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225 개의 자세한 답변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225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이기적영진닷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406회 및 좋아요 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이 동영상은 [이기적 리눅스마스터 1급 기본서] 도서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도서 자세히 보기 :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7516029
🔹 이 동영상이 포함된 재생목록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6i7rGeEmTvpVQ0Vk6ql9fdkJ8ubXhvMw
🔹 모르는 문제? [이기적 스터디 카페] 질문하기 : https://cafe.naver.com/yjbooks
🔹 이기적 홈페이지 : https://license.youngjin.com
🔹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license.youngjin_official/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리눅스마스터 1급 2차/실기] 2201회 시험 후기 (2022년 5월 21일)

오늘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2차) 시험을 보고 왔다. 이번 시험의 체감 난이도는 정말 높았다. (개인적으로 CentOS 7으로 변경된 작년(2021년)부터 시험이 …

+ 여기를 클릭

Source: starrykss.tistory.com

Date Published: 5/29/2022

View: 3842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리마 실기 합격후기 – 기출문제 모음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리마 실기 합격후기 – 기출문제 모음, 응시료, 합격 기준, 시험 후기. 양햄찌(jhnyang) 2020. 4. 10. 16:39. 반응형. 안녕하세요!~!

+ 여기를 클릭

Source: jhnyang.tistory.com

Date Published: 11/15/2022

View: 9754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시험 합격 후기, 학습 기간, 학습 방법 …

이번 시험의 경우는 강남역 4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정도 거리에 있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본사에서 진행됐다. 응시인원은 60명 정도에 결시자는 못 본 …

+ 여기를 클릭

Source: tragramming.tistory.com

Date Published: 5/1/2022

View: 529

리눅스마스터 시험일정 – KAIT 자격검정

정기검정 일정 ; 리눅스마스터, 1급 · 2202회 · 2차, 09.26.(월) ~ 10.07.(금) ; 리눅스마스터 · 2급.

+ 더 읽기

Source: www.ihd.or.kr

Date Published: 11/13/2021

View: 8651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리마 1급 합격 후기 – 기출문제 모음 …

리눅스마스터 2급은 업체에서도 인정해주는 자격증이며, 공인자격증이라 취득 시 반드시 도움이 될것이다. 1급 1차 (합격기준 : 100문제 중 100점 만점에 …

+ 여기에 표시

Source: serverstudy.tistory.com

Date Published: 12/1/2022

View: 1608

리눅스마스터 – 나무위키

리눅스마스터 2급은 1차와 2차 시험 두 가지로 나뉜다. 1차는 집에서 접수 후 원하는 날짜에 컴퓨터로 시험을 치르고 2차는 시험장에 가서 필기로 …

+ 여기에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3/21/2022

View: 501

리눅스 마스터 1급 합격 후기 (+필기, 실기) – 자몽’s IT DB

이 말은 즉 리눅스 마스터 2급 때 공부했던 것처럼 공부하면 합격이 불가능 … 1급 1차 공부할 때 꼭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이 부분 중점으로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jamong1014.tistory.com

Date Published: 5/19/2022

View: 3997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인기 답변 업데이트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독학 합격 후기 / 개념 요약 자료 공유 / 제 … 2) 실기 시험에 대한 약간의 대비도 가능하다. 3) 기출문제가 수록되어 있다. 2. 단점.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you.covadoc.vn

Date Published: 8/19/2021

View: 315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 Author: 이기적영진닷컴
  • Views: 조회수 1,406회
  • Likes: 좋아요 4개
  • Date Published: 2020. 8. 1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9gmIbXc8CoU

[리눅스마스터 1급 2차/실기] 2201회 시험 후기 (2022년 5월 21일)

(1564) Categories Programming (293) C (9) C++ (116) C# (0) Java (6) Python (20) Android (29) LISP (CL) (3) HTML5 (39) CSS3 (20) JavaScript (14) jQuery (24) Ajax (2) JSP (1) R (0) Kotlin (10) Source Code (117) C (18) C++ (10) C# (0) Java (0) Android (7) Python (11) LISP (CL) (6) HTML5 (1) CSS3 (8) JavaScript (35) jQuery (2) Ajax (1) JSP (0) R (1) Kotlin (17) Problem Solving (129) BaekJoon Online Judge (110) Project Euler (17) Etc. (2) Database (5) SQL (4) Computer Science (60) Data Structure (34) Algorithm (26) Computer Structure (0) Digital Logic Circuit (0) Computer Architecture (0) System Software (134) System Software (0) UNIX (6) Linux (128) Operating System (0) Computer Graphics (19) Computer Vision (0) Artificial Intelligence (0) Machine Learning (0) Data Science (0) In-depth Study (45) Git (13) Gradle (5) Refactoring (1) Signal Processing (2) TeX (8) NumPy (5) Pandas (8) matplotlib (3) Math & Science (7) Calculus (1) Linear Algebra (0) Discrete Mathematics (0) Probability and Statistics (6) Physics (0) Design (1) Adobe Photoshop (1) Adobe Premiere Pro (0) English (1) TOEIC (1) TOEFL (0) German (0) Certificate (673) Word Processor (31) CSSD (263) Network Manager (106) DPE (31) Linux Master (89) SQLD (20) ADsP (13) BDAE (81) OCAJP (38) ISE (0) LPIC (0) COS PRO (0) Cloud (1) Program (11) InteliJ IDEA (0) Android Studio (7) Visual Studio (1) Visual Studio Code (3) (59) Information Tip (17) Article (1) (13) Windows MacOS (4) Etc. (24) Photography (0) Daily Life (8) Movie Review (0) Book Review (0) Diary (0) Study (3) Activity (5) Scribbling Board (0) Event (1)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리마 실기 합격후기 – 기출문제 모음, 응시료, 합격 기준, 시험 후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주인장 양햄찌입니다. 현재 코로나때메 미뤄진 1급 2차 리마 접수 기간인 것으로 알고 있어요~~!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라고 관련 자료들을 공유해 드려요~!

혹시 2차가 아닌 1차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포스팅: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후기, 기출 문제 모음, 독학 공부 방법, 리마 정보(유효기간, 가격, 합격점 등)]

합격 후기

헿 합격해써용

저는 독학했습니당 🙂 자세한 사항은 밑에~~

리마 1급 2차 기출문제 모음

[제 20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2002회_리눅스마스터_1급2차_정기검정.pdf 0.53MB

[제 20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2001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추가1).pdf 1.31MB

[제 19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9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모범답안.pdf 0.22MB 제19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pdf 0.40MB

[제 19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9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모범답안(수정).pdf 0.23MB 제19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pdf 0.34MB

[제 18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802회_리눅스마스터 1급 2차 A형_답안추가.pdf 0.43MB

[제 18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제18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A형_정답추가.pdf 0.47MB

[제 17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702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46MB

[제 17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701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53MB

[제 16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602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47MB

[제 16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601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46MB

[제 15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제1502회 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43MB

리눅스 마스터 1급 실기 자격, 비용, 합격 기준

응시 자격

리눅스 마스터 1차 합격자 한해 1차 시험 합격일(합격자 발표일) 기준으로 2년 이내 응시

합격 기준 및 문항 수

과목(2차) 검정방법 문항 수 제한 시간 만점 합격 기준 문제 해결 능력 실기 평가 -사용자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장치 관리,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보안 등 리눅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능력 평가. – 웹 파일, 메일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 및 네트워크 보안 등에 관한 실무 능력평가 필기(단답, 서술식) 10 100분 40 60점 이상 실기(60%) (관리 및 설정) 5-7 60

실기인데도 필기와 실기가 합쳐서 어루어져 있어요. 1차처럼 과락이 있거나 그러진 않습니다. 필기 다 틀려도 실기 다 맞으면 합격이예요.

비용

리눅스 마스터 1급 실기는 6만원인데

정보료 포함해서 60650원입니다. 비용이 꽤 비싸용.. ㅠ

리눅스 마스터 실기 리눅스 종류/버전

리눅스마스터 홈페이지에는 CentOS 6.9또는 페도라13버전으로 나와있네요

실기시험 환경 & 팁 (TIP)

■ 실험환경 USB부팅부터? 아님 세팅되어있나?

예전에 실기시험은 시험장가면 리눅스 들어있는 USB를 주고 그걸로 부팅하면서 시작했었어요 근데 언제부턴가? 바껴서 USB로 부팅해야하거나 하지 않습니다. 이미 시험장 가면 다 설정되어있고 부팅되어있으니 고대로 보면 돼요.

자격증 사이트에 문의한 부분!

실기라고 해서 뭔가 컴터에 설정을 실제 해야하나 생각하실 수 있어요.

시험 문제도 단답식 작업식 이렇게 나눠져있기 때문에 작업식은 내가 진짜 작업을 해야하나? 생각하실 수 있는데,

꼭 뭔가 작업을 하는건 아닙니다. 그냥 컴터로 내가 체크해볼 수 있는거예요. 채점은 답안지에 기재된 것으로만 이뤄집니다.

■ 부가적으로 설치 가능?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다 이미 깔려있는 상태라서 yum install 즉 따로 뭔가를 설치할 필요는 없어요. yum 명령어조차 안먹음;;

■ 저의 경우 수험표에 답을 써서 가는건 불가했습니다.

■ 코로나 때문에 그런가?? 서울 위치의 경우 동국대 전산건물에서 시험봤는데 고사장이 3개에 1고사장에 인원은 절반도 안됐어요. 여 다른 자격증보다 어려운 난이도 + 코로나 = 포기 로 겹친듯. (리마 2급, SQLD, 정처기, 네트워크관리사2급 보단 당근 어려웠음)

■ 음 실기 시험을 보고 왔는데,, 생각보다 문제는 까탈스러워요.

기존 문제 유형에서만 나오지 않고 매번 신유형들이 꽤 섞여서 출제됩니다. 이번에도 기존 문제풀이에선 보지도 못한 문제가 섞여있었음… 그렇다고 또 합격이 불가능할정도로 섞여있진 않고 한 두세문제 섞이는듯! 그래서 충분히 독학합격가능

리눅스마스터 1급 책으로 유명한 그 노랭이책은 뭔가 접근하기 쉬운, 설명이 친절한 책이라기보단 모음집 그 이상 이하도 아니라서 개인적으로는 별로인데, 문제는 거기서 다 나오긴 합니다. 정말 안전빵으로 합격하시려면 책 전체를 한 번 훑어보긴 해야 해요. ㅎㅎ

■ 가답안은 보통 월요일이면 올라오더라고요. 이번엔 월요일 오후 6시쯤 올라왔음 참고로만 알아두기

■ 팁 TIP

대신 옵션같은 경우 다 외워갈 필요는 없습니다. 실기다보니까 아무래도 man 명령어나 help 옵션을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무조건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1. man 명령어

2. man -k 명령어 (명령어 또는 단어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출력해줌)

3. 명령어 –help (옵션들을 보여줌)

4. find . -name “*단어*” (특히 config 파일이 어디인지 위치 찾을 떄 유용)

+ sample 데이터 활용하기. database의 경우 DNS나 sendemail나 특정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var디렉터리에 sample데이터가 있어요.

그리고 vsftpd 설정처럼 특정 파일 같은 경우 man 명령어로 설정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제한사항은 명령어를 대강이라도 알아야 검색할 수 있다는거… 기본 명령어는 숙지하고 가셔야합니다.

그리고 리눅스 유닉스를 좀 다뤄보셨던 분이라면 모를까 처음하시는 분이면 vi 편집기를 능숙하게 사용하실 줄 알아야해요.

근데 특정 조건에 맞게 설정하는 법은 외우지 않으면 찾기 어려운게 꽤 많습니다.

그런게 은근 짜잘짜잘하게 좀 많아요.

■ 특정 파일 위치를 적는 문제의 경우 절대경로로 적어야하는데

파일명만 적는다던가 이러면 틀립니다! 이점도 꼭 주의하셔야해요.

■ 먼저 가는게 유리

시험당일날에는 공부하고 간다고 밍기적밍기적 거리다가 정시에 도착하지말고 (제가 그랬음… 시험 시작 15분전 도착 ㅠ) 미리 미리 가있는게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왜냐, 일찍도착한다고 해서 멍때리고 있는게 아니라 컴퓨터 세팅이 다 되어있어서 실질환경에서 테스트해보고 문제를 풀어볼 수 있거든요. 집에서 하면 설치되어있는 프로그램이 없어 별도로 samba라던가 dns라던가 이런걸 설치해야하는데, 여긴 기본 프로그램들이 다 설치되어있어서 실질적인 환경파일이나 이런걸 미리 다 체크해볼 수 있거든요!

■ 실습을 한번씩만 해보면 대략 감을 잡을 수 있고 독학으로 실기 공부 할 수 있을 정도예요. 제가 독학으로 시작했으니… 포스팅도 독학하면서 올린거~ (근데 회사에서 정말 기본적인 유닉스는 사용하는지라 vi편집기정도는 쓸 줄 알았어요)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광고보답/공감 중 하나로 표현해주시면 기쁨도 두배 의욕도 두배 헿 🙂

다음에 또 봐용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시험 합격 후기, 학습 기간, 학습 방법 (2020년 8월 8일 특별 검정, 2001회)

자격증 (디자인이 바뀐 듯) 합격 인증!!

오늘은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시험 합격 후기에 이어, 8월 8일에 치른 실기시험 후기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한다.

2020년 첫 번째 정기시험(필기)은 코로나 때문에 연기되었다.

그래서 정보통신진흥협회 측에서는 연기된 필기시험에 대한 후속 특별 실기시험을 진행하기로 했고,

8월 8일 정보통신진흥협회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진행됐다.

필기시험을 준비하면서 문제만 달달 외운다는 느낌을 적지 않게 받았다.

그래서 실기시험만큼은 완벽하게(?) 준비된 상태로 응시해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하지만 항상 다짐만 한다 ㅋㅋㅋ

시험 2주 전부터 또 발등에 불 떨어진 듯 열심히 하기 시작했다.

* 학습 기간 – 2주 (리눅스 사용 경험 O, 필기시험 준비하면서 관련 파일 틈틈이 열람)

본격 리눅스 실기시험을 대비하고자 공부한 기간은 2주 남짓이다.

나는 정보통신 분야 실무자이긴 하지만 OS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서버 전담자는 아니다.

프로젝트에서 소스 배포를 위해 리눅스 서버를 들락거리며 사용해본 경험이 전부다.

이런 전제조건 하에 시험 준비는 2 주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 학습 방법 (기출문제 위주, sample 파일 참고 및 man 페이지 활용)

실기시험이라 해서 시험장 리눅스에 여러 서비스들을 구축하여 그 자체를 채점 받는 방식이 아니다.

시험장에 설치된 리눅스는 문제에 대한 답을 적고, 이를 확인해보기 위한 ‘확인용’일뿐이다.

또한, history, system log들을 감독관들이 일일이 확인해보지도 않는다.

결국, 채점은 오롯이 손글씨로 적은 ‘답안지’ 위주로만 이루어진다.

리눅스 마스터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명령어에 대한 암기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검정하고자 하는 것은 서버 구축에 필요한 명령어와 방식, 각종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이다.

그래서 시험장에서도 man 페이지 및 sample 파일을 열람할 수 있기에 세부 설정 항목을 달달 외울 필요는 없다.

또한, 대부분의 설정 파일의 항목에는 주석으로 설명이 달려있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명령어 & 설정 파일을 쓰는지 정도는 반드시 알고 가야 한다.

man 페이지의 경우 영문으로 되어있으니, 최대한 시간 날 때마다 많이 읽어보고 실습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설정 파일의 경우 파일의 경로를 모두 외워가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지만, find 명령어를 사용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명령어들은 사용한다면, 시험 응시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시험장에서 많이 썼던 명령어들 –

① man [-k] 명령어(명령어에 대한 정의[-k] / 명령어를 어떻게 쓰는지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

② 명령어 –help(안되는 명령어도 있지만, 매뉴얼 페이지에 대한 요약형 도움말)

③ find / -name ‘*찾을 내용*’ 혹은 find / | grep ‘*찾을 내용*’

– vi 편집기 컨트롤 팁(설정 파일에서 특정 단어를 검색) –

① 편집하고자 하는 설정 파일 vi editor로 열기

[root@localhost /]# vi /etc/httpd/conf/httpd.conf

② 가독성 있게 보기 위한 명령 모드(esc + : ) 진입 → ‘set nu list showmode’ 입력

:set nu list showmode

③ 검색모드 진입 (esc + ?) → 찾고자 하는 단어 입력 후 enter

?ServerRoot

④ 탐색 (n : 이전 문구 검색, N : 다음 문구 검색)

리눅스 실기시험에서도 강조하는 내용들이 있는데, 필기시험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5개년의 기출문제를 모두 출력하여 풀어보며 공부했다. 그러다 보니 매년 반복 출제되는 내용들이 보였다.

단, 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리눅스 실기시험 시 사용된다는 배포판을 확인하여 실습하는 것을 추천.

초기에 이걸 무시하고 Ubuntu로 연습했다 파일의 절대 경로가 달라 헤맸던 경험이 있다.

현재(2020년 8월 23일 기준) 공시된 시험장의 리눅스 버전은 CentOS 6.9 혹은 Fedora13이며, 모두 Redhat 계열이다.

출처 : 정보통신진흥협회 홈페이지 ( https://www.ihd.or.kr/introducesubject1.do )

다음 내용들은 꼭 짚어보고 갔으면 한다. 단, Redhat Enterprise Linux로 실습했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였으며, 시험장 리눅스와 비교해봤을 때 파일의 절대 경로가 달랐던 사례는 없었다.

* 단답형 *

1. 사용자, 그룹 관리 명령어들 및 옵션 (useradd, adduser, usermod, groupadd 등)

2. 사용자 추가 관련 파일과 역할 (/etc/login.defs, /etc/default/useradd, /etc/skel 등)

2. 시스템의 주요 정보 파일 내용 (/proc/cpuinfo, /proc/mounts, /proc/partitions 등)

3. 파티션 테이블 명령어 및 설정 파일의 각 옵션 (fdisk 명령어, /etc/fstab의 경우 각 필드의 의미)

4. 커널 변수 파라미터 설정 명령어 및 옵션 (sysctl)

5. 파일의 속성 변경 및 조회 명령어 및 옵션 (chattr, lsattr)

6.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및 옵션 (ps, top, pkill, pgrep 등)

7. backup 명령어 및 옵션 (tar, cpio, dump & restore, 상황에 따라 어떤 백업 방법을 써야 하는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정리해갈 것)

8. 시스템 log 관련 명령어(lastlog, last, lastb) 및 log 파일의 위치, 특성

9. logrotate의 설정(/etc/logrotate.conf, logrotate man 페이지 참고)

10. crontab 사용법(분,시,일,월,년,요일 등과 같은 필드의 의미)

*작업형 *

1. apache 웹서버 설정 파일 및 각 항목의 의미(혹은 appachectl, httpd 명령어 및 옵션)

– 파일 경로 : /etc/httpd/conf/httpd.conf

2. iptables 명령어 및 옵션 (INPUT, OUTPUT, PRE&PROROUTING의 개념, -F, -P, -A 옵션)

3. samba 설정 파일

– 파일 경로 : /etc/samba/smb.conf, 샘플 파일 경로 : /etc/samba/smb.conf.example

4. NFS 설정 파일 관련 명령어(exportfs, showmount 등의 명령어 및 옵션)

– 파일 경로 : /etc/exports

5. FTP 설정 파일들과 각 항목의 의미

– 파일 경로 : /etc/vsftpd/vsftpd.conf, /etc/vsftpd/ftpusers, /etc/vsftpd/user_list

6. DHCP 특정 파일들과 각 항목의 의미

– 파일 경로 : /etc/dhcp/dhcpd.conf

7. DNS 설정 파일, zone 파일, reverse-zone 파일의 설정 방법

– 파일 경로 : /etc/named.conf

8. sendmail 관련 설정

– 관련 파일 : /etc/mail/sendmail.cf, /etc/mail/virtusertable

9. TCP Wrapper(/etc/hosts.deny, /etc/hosts.allow의 설정 방법)

10. Proxy 서버 설정 파일 (/etc/squid/squid.conf)

*서비스별 네트워크 표기법*

공부하면서 많이 헷갈렸던 부분이다.

서비스별 특정 네트워크 주소를 허용/거부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문제들이었는데, ‘192.168.0.1’과 같이 특정 호스트만 지정할 경우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네트워크 대역’ 단위의 접근 허용/거부 여부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각 서비스별로 네트워크 대역을 표기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 아래 표를 머릿속에 넣어갔으면 좋겠다.

여러가지의 네트워크 표기법이 허용되는 서비스의 경우 대표적인 것 하나만 외워가면 될 것 같다. 그 중에서도 여러가지 서비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네트워크 표기법을 택해 암기하면 좀 편하지 않을까 싶다.

예) sendmail (192.168.1), DNS(192.168.1/24), 나머지 대부분(192.168.1.0/255.255.255.0) 식으로..

네트워크 표기법 허용되는 서비스 192.168.1 sendmail(/etc/mail/access) 192.168.1. tcp_wrapper(/etc/hosts.{allow,deny}) Samba(smb.conf) proftpd(/etc/proftpd.conf) apache(httpd.conf) 192.168.1.0 xinetd 192.168.1.0/255.255.255.0 NFS(/etc/exports) tcp_wrapper(/etc/hosts.{allow,deny}) Samba(smb.conf) squid(squid.conf) apache(httpd.conf) iptables 192.168.1.0/24 xinetd NFS(/etc/exports) DNS(/etc/named.conf) squid(squid.conf) apache(httpd.conf) iptables 192.168.1/24 DNS(/etc/named.conf)

출처 : 리눅스마스터 1급 정복하기(정성재, 배유미 공저)

* 시험 장소

이번 시험의 경우는 강남역 4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정도 거리에 있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본사에서 진행됐다. 응시인원은 60명 정도에 결시자는 못 본 것 같다. 감독관님은 코로나 영향으로 응시자 수를 크게 늘리지 못했다고 했다. 시험 접수 시작일에 바로 접수했던 것이 참 다행이라는 생각을 했다. 이왕 시험 보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최대한 빨리 접수한 게 유리한 것 같다.

출처 : 네이버지도(http://map.naver.com)

* 시험 후기

시험 난이도는 매우 평이했다. 기출문제만 충실히 반복해서 풀어보고 갔어도 반 이상 먹고 들어갈 수 있을 정도였다. 필기시험의 경우 자신의 답안을 작성해서 갖고 나갈 수가 없었는데, 실기시험은 수험표에 한해 자신의 답을 적어나갈 수 있게 허용한다고 했다.

문제 공개는 이틀 후 월요일 오후 5시에 이뤄졌고, 가채점 결과 90점으로 안전하게 합격선이었다. 처음으로 국가기술자격시험에 이의를 제기해봤다. 총 3문제에 이의를 제기했는데, 결국 내가 적어낸 답 중 2개도 정답으로 인정되었다.

취득하기로 다짐하고 근 2년이 소요되어 딴 리눅스 자격증. 직장인으로서 자기개발이 힘들다는 건 인정하지만, 스스로의 집중력이 많이 부족해서 허비했던 시간이 더 많았다는 건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공부 기간이 길어진 것에 대한 장점도 있었다. 리눅스 공부를 하면서 OS에 대해 심도 있게 접근도 해보고, UI로만 다뤘던 Window에 대해서도 한층 이해도가 높아졌다. 마침 회사에서 인프라적인 업무도 겸임하게 되어서, 실무 활용도도 배가 되었다.

다음 자격증 목표는 SQLD이고 올해 11월에 응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리눅스 마스터 자격증을 취득했다고 곧바로 리눅스와 바이바이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공부를 통해 심도 있게 연구도 해보고 실력을 쌓아나가고 싶다.

이 글을 통해 리눅스 마스터 시험 준비를 하시는 분들이 많은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리마 1급 합격 후기 – 기출문제 모음, 응시료, 시험장TIP

반응형

리눅스마스터 1급, 2급 자격증 도움을 위해 팁을 공유한다

저는 아래와 같은 날짜에 시험을 보았다

수시3으로 되어있는데 코로나바이러스인하여 일정이 연기되어서 그런가보다.

나는 리눅스마스터 자격증이 가지는 메리트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가장 큰 메리트는 리눅스마스터의 유효기간은 없기때문이다.

즉, 다른 자격증은 유효기간을 가지는반면에 리눅스마스터는 유효기간이 없다는게 큰 장점이다.

난이도 또한 높아서, 업체에서도 인정해주는 자격증이다.

국제자격증 LPIC 보다 인정받을수 있다.

그이유는 리눅스마스터가 LPIC 보다 훨씬 어렵다고 들었다.

자 이제.. 후기를 말하자면.. 2급 취득 후 약 1년 8개월 만에 1급을 취득하였는데

왜 1년 8개월만에 취득한거냐? 2019년에는 회사에 입사하여 공부&일 하느라 바빴다..

원래는 2020년 중순에 시험 예정이였으나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일정이 연기되었다.

난이도 (★ 갯수로 난이도 표시 5개 만점)

필자는 리눅스마스터 1급, 2급 전부 취득하였으므로 난이도를 매겨보자면

리눅스마스터 2급 1차 : 온라인이므로 별1개도 주지않았다. (온라인이므로 그만큼 쉽다)

리눅스마스터 2급 2차 : 별 한개 반 (1급에 비례하여서 별 한개 반을 준것이다. 2급 2차도 상당히 어려우며 2급 1차와는 갭차이가 크다.)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 ★★★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 ★★★★★

위와 같이 표시한 이유는 2급과 1급의 갭차이가 상당히 크다!!

무슨말이냐면 보통 자격증의 경우 하위자격증과 상위자격증의 갭차이는 그렇게 나지 않는다.

하지만 리눅스마스터는 갭차이가 많이 난다고 느낀다.

[보통자격증]

상위자격증 >> 하위자격증

[리눅스마스터]

상위자격증(1급) >>>>> 하위자격증(2급)

정도로 볼수있다.

비용

1급 2차 접수비용은 60650원 (정보료 포함) 이다

1급 1차는 얼만지 기억이 안나네요^^.. 4~5만원 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저렴한 금액은 아니지만 위에 설명한 Redhat 자격증에 비해 비용적 부담이 덜 하다.

시험보는 종류/버전

곧 7버전으로 바뀔거같다. 2020년 8월기준 아직 6버전이니 참고하면 좋을거같다.

리눅스마스터 1급 합격 기준

나는 뭐가 필기라는지 잘 모르겟다.. 그냥 전부 실기아닌가..

시험장에서는 시험지, 답안지 1장씩 준다.

시험지에 나온 문제를 보고 문제를 푼 다음 검정색 볼팬으로 답을 답안지에 적는다

( 즉 컴퓨터로 타자로 답안지를 적거나 OMR카드에 적는게 아니다 )

준비물

1. 검정색 볼팬

2. 수험표

3. 주민등록증 or 운전면허증

위 3가지 시험볼때 꼭 챙겨가길 바래요

후기

2급 1차

오픈북이라서 웬만하면 전부 합격할것이다. 다시말하지만 오픈북!!! 이다.

2급 2차(합격기준 : 60문제 중 100점 만점에 60점 합격)

어려웠다.. 이때는 리눅스 초급이였는데 나는 좀 어려웠다.

리눅스마스터2급 1차와 2차의 갭차이는 상당히 컸기 때문이다.

리눅스마스터 2급은 업체에서도 인정해주는 자격증이며, 공인자격증이라 취득 시 반드시 도움이 될것이다.

1급 1차 (합격기준 : 100문제 중 100점 만점에 60점 합격)

2019년 5월에 리눅스기업에 입사 후 실무로 항상 접하다보니 무난하게 84점 합격으로 기억한다.

(현재 점수가 보이지 않는다)

1급 2차 (합격기준 : 16문제 중 100점 만점에 60점 합격)

사진에 보이듯 83점 무난한 점수로 합격하였다.

각 문제당 점수가 다르며 필기 10문제(40점), 실기 6문제 (60점) 이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필기는 필자가 봐도 뭐가 필기라는지 잘 모르겠다.. 그냥 전부 실기다..^^

또한 초급자가 기출문제를 달달 외워서 딸만한 수준이 아니다.

이유는 보통의 자격증들은 기출문제를 달달 외워서 정답을 맞추는 자격증이 대부분이지만

리눅스마스터 1급은 과거에 나온 문제는 거의 안나온다.

즉 기출문제를 달달 외워도 소용이 없다는것이다.

어느정도 리눅스에대한 지식이 있어야한다.

그만큼 어렵고, 맨 아래 기출문제를 한번 풀어보면 느낄수 있을것이다.

자신이 리눅스에 대해 아는게 많이 없다고 느낀다면 2급을 도전하라고 권하고 싶다.

거의 웬만한 모든분들이 2급을 먼저 도전한다.

또한 주변사람들 중 리눅스마스터 2급으로 취업하는걸 많이 봤다.

책 추천

리눅스마스터 1급 서적으로는 가장 후기가 좋은책은 다음과 같다. (절대 홍보아님 필자는 독학으로 합격함)

리눅스마스터 1급 정복하기

혹시나 책이 필요한 사람은 참고하는게 좋을것 같다.

책이 없어도 되는가? 자신있다면 독학으로 해도 크게 문제 될게없다고 생각한다.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시험장 TIP

1. 시험장에 20분정도 먼저 가있는게 좋다

다른 후기를 보면 1시간 먼저가라는 후기를보고 1시간 일찍갔는데 1시간까지야.. 잘모르겠다…. 20분정도면 충분하다

먼저 가있으면 좋다고 하는 이유는 미리 리눅스로 부팅이 되어있기 때문에 시험장 환경을 볼수있다. 그냥 바로 시험을 볼수있는 환경이 구성 되어있다.

( 필자의 경우 USB로 리눅스가 미리 부팅되어 있었음 )

그리고 모든 문제는 명령어 옵션을 모두 알고있지 않는 한 man 명령어는 필수이다.

그리고 한글man페이지가 지원된다는 곳도 본적 있는데 내가 본 시험장에서는 한글man 페이지는 안나왔다.

한글 man 페이지를 보려면 man한글패키지를 설치 해야되는데 위에 적은대로 yum 을 막아놨기에

주어진 환경에 맞게 영문man페이지를 봤어야했다.

2. 시험문제에 관한 패키지는 전부 설치되어있다.

즉 패키지 설치가 필요없다는것이다. ( yum 을 사용 할수 없게 막아놨다, 본체 뒤쪽에 랜선은 꼽혀져있었음 )

랜선이 꼽혀져있는걸 보고 막아논 yum을 우회해서 사용하려고 감독관분께 인터넷을 사용해도되냐고 여쭤봤더니

사용하다 걸리면 실격 이라고 들었다.

3. 그럼 예를들어 httpd.conf 설정파일에 관한 문제가 나왔는데

httpd.conf 를 vi로 열어서 파일 내용 확인은 가능한거냐? 가능하다

4. 모든 패키지는 rpm설치로 되어있다.

즉 컴파일설치로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는거다. 그러면 rpm설치 시 default path 정보는 알고가야겠죠?

5. 나같은 경우 답안지를 수험표에 적어가는것이 가능했다.

이건 케바케인거같다 안된다고하신분들도 많으니.. 이 부분은 감독관을 잘만나길 바란다.

6. 무슨 명령어를 많이 쓰게되는지? 중요도는 별 개수로 나타내었다.

첫번째로는 man ( ★★★★★ 별 다섯개 )

두번째로는 명령어 –help ( ★★★★ 별 네개 )

세번째로는 find ( ★★★ 별 세개 )

위 3개만 알면된다

ex) find / -name “httpd.conf”

예제로 find 사용법을 적었는데

find 사용할때는 내가 그 설정파일 이름은 아는데.. 이게 어디있었더라..? 할때 사용한다.

위 말은 설정파일 이름조차 모르면 find는 사용할수가 없다.

어렴풋이 기억나서 find / -name “htt*.con*” 앞에 * 을 붙여서 사용하면되지만..

찾는 파일 이름이 아예 기억도 안나면 find를 사용할수 없다.

참고로 나는 find를 한번도 안썼다..

7. 1급 2차의 경우 리눅스마스터 1급 합격 기준 (위에 합격 기준 적어놈)

보면 실기 60% 만 전부맞아도 합격이다.

이 말은 즉 필기를 다틀려도 실기만 다맞으면 합격이란것이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실기를 전부 맞기는 쉽지 않으나 실기를 좀 더 눈여겨 보면 좋을거같다.

8. 시험결과는 점수가 바로 나오지 않으며, 약 3주 뒤에 확인할수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매 시험마다 시험문제는 바뀐다.

즉 기출을 풀고가면 어느정도 도움은 되겠지만 과거에 나왔던 문제는 거의 안나온다고 봐야된다..

리눅스에 자신이 없다면 2급을 먼저 보라고 권하고싶다.

모두 화이팅 하시기 바란다.

밑에 파일은 리눅스마스터1급 2차 기출문제이며 모두에게 도움되었으면 좋겠다.

감사합니다

제1601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46MB 제1602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47MB 제1701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53MB 제1702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pdf 0.46MB 제18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1차 A형_정답추가.pdf 0.47MB 제1802회_리눅스마스터 1급 2차 A형_답안추가.pdf 0.43MB 제19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pdf 0.34MB 제1901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모범답안(수정).pdf 0.23MB 제19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pdf 0.40MB 제1902회 리눅스마스터 1급 2차 모범답안.pdf 0.22MB 제2001회_리눅스마스터_1급_2차(추가1).pdf 1.31MB

반응형

리눅스 마스터 1급 합격 후기 (+필기, 실기)

반응형

필기

필기 합격

기존에 리눅스 마스터 2급을 땄었다.

하지만 2급은 그저 말이 국가공인이지 사실상 학점 취득용도 빼면 취업 할 때는 1도 영향 없는 자격증이다.

그래서 1급 정도는 따야 취업할 때 어느정도 우대해준다고 한다.

왜냐하면 1급은 2급에 비해 난이도가 굉장히 높고, 실제 업무에서 많이 쓰이는 명령어와 개념들(프로토콜), 추가적으로 네트워크와 보안을 공부해야만 합격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 말은 즉 리눅스 마스터 2급 때 공부했던 것처럼 공부하면 합격이 불가능 할 수도 있는 소리다.

단순히 기출만 많이 풀어서 될 문제가 아닌 전체적으로 개념을 이해하고 풀어야한다.

기출에 있는 문제들 싹다 외워도 다음 회차에서 신 유형들이 너무 많이 보이기 때문에 이해를 하지 않은 이상 외우기만 한다며 풀지 못한다.

(어느정도 반복 문제가 있긴 하다.)

일단 본인은 일주일(하루 1시간)정도로 공부하고 시험 치러 갔다.

앞에서 얘기한거에 비해서 좀 학습량이 적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워낙 이쪽 서버, 네트워크 분야가 관심있는 분야이기도 하고 예전부터 혼자서 많이 다루었던 분야이기도 해서 기본 베이스가 깔려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소한 명령어와 옵션들을 많이 봤고,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환경설정 부분의 세부적인 항목들의 역할 등을 70프로 이상은 알아야 한다.

사실상 실제 업무에서는 help과 man을 통해 옵션들을 볼 수 있지만 이건 말그대로 다 외워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다.

일단 공부법은 책을 1도 보지 않았다.

구글링을 통해 1급 요약본을 통해서만 봤고 그것만 봐도 충분하다고 본다.(그래도 양이 은근 많다)

기출문제는 2년치정도 풀어보고 틀린거 위주로 개념을 공부했다.

사실상 리눅스를 많이 접해본 사람들이라면 그렇게 어려운 정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만만하게 볼 시험은 아니니 어느정도 합격할 수 있는 확신이 들때까지 공부하고 시험을 치루기 바란다.

1급 1차 공부할 때 꼭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이 부분 중점으로 공부하길 바란다

왜냐하면 2차 실기 볼 때 70프로 이상은 이 부분에 대해서 나온다.(환경설정 부분이 대부분임)

실기

실기 합격

3문제 빼고 다 맞은거 같다.

결과 95점

시험 난이도는 무난했다.

find, man, help만 제대로 알고 설정 파일 경로만 제대로 숙지해도 반은 먹고 들어간다.

그래서 작업식은 다 맞은거 같아서 아무리 단답식에서 다 틀려도 60점 이상이다.

그럼 이제 어떤식으로 공부했는지 말해보자면..

일단 기출문제 전 3년치 정도에서 나올 수 있는 개념들을 노트에다가 다 정리해놓고(정리만하다 보면 어느정도 뇌에 스며든다)

그리고 기출문제를 다시 한번 다 풀어본다.

처음, 두번째는 40점 50점 60점 일캐 나오는데 상관없다.

점수에 연연하지 말고 틀린 문제들 오답노트하고 그 문제들 중심적으로 개념을 공부한다

그럼 다시 기출 풀었을때 70점 이상은 나온다.

그렇게 계속 반복적으로 풀어보고

리마 1급 2차는 매 시험마다 신유형의 문제들이 나오기 때문에 2013년도 기출문제까지 다 풀어보는것도 좋다.

그리고 처음 보는 문제들이 보일때마다 개념을 전부 숙지해둔다.

그런식으로 개념들, 오답노트 정리하다 보면 꽤 양이 많을것이다.

그리고 공부할때마다 까먹지 않게 한번식 훑어보고 기출문제 반복 풀이하면 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건 실습!

직접 리눅스 설치해서 만져보는것이 중요하기 때문에(man, help, find 등 요런것들)

꼭 centos를 깔아서 문제를 풀면서 같이 만져보길 바란다.

https://jamong1014.tistory.com/58?category=1019921

반응형

리눅스 마스터 1 급 실기 |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인기 답변 업데이트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키워드에 대한 정보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다음은 Bing에서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 영진닷컴
  • 이직
  • 리눅스마스터
  • yt:cc=on
  • 투잡
  • 무료
  • 자격증
  • 1급
  • 단기완성
  • 취뽀
  • 합격
  • KAIT
  • 취준생
  • 동영상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 이기적
  • 스팩
  • 리눅스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YouTube에서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리눅스마스터1급] 제1801회 2차 | 리눅스 마스터 1 급 2 차,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맨발 로 걷는 꿈 | [해몽담Tv] #1. 신발이 없어서 맨발로 걷는 꿈 해몽 22 개의 정답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