 받을 수 없을 때 별도의 인증 기준을 신속히 마련해 인증을 부여함으로써 융합 신제품의 조속한 시장 출시를 돕는 융합신제품의 시장 출시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014년 도입했다.

사업자가 ‘적합성인증’을 신청하면 소관 중앙행정기관이 적합성협의체를 구성,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신속절차(Fast-Track)를 통해 6개월 이내 인증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번에 적합성인증을 취득한 고체산화물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은 세라믹 전해질과 저가 촉매를 적용,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시스템으로 기존 연료전지보다 안전하고 원가절감 효과가 우수해 차세대 수소 연료전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업부는 에너지기술 개발사업인 ‘kW급 건물용 고체산화물연료전지’ 사업을 통해 실증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3월 고체산화물 수소연료전지가 서울시의 신축 건물 신·재생에너지 설치 가능 대상에 포함되면서 향후 수소연료전지 시장 확대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간 고체산화물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은 기존 규격으로는 안전성과 성능 등을 평가할 수 없어 시장출시가 지연됐다. 이에 국가기술표준원은 적합성인증 제도를 통해 제품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인증 기준을 마련, 시험‧검사를 시행했고, 이를 통해 성능과 안전성이 입증됨에 따라 산업융합촉진법에 의거 적합성인증을 부여, 신·재생에너지 설비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시스템과 연료전지 발전원리.

국가기술표준원은 이번 적합성인증을 통해 마련된 기술기준을 국가표준에 반영, 올해 하반기 중 고체산화물 수소연료전지에 대한 KS표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우수한 융합 신제품을 개발하고도 기존 규제로 인해 시장 출시가 지연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적합성인증 신청 제품에 대한 인증기준을 신속히 개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융합신제품의 성능과 안전성 개선을 지원하는 연구사업도 추진해 기업의 기술 혁신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에너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공유하기

프린트

메일보내기

글씨키우기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가나다라마바사

전기와 열을 동시에 얻는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

2010년부터 활발하게 보급되는 설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도시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부수적으로 열도 얻을수 있는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이 주인공인데요.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정부 그린홈 보급사업의 새로운 강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료전지설치사진(에너지관리공단 자료)

연료전지 주택이란?

연료용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소를 대기중의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주택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을 연료전지 주택이라고 하죠.☞ 도시가스가 공급되는 주택에 연료전지를 설치하면 여기에서 전기와 열이 생산되는데, 전기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일부로 활용하고, 열은 온수나 난방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연료전지의 기술의 핵심은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입니다.

연료전지 시스템(에너지관리공단 자료)

효율은 어떻게 될까?

작동원리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구성도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효율은 30~40%, 열을 생산하는 효율은 40% 이상으로 총 70%~80%의 효율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방식은 고분자 전해질형(PEMFC) 형태로서 80도 이하의 온도에서 동작되며 1kw~10kw의 소용량이 상용화 되어있고, 국내 그린홈 보급사업에도 이 형식이 적용되고 있어요.1. 연료극에 공급된 수소는 수소이온과 전자로 분리2. 수소이온은 전해질층을 통해 공기극으로,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3. 공기극 쪽에서 산소이온과 수소이온이 만나 물을 생성4. 최종적인 반응은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전기, 물 및 열생성

연료전지의 설치소요 면적은?

: 화석연료(천연가스)로부터 수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황, 일산화탄소를 제어해주는 역할 을 수행함: 전기 출력을 얻기위해 단위전지를 수백장 직렬로 쌓아올린 본체: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직류 전기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장치

1kw용량의 연료전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약2㎡의 면적 필요합니다.

☞ 기존 보일러실에 있는 보일러 정도의 면적이 소요되는 정도입니다.

설치효과는?

● 월 전기사용량이 450kwh인 주택의 경우 – 연간 전기/열 요금 절감액 : 564천원

● 월 전기사용량이 500kwh인 주택의 경우 – 연간 전기/열 요금 절감액 : 1,212천원

※ 연료전지 발전효율 35%, 도시가스 발열량 9,550kcal/N㎥, 도시가스 714원/N㎥을 기준으로 한 값이므로 기후조건, 단열상태, 전기사용량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연료전지 보급현황 – 2010년 184세대

☞ 이제 시작 단계이지만 이웃 일본의 경우 설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것으로 보아 우리나라도 본격 설치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보조금 지급기준 – 2010년 이후 총설치비의 80%를 보조해 주고 있습니다.

☞ 한대당 약 5,000만원으로 아직은 제조비용이 비경제적인 상황입니다. 점차 가격은 낮아질 예정이지만 상당한 기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연료전지는 열과 전기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현재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도시가스를 이용한 분야가 가장 먼저 상용화되었고 보급사업에 적용되고 있죠. 그러나 연료를 가스로 쓰다보니 사용연료 대비 생산에너지의 경제성이 다소 취약한 문제도 있습니다. 가스사용료도 계속 올라가니 말이죠. 연료없이 공기만을 가지고 전기와 열을 생산할 수 있는 연료전지의 상용화를 기대해 봅니다.

사진출처 : 한화63시티

안녕하세요. 기술지원팀 성락준 팀장입니다. 제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는 환경과 에너지 관련 사업개발 및 시행입니다.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日,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 35만대 눈앞

[가스신문=강동수 일본특파원] 일본에서 2020년도(2020.4.1. ~2021.3.31.)의 에네팜(가정용 연료전지) 보조금 교부 예정대수가 2만8723대(전년비 7.2% 증가)가 돼 2009년 판매 개시 이래 누계 대수가 34만9336대로 35만대 돌파를 눈앞에 둔 것으로 연료전지보급촉진협의회(FCA)의 조사로 밝혀졌다.

FCA에 의하면 2020년도 교부 예정대수는 도시가스 2만7127대(전년비 10.3% 증가), LPG 1596대(27.8% 감소), 시장별로는 신축 4287대(13% 감소) 기축 2만4436대(11.7% 증가)이다. 교체 또는 기존 설치된 급탕보일러에 SOFC를 연결하는 등 기존 건축물에 수요가 늘어났다.

보조금은 2019년도부터 도시가스 신축 건물용 PEFC가 대상에서 제외됐고 내년도부터는 모두 없어진다. 에네팜 파트너즈(주택 관련·에네팜 제조·에너지업계 165단체·사업자가 가맹)의 사무국을 담당하는 일본가스협회는 주요 도시가스회사의 조사를 기초로 도시가스 전체의 PEFC의 신축 설치 대수를 2019년도 1만224대, 2020년도 2월까지 7364대로 추정하고 있다.

이를 더하면 2019년도는 3만7033대, 2020년도는 3만6087대가 된다. 3월분을 더하면 보조금 최종 연도의 누계 보급 대수는 35만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FC서포트 네트워크(회원수 99사)를 조직하는 코제너레이션·에너지 고도이용 센터 연료전지실은 계속해서 가스사업자의 영업 지원에 힘을 쏟고 있다.

오타키가스가 쇼룸에서 열고 있는 세미나를 기초로 한 SOFC의 정전 시 자립 발전의 시연과 애니메이션 두 종류 영상을 작성해 유튜브에 올리고 제조사 2사의 정전 데모 영상을 포함한 DVD를 회원에게 배포한다. 애니메이션 영상은 사명을 넣어 가스전시회에 앞서 인터넷에 게재하는 등 폭넓은 활용이 가능하다. 내년도는 ‘e-Learning’을 무료로 개방한다.

에네팜에 관련된 회원용으로 인터넷으로 기초 지식을 배울 수 있게 유료 및 기간 한정으로 제공했으나 누구든지 항상 수강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연수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 에네팜 파트너즈는 내년도 회원 기업을 위한 정보 발신을 강화하고 각종 정보의 정기적인 메일 송신 외에 시설 견학도 실시할 예정이다.

일본, 가정용 연료전지로 수소사회 구현 나선다

보급대수 10년 간 100배 이상 증가… 2030년까지 530만대 보급 목표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며, ‘수소경제’ 선점을 위해 노력 중인 정부가 가정용 연료전지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연료전지와 수소전기차를 양대 축으로 정하고, 전년 대비 약 5배 증가한 2,000억원을 관련 예산에 편성했다.

지난해 삼정KPMG 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연료전지 시장의 현재와 미래’에 따르면,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 규모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46.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9년 103억3,200만 달러(12조5,895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2022년까지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부분에서 국내 누적 50MW 보급, 2040년 2.1GW를 보급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일본은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 확산을 통해 수소에너지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사진=utoimage]

이처럼 국내에서 가정용 연료전지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는 가운데, 이웃나라 일본이 빠른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 확산을 통해 수소에너지 개발에 앞장서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은 오랫동안 시장 내 경쟁기업들의 꾸준한 연구개발과 관·민·학 간 협업으로 기술개발과 실증실험을 거듭하며, 수소사회 진입을 위한 기반을 다져왔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가정용 연료전지 시장 성장한 일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일본 후쿠오카 김대수 무역관에 따르면, 2009년부터 친환경 가정용 연료전지를 상용화한 일본이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대수를 2009년 대비 100배 증가시키며, 수소에너지 개발에 앞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가정용 연료전지의 본격적인 상품화 연구를 시작한 일본은 2009년 5월부터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가정용 연료전지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일본 경제산업성의 ‘2020년 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2009년 전국 보급 대수가 3,000대 뿐이었던 에네팜이 2019년 12월 말 기준으로 약 33만6,000대가 보급됐다. 2009년 대비 보급대수가 100배 이상 증가했다.

에네팜(Ene-Farm)은 에너지(‘Ene’rgy)+농장(Farm)을 합친 조어로, 일본에서 가정용 연료전지를 지칭한다. 에네팜은 도시가스나 LP가스에서 추출한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화학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고, 이때 발생한 열로 가정용 열수도 만들 수 있는 열병합발전(Cogeneration) 구조이다.

일본이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은 지난 2011년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에서 찾을 수 있다. 화력 및 원자력발전소 등 기존 일본 전역 대부분의 전력을 책임졌던 발전소들이 동일본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으면서 에너지 수급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에 일본 정부는 기존 원전의 안전성 제고,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추진, 에너지절약, 열병합 발전, 스마트 그리드 그리고 연료전지를 중심으로 한 분산발전시스템 도입 등에 정책의 초점을 두기 시작하면서 가전용 연료전지 시장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또한, 일본 내 도시가스기업 및 지자체와 구축한 협력 체계는 연료전지 시장 확대에 공헌하는 결과를 낳았다. 도시가스기업들은 인프라를 활용해 에네팜 보급에 앞장섰고, 지자체들은 에너지 자립형 마을 조성에 앞장섰다.

일본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현황(단위: 만 대) [사진=코트라]

친환경적이며, 재해에 강한 ‘에네팜’

일본 연료전지보급추진협회(Fuel Cell Association)에 따르면, 에네팜은 가스 급유기나 가정용 에너지시스템과 비교해 △친환경성 △높은 에너지 효율 △방재성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보인다.

친환경성과 관련해 일본 연료전지보급추진협회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 가정에서 에네팜을 1년간 사용하면 석유, 천연가스 등의 1차 에너지 사용량을 23%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38%(1,330kg) 억제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에너지 효율의 경우, 기존 발전방법 대비 뛰어난 모습을 보인다고 소개했다. 기존 화력발전소 등을 통해 전기를 발전할 경우 열 손실(약 55~60%)과 송전손실(약 5%)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발전량의 35~40%대에 그친다.

가정용 연료전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가정에서 전기와 열을 생산해 그중 70~90%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성에서 기존 발전방법 대비 뛰어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에네팜과 함께 태양광발전을 통해 잉여전력을 생산할 경우 잉여 전기를 전력회사에 판매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방재성(防災性)에선 지진이나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해 정전사태가 일어나도 자가 발전이 가능해 비상용 전원과 용수의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일본은 지난 2011년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이후 에네팜이 가진 방재성에 주목하는 소비자가 증가했다.

가정용 연료전지는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성에서 기존 발전방법 대비 뛰어난 모습을 보이며, 태양광발전을 통해 잉여전력을 생산할 경우 잉여 전기를 전력회사에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진=utoimage]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에네팜의 보급 확산에 주력했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2019년 3월 발표한 수소연료전지전략 로드맵에 따르면, 2030년까지 에네팜의 보급대수를 530만대까지 늘리고, 나아가 2050년까지 5,300만대의 종래형 에너지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에 에네팜 활성화를 방해했던 설치 시 발생하는 높은 초기 비용도 최근 신기술의 등장과 비용절감 노력, 정부보조금 등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는 모습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에네팜 1대당 가격은 2009년 300만 엔에서 2018년 12월 기준 100만엔 수준까지 내려갔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20년경까지 이 가격을 80만~100만 엔, 투자회수기간을 7~8년까지 낮춤으로써 공적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는 자립적인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업의 기술개발과 정부의 지원 필요

국내 시장 역시 본격적인 상용화 준비에 돌입했다. 2019년과 2020년 미코, STX 중공업, 에이치앤파워 등의 일부기업에서 1~2kW급 소형 SOFC 연료전지 개발과 상용화에 성공하며, 핵심기술의 고도화 및 국산화에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 5월 24일 국내 업체가 개발한 고체산화물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에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인증’을 부여하며, 시장 출시의 길을 열었다.

KOTRA 김대수 무역관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탄소배출을 억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일본의 연료전지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며, “잠재성이 큰 가정용 연료전지 시장에서 우리 기업이 기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의 기술개발 노력과 함께 수소 핵심기술 고도화 및 국산화를 위한 정부의 중장기적인 제도적 지원과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가정용 연료 전지

다음은 Bing에서 가정용 연료 전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 수소연료전지
  • 가동중단
  • 국정감사
  • 수소연료전지발전
  • 산업통상위원회
  • 민간보조금
  • kbs뉴스
  • kbs 뉴스
  • kbs news
  • kbs
  • 뉴스
  • 뉴스9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 #2021.10.19.


YouTube에서 가정용 연료 전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천 억 넘게 들인 수소연료전지…“70% 가동 중단” / KBS 2021.10.19. | 가정용 연료 전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