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심장 전도 계 |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188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심장 전도 계 |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188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심장 전도 계 –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성간천사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390회 및 좋아요 7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심장 전도 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 심장 전도 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구독하기 (Subscribe) : https://www.youtube.com/channel/UCfLMGU51AgbVD0oemjz4oMA
안녕하세요 ~ 성간천사입니다^^
오늘의 영상은 심장전도계와 심전도를 준비해봤습니다~
이번에 심전도 재미에 푹 빠져보시죠 !!
#간호사국가고시 #간호사국시 #국시 #간호사 #성인간호 #성인간호학 #성간천사 #심장전도계 #심전도 #국시강의 #간호사국시강의

심장 전도 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3.심장의 자극 전도계 – 네이버 블로그

3.심장의 자극 전도계 · 1)동방결절 (sinoatrial node, SA node). ​. ​. ​. ​. -우심방의 상부인 상대정맥의 개구부 밑에 위치 · 2)방실결절(AV node). ​.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5/2021

View: 6857

심장 전기 전도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장 전기 전도계(electrical conduction system of the heart)는 굴심방결절에서 시작되어 심근의 수축을 일으키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심장의 구조이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9/9/2021

View: 2096

심장의 생리 –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 부정맥 … – 조상호

심장의 생리 –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 부정맥 Arrhythmia ② ) · 1) SA node (동방결절) · 2) AV node (방실결절) · 3) AV bundle, His bundle ( …

+ 더 읽기

Source: heartguide.tistory.com

Date Published: 2/19/2021

View: 7626

심장 이해하기 – [부정맥]심장 전기 전도계와 심전도 검사

길고 굵은 섬유이다. 전기 전도 속도는 2~4m/초로 매우 빠르다. 이 퍼킨지 섬유가 심장전체의 심실내막 아래에 도달하여 …

+ 여기를 클릭

Source: heartmuseum.kr

Date Published: 3/17/2022

View: 503

심장 전도계 – 인슈넷

심장 전도계의 정의 및 기능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의 : 심장 전도계(heart conduction system)는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고 이 자극을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insunet.co.kr

Date Published: 9/7/2022

View: 766

전도 장애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만들어진 전기 자극이 자극전도계를 통하여 심장 근육으로 전도되면서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게 됩니다. 자극전도계는 크게 동결절, 방실결절 및 심실 내 전도로로 나뉩니다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amc.seoul.kr

Date Published: 1/2/2021

View: 5737

심장 자극 전도계 cardiac conduction system – 호호바다

전기자극은 심실중격을 제외한 심실 부위 중 전중격부위(Anteroseptal)에 가장먼저 전도되고, 좌심실의 후기저부위(posterobasal), pulmonary conus, 심실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hohobada.tistory.com

Date Published: 5/21/2021

View: 1814

부정맥이란 – 대한부정맥학회

심장 박동이 잘 유지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심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 전달체계가 건강해야 합니다. 이 전기 전달체계를 심장전도계 (Cardiac conduction system) …

+ 더 읽기

Source: www.k-hrs.org:4433

Date Published: 5/14/2021

View: 262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심장 전도 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심장 전도 계

  • Author: 성간천사
  • Views: 조회수 2,390회
  • Likes: 좋아요 73개
  • Date Published: 2021. 1.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OPuMX802abw

3.심장의 자극 전도계

​3. 심장의 자극 전도계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고 이 자극을 심장전체에 전달함으로써

자율적으로 율동하고 수축하는 특수한 신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1)동방결절 (sinoatrial node, SA node)

-우심방의 상부인 상대정맥의 개구부 밑에 위치

-크기는 5x20mm정도의 결절

-주기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켜 심장박동을 일으키므로 심박조절자(pacemaker)라고 한다.

-전기자극이 물결모양으로 방실결절에 전달되면 좌,우심방이 수축하고

이때의 흥분상태는 심전도 상에서 p파로 나타난다.

-전도계중 동방결절이 자극형성 속도가 가장 빨라 정상인에서 심박동을 조율한다.

-동방결절 이외의 부위는 잠재성 심박조절자로서 동방결절이 기능을 잃은 경우 조율한다.

-고유의 전기적 자극 형성 속도는 동방결절이 60-100회/분, 심방벽이 70~75회/분,

방실 연접부가 40~60회/분, 심실벽은 30~40회/분

2)방실결절 (AV node)

-좌,우 심방 중격의 하부와 관상정맥동 앞의 우심방 심내막하에 위치

-심방과 심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아주 작은 조직

-크기는 2x5mm

-동방결절로부터 전기적 자극을 받게 되면 심방이 수축을 시작하게 되며

-방실결절에서 수축은 심방수축이 끝날때 까지 0.1초 지체 후 히스 속으로 전도된다.

-동방결절 기능이 이상하면 방실 접합부(AV junction)에서 40~60회/분의 흥분이 발생되어 심박동을 유지

-정상상태에서 방실결절에서의 흥분은 동방결절에 의해서 억제된다.

-방실결절에서의 흥분은 동방결절의 정상적인 동성 리듬이 이소성 리듬(nodal rhythm)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이소성 심방리듬이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심방의 동결절이라는 곳에서 자동적으로 전기자극이 주기적으로 만들어지고 심장 전체로 퍼져서 심장이 뛰게 되는데 동결절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때 동결절 외의 부위에서 전기자극이 만들어질수 있다.

3)히스속-푸르킨예 섬유

-방실 속(AV bundle)이라고 한다.

-심실중격 상부의 약간 우측의 심내막하에 위치

-길이가 15~20mm

-방실결절과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다시 심실중격속에서 좌우가지로 갈라져 심첨부까지 연결된다.

-자극은 심근다발에 있는 푸르킨예 섬유에 도달되어 좌우심실이 수축하게 된다.

-좌위 심실의 수축은 심전도 상에서 QRS군으로 나타난다.

공감눌러쥬세용​

심장 전기 전도계

심장 전기 전도계(electrical conduction system of the heart)는 굴심방결절에서 시작되어 심근의 수축을 일으키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심장의 구조이다. 굴심방결절에서 만들어진 심박조율기 신호는 우심방을 따라 방실결절로 전해진다. 이후 히스다발을 지난 후 다발가지까지 전해져 심근의 수축을 일으킨다. 수축 신호는 우심방과 좌심방의 수축을 먼저 일으키고 그 다음에 우심실과 좌심실을 수축시킨다. 이 과정을 통해 혈액을 온몸으로 펌프질할 수 있다.

심장 전기 전도계는 특수화된 심근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심근층에 존재한다. 심장 전기 전도계는 섬유성의 심장골격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기 전도계의 신호는 심전도로 관찰할 수 있다. 전기 전도계의 기능 이상은 불규칙하거나, 빠르거나, 느린 심장 리듬을 만들어 부정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구조 [ 편집 ]

심장의 수축 리듬을 유지하는 전기 전도계의 모습

우심방에 위치한 굴심방결절에서 시작된 전기 신호는 심방이 수축하게 만든다. 만들어진 신호는 심방사이막에 위치한 방실결절로 이동한다. 방실결절에서 신호 전달은 약간 전달이 지연되고, 이 늦어지는 전달은 심방 수축 이후에 심실 수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후 전기 신호는 나누어져 왼쪽과 오른쪽, 양쪽 심장에서 히스다발과 푸르키네 섬유를 통해 심장 꼭대기의 심장속막까지 전달된다. 마지막에는 심실의 심장바깥막까지 전달되어 수축을 일으킨다.[1] 이 전기 신호는 정상적인 경우 정상 굴리듬으로 형성되어 심장의 수축과 이완이 리듬에 맞춰 제대로 일어나도록 한다.

탈분극은 사이원반에 위치한 간극연접을 통해 인접한 세포로 전파된다. 실제로 세포융합이 일어나 같은 세포막을 공유하는 합포체는 아니지만, 심장은 일종의 ‘기능적인 합포체’로서 전기 신호는 세포들 사이에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전파된다. 전기 신호가 자유롭게 전파되며 심근은 하나의 수축 단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심근은 빠르게 동시에 탈분극이 일어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이런 이득이 있지만, 이런 특성은 잘못된 전기 신호가 발생할 때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심근 경색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간극연접은 폐쇄되어 손상되었거나 죽은 세포를 고립시킬 수 있다.

발달 [ 편집 ]

심장 전기 전도계 형성의 발생학적 근거는 이 특수화된 세포들의 역할을 분명히 한다. 심장의 신경 분포는 일차적으로 부교감신경계 콜린성의 뇌에서 온 신경만이 존재한다. 이후 이차적으로 가슴 척수신경절이 형성되고 여기서 나온 교감신경계 아드레날린성의 신경이 빠르게 성장해 분포한다. 삼차적으로는 다른 말초 장기가 형성되며 미주신경이 심장에 분포한다.[2]

기능 [ 편집 ]

활동전위 생성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심장 활동전위 입니다.

심근은 신경 세포나 골격근과 비슷한 점도 일부 있고 중요한 특수 기능도 가진다. 신경 세포처럼 심근세포는 휴지기에 음의 막 전위를 가진다. 역칫값보다 큰 자극이 주어지면 전압 개폐 이온 통로를 열리도록 유도해 세포 안으로 양이온이 들어온다. 양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면 활동전위의 탈분극을 일으킨다. 골격근에서처럼 탈분극은 전압 개폐 칼슘 통로가 열려 가로세관(T-세관)에서 Ca2+가 방출되도록 만든다. 칼슘이 들어오면 근소포체에서 칼슘 유도 칼슘 방출(CICR)을 일으키고 유리된 Ca2+가 근수축을 일으킨다. 약간의 지연 이후 칼륨 통로가 다시 열려 K+이 세포 밖으로 나가며 재분극을 일으키고 막 전위는 휴지기로 돌아간다.[3][4]

결절의 세포와 심실 세포 사이에는 중요한 생리학적 차이점이 있다. 굴심방결절 세포가 다른 세포와 구분되는 특이한 점은 이온 통로와 분극의 기전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굴심방결절의 심박조율기 활성에 필요한 자발적 탈분극이다.

효율적 혈액 순환 [ 편집 ]

수축의 효율과 심박출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심장 전기 전도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심방에서 심실로 신호가 넘어갈 때 긴 지연 시간이 존재한다. 이 지연되는 시간 동안 심방은 심실로 혈액을 완전히 비울 수 있게 된다. 지연 시간이 없다면 심방과 심실이 거의 동시에 수축하며 역류가 발생하고 혈액 이동이 비효율적이게 된다. 심방은 전기적으로 심실과 떨어져 있으며 오직 방실결절이 둘 사이의 전기적 연결 통로이다. 방실결절이 심방에서 심실로 넘어가는 전기 신호를 지연시킨다.

심실 세포의 협조된 수축. 심실은 혈관으로 혈액을 강제로 내보내기 위해 수축기 압력을 최대화해야 하므로 모든 심실 세포가 일제히 수축할 필요가 있다. 심장 꼭대기에서 시작된 심실 수축은 위쪽으로 진행해 대혈관으로 혈액을 박출한다. 출구 쪽으로 혈액을 쥐어짜는 수축은 모든 방향에서 단순히 쥐어짜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 심실의 자극은 방실결절에서 오지만 히스다발이 꼭대기 쪽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탈분극은 심근을 통해 매우 빠르게 전파된다. 심실의 세포는 모두 거의 동시에 수축한다. 심근의 활동전위는 특이하게 계속 유지된다. 이로 인해 조기이완을 막고 모든 심근이 탈분극되어 수축될 때까지 처음의 수축이 유지되도록 만든다.

테타니가 없다. 수축 이후에 심장은 다시 혈액을 채울 준비를 하기 위해 이완되어야 한다. 이완 없이 심장이 계속 수축을 유지하면 치명적일 수 있으며 이런 위험을 막기 위해 특정 이온 통로가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된다.

심전도 [ 편집 ]

심전도 형성의 원리. 심장에 그려지는 빨간 선은 탈분극이 전파되는 것이며 혈액 흐름이 아니다.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것이다.

굴심방결절 – P파 [ 편집 ]

정상 상태에서 전기 신호는 심박조율기인 굴심방결절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된다. 이 전기 자극은 우심방 전체를 통해 전파되며 바흐만다발을 통해 좌심방으로도 퍼진다. 따라서 심방의 심근이 수축된다. 심방 전체로 전기 자극이 전달되는 것은 심전도상에서 P파로 보인다.[3][5]

심방에서 전기 신호는 굴심방결절과 방실결절 사이의 결절사이경로라는 특수한 경로를 따라 전달된다.

방실결절과 다발 – PR 간격 [ 편집 ]

방실결절은 전기 전도계에서 신호를 지연시킨다. 이 지연이 없다면 심방과 심실이 동시에 수축하여 혈액이 심방에서 심실로 효율적으로 흘러갈 수 없게 된다. 방실결절에서의 지연은 심전도상에서 PR 세그먼트로 대부분 나타나고 PR 세그먼트의 일부는 심방 재분극 기간이다.

방실결절 먼쪽의 전도계는 히스다발이다.[6] 히스다발은 오른다발가지와 왼다발가지로 심실사이막에서 두 다발가지로 갈라진다. 왼다발가지는 좌심실을, 오른다발가지는 우심실을 활성화한다.

왼다발가지는 짧고, 얼마 안 가 왼앞섬유속과 왼뒤섬유속으로 갈라진다. 왼뒤섬유속은 비교적 짧고 넓으며 혈액 공급을 두 곳으로 받아 허혈성 손상에 강하다. 왼뒤섬유속은 꼭지근으로 자극을 전달해 승모판이 닫히게 한다. 왼뒤섬유속이 짧고 넓기 때문에 꼭지근에 도달하는 자극은 탈분극과 좌심실 심근 수축 직전에 도착한다. 따라서 힘줄끈은 미리 긴장되어 좌심실 수축 동안 승모판을 통한 혈류 저항을 증가시킨다.[3] 이 기전은 자동차 안전벨트가 미리 팽팽해지는 것과 비슷하다.

푸르키네 섬유와 심실 심근 – QRS파 [ 편집 ]

두 개의 다발가지는 수많은 푸르키네 섬유를 만들어 심근세포의 개별 그룹을 수축시킨다.[3]

심실 심근을 통해 전기적 활성이 전파되면 심전도상에서 QRS파로 나타난다.

심방 재분극이 일어나지만 심전도에서는 QRS파 동안의 심실 탈분극에 의해 나타나지 않는다.

심실 재분극 [ 편집 ]

마지막으로는 심장이 휴지기로 돌아가는 심실의 재분극이 일어난다. 심전도상에서 심실 재분극은 J파, ST 세그먼트, T파, U파를 포함한다.[7]

가슴을 통해 측정된 심전도의 PQRS 부분은 주로 교감신경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파(와 종종 U파)는 주로 부교감신경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부교감신경계 성분은 미주신경과 가슴 더부신경핵을 통해 뇌줄기에서 나오는 것이다.

굴심방결절에서 분당 60-100회의 속도로 발생하는 자극(활동전위)는 정상 굴리듬이라고 한다. 만약 굴심방결절의 자극이 분당 60회보다 느리게 발생하면 굴느린맥, 분당 100회보다 빠르게 발생하면 굴빠른맥이라고 한다. 굴느린맥과 굴빠른맥은 반드시 나쁜 증상은 아니다. 가령 훈련된 운동 선수들은 보통 운동하지 않고 쉬는 중일 때 심박수가 분당 60회보다 적다. 만약 굴심방결절이 활동전위를 만들지 못하면 방실결절이 주된 심박조율기 역할을 대신하여 분당 40-60회의 속도로 신호를 생산한다. 이 리듬은 P파가 없거나 뒤집혀 보이는 게 특징적이다. 굴심방결절과 방실결절이 모두 자극을 개시하는 데에 실패한다면 심실이 자체적으로 분당 20-40회의 속도로 전기 자극을 발사하며 이때 QRS파의 길이는 120ms 이상으로 나타난다.

임상적 중요성 [ 편집 ]

부정맥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부정맥 입니다.

부정맥은 심장 박동의 비정상적인 리듬이나 속도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비정상적인 리듬이나 속도는 생리학적이지 않은 경우로 정의된다.

속도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느린맥 빠른맥 입니다.

휴식 중인 평상시의 심장의 심박수가 분당 60회 미만이거나 분당 100회를 넘을 경우 부정맥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분당 60회 미만의 심박수는 느린맥(서맥)이며 100회를 넘는 경우 빠른맥(빈맥)이라고 한다.

생리학적 [ 편집 ]

훈련된 운동선수와 같은 몇몇 사람들은 운동하고 있지 않을 때 심박수가 분당 60회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 굴심방결절이 신호를 만드는 데에 실패한다면 방실결절이 대신 심박조율기 역할을 한다. 방실결절의 신호 생성 속도는 조금 더 느린 분당 40-60회이다. 이 리듬에서 P파는 없어지거나 뒤집혀서 나타난다. 굴심방결절과 방실결절이 모두 전기 자극 생성에 실패한다면 심실이 대신 직접 전기 자극을 분당 20-40회의 속도로 발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심전도상에서 QRS파가 120ms보다 길게 나타난다.

심박조율기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인공심박조율기 입니다.

부정맥이 발생했을 때 인공심박조율기가 수술을 통해 전도계로 삽입되어 대신 주기적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심장의 생리 –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 부정맥 Arrhythmia ② )

심장의 생리 – 심장전도계 Conduction system ( 부정맥 Arrhythmia ② )

Link

2012/02/12 – [심장의 구조와 생리] – 심장의 생리 – 정상 심박동 ( 부정맥 Arrhythmia ① )

1. 심방과 심실의 박동

(1분에 60~80 회의 박동, 싸이클)

심장은 세개의 방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좌심방, 우심방) 이 있고,(좌심실, 우심실) 이 있습니다. 심장이 뛰는 한번의 싸이클 동안각각의 방은 혈액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는 과정을 수행하게되는데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서는 각각의 방이 수축을 해야 합니다. 아래의 동영상을 보시면..위쪽에 있는 좌우의 심방이 동시에수축을 하고, 그 다음에 아래쪽에 있는 좌우의 심실이 동시에 수축을 하게 됩니다.

2. 심장 전도계 Conduction System

SA node -> 심방으로 전파, 심방을 수축 -> AV node -> His bundle -> 좌우 다발분지 -> Purkinje 섬유를 통해 좌심실 및 우심실 수축

운동장 만한 사무실의 천장에 나란히 달려 있는 형광등을 켜는 것에 비유를 해보겠습니다. 전기 스위치를 켜면 스위치에 연결된전선을 타고 전류가 흘러 스위치 가까운 곳의 형광등부터 차려대로 불이 쭈욱~ 켜지겠죠. 저 먼곳의 형광등까지….심장의 정상적인 , 규칙적인 심장 박동을 유발하는 심장의 전도계 또한 이와 같습니다. 전기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동방결절(SAnode) 에서 전기적인 자극이 발생을 하면, 전선 (전도계, conduction system) 을 타고 전기자극이 흐르다가 심장근육을 순차적으로 수축시키게 됩니다.

1) SA node (동방결절)

2) AV node (방실결절)

전도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늦춰주는

3) AV bundle, His bundle ( 동방 다발, HIs 다발 )

4) Left bundle branch / Right bundle branch

5) Purkinje fiber

① 우심방과상대정맥의 경계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② 규칙적으로 1분에 60회~100회의 전기적인 자극을 자율적으로 만들어 내는 일종의라고 생각하시면되겠습니다. 전기적인 자극을 만들어 내는 세포가 ( 이하) SA node 에서 자극을 규칙적으로만들어 내게 됩니다.③ SA node 에서이 만들어 지면 (Electrical impulse) 위 그림과 같이 우심방과 좌심방으로 자극이전달되어하게 됩니다.④ 이 단계에서 우심방 및 좌심방에 있던 혈액이 심실로 흘러 들어가게 됩니다.① 위 그림에서와 같이 심방간 벽 (Interatrial septum) 의 아래쪽, 삼첨판막 (tricuspid valve ) 과의 경계, 심방과 심실의 경계 (AV junction) 에 위치하고 있습니다.②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심방에서 넘어 온 혈액이 잘 채워질 수 있도록역할을하게 됩니다. 일종의 장애물? 또는? 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① 잠시 늦춰졌던 전도가 다시② 넓은 범위의 좌심실과 우심실이 동시에 수축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좌다발 / 우다발 분지로 나뉘어 지고 각각Purkinje 섬유로 분지하여 곳곳에 분지하게 됨으로써 빠른 시간에 전기적 자극이 전도되어 우심실과 좌심실이 동시에 수축하게 됩니다.

[부정맥]심장 전기 전도계와 심전도 검사

심장박동과 전기 전도계

심장은 전기 자극으로 수축하는데 심장에는 발전소와 전선이 있다.

동방결절(Sinoatrial node)은 상행 대정맥과 우심방의 경계선에 있는데 전기가 처음 시작되는 곳이다.

동방결절은 우심방 삼첨판 부근에 있으며 동방결절의 전기를 심실로 통하는 전선으로 보내는 변전소와 같다.

심실의 두꺼운 근육이 강력한 힘으로 수축하기 위해서는 모든 근육이 동시에 수축해야 한다.

히스(His) 다발이라고 하는 고압선으로 전기를 보내서 심근 세포로 전달한 후 모든 근육이 동시에 수축하도록 한다.

심장 박동이 불규칙하다는 것은 전기 전도계의 전선이 누전, 합선되거나 근육에 화재가 발생한 것과 흡사하다.

히스 섬유다발과 퍼킨지 시스템

‘히스 섬유다발’(Bundle of His)은 방실결절에서 시작되어 심실중격을 따라 내려 가는 특수 전도 조직이다. 한 다발은 오른쪽,

한 다발은 왼쪽으로 내려가는 퍼킨지 시스템에 연결된다. 퍼킨지 시스템은 심실 벽 구석구석까지 파고 들어가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왼쪽, 오른쪽으로 분지된 전방에는 더욱 미세하게 분지를 반복하는 부분을 퍼킨지 섬유로 불리며 길이는 수백µm, 직경은 10~100µm로 현저하게

길고 굵은 섬유이다. 전기 전도 속도는 2~4m/초로 매우 빠르다. 이 퍼킨지 섬유가 심장전체의 심실내막 아래에 도달하여 전기 자극을 전도한다.

퍼킨지 시스템은 1845년 보헤미아의 해부학자 요하네스 푸르키니에 (Johannes E. Purkinje)가 발견했으며,

‘히스 섬유다발’은 1893년 독일의 심장 전문의이자 해부학자였던 빌헬름 히스 2세 (Wilhelm His Jr.)가 처음 기술했다.

참고 문헌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al_conduction_system_of_the_heart

https://ja.wikipedia.org/wiki/%E5%88%BA%E6%BF%80%E4%BC%9D%E5%B0%8E%E7%B3%BB

심전도 검사

심전도(Electrocardiogram,ECG, Elektrokardiogram, EKG)는 심장에 흐르는 미세한 전기를 증폭하여 그래프로 표현한다.

심장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가슴에 6개, 양 어깨와 양 발목에 전극을 설치하고 심전도를 그리는데 검사 중에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심장병이 있으면 전기 흐름의 방향과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심전도를 보면서 심장의 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

가슴에서 6개 채널, 팔다리에서 6개 채널을 그려서 12채널 심전도라고 한다.

[그림] 심전도 기록 예

(이미지 출처: https://www.intmath.com/blog/wp-content/images/2010/03/ECG-full.jpg)

심장 자극 전도계 cardiac conduction system

반응형

Conduction system_자극 전도계

이전 이전 01234 Conduction system

1. 심장의 전기적 활성

l 혈액 방출을 일으키는 심장근육들의 수축은 세포막에서 발생하는 활동전위에 의해 유도된다.

l 자동조율성(autorhythmicity or automaticity, auto는 ‘자신’을 의미함)

: 심장의 수축이나 박동은 자체적으로 일어나는 활동전위에 의해 나타나는 성질

l 심장에는 두가지 특화된 근 세포가 존재한다.

1) 수축담당세포(Contractile cell)

(1)심장근의 99%차지하며, 혈액을 내보낼 수 있도록 기계적인 일을함

(2)이 세포들은 보통 자신이 스스로 활동전위를 만들어내지 않는다.

2) 자동조율세포(autorhythmic cell)

(1)적은 수지만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나머지 심장세포

(2)수축하지 않는 대신 활동전위를 만들고 전달하여 수축담당세포의 수축 유도에 특화되어 있다

(3) 자동 조율세포는 2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진다.

(3)-1 Pacemaker cell

– 심장의 박동을 생성한다.

(3)-2 conduction fibers

– 전기 신호를 심근으로 전달하는 섬유이다. 이 섬유는 다른 심근세포보다 직경이 커서 활동전위의 신속한 전도에 특화되어 있다.

Conduction system : Sinoatrial node(동방결절), Internodal atrial pathway(결절간심방경로), Interatrial trac or Bachmann’s bundle(심방간경로), Atrioventricular node(방실결절), His bundle(히스속), Right bundle branch(우각), Left bundle branch(좌각), Left anterior fascicle(좌측 전면 섬유속), Left posterior fascicle(좌측 후면 섬유속), Purkinje fiber(푸르킨예 섬유)

2. 정상맥박의 발생

자동조율이 가능한 비수축성 심장세포들은 다음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 발견된다.

①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

정상심장에서 전기자극을 형성하는 부위로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과 우심방의 접합부에 위차하며 크기는 5*20mm 정도이다.

동결절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결절동맥의 약 60%는 우측관상동맥에서 시작하고 약 40%는 죄측회선지(circumflex)동맥에서 시작한다. 동결절에는 교감 및 부교감 신경과 신경절이 풍부하다.

② 결절간심방경로(Internodal atrial pathway)

동방결절에서 형성된 전기자극을 방실결절에 전도하는 심방내 경로로서 전결절간경로, 중결절간경로, 후결절간경로로 구분되나 이들 경로들의 해부학적 존재는 확실하지 않다.

③심방간경로(Interatrial tract, Bachmann’s bundle)

동결절의 전기자극은 우심방과 좌심방으로 전도되며, 좌심방으로는 심방간경로인 Bachmann속을 통하여 전도된다.

④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방실결절은 Koch삼각형(Todaro건, 삼첨판막의 septal leaflet 및 관정맥동입구가 이루는 삼각형)의 첨부에 위치하며, 크기는 2*5mm 정도이다. 방실결절은 His속으로 바뀌어 central fibrous body를 통과한다. 심방으로부터 전기자극은 방실결절을 통하여 His속으로 전도되며, 정상인에서 방실결절은 심방과 심실의 유일한 전도로이다.

방실결절의 전도속도는 자극전도계 중 가장 느려 심전도 PR간격은 대부분 방실결절 전도시간이다. 방실결절에는 전기자극형 세포가 없으나 방실결절 주위조직(방실접합부)에는 전기자극형 세포가 있어 40~60회/분의 전기자극을 형성한다.

방실결절의 약 90%는 우측관상동맥 분지에 의해 혈액공급이되므로 우측관상동맥 폐쇄로 인한 하벽부 심근경색에서 방실결절 전도장애가 잘 발생된다. 방실결절의 약 10%는 좌측 회선지동맥에 의해 혈액이 공급된다.

⑤ His속(His bundle)

방실결절의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central fibrous body를 지나 막형(membranous) 심실중격에 위치하며, 길이가 15~20mm 정도이다. His속은 동질성 조직이 아니며 여러 개의 종주로(longitudinal tract)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종주로는 각으로 직접 이어진다. His속은 대동맥판막, 삼첨판막 및 승모판막을 유지하는 central fibrous body를 통과하기 때문에 이들 판막에 질환이 있으면 쉽게 His속에 영향을 주어 방실차단이 발생한다.

His속은 방실결절동맥과 좌전하행동맥의 first septal perforator에 의해 혈액이 공급된다.

⑥각(Bundle branch)

His속은 근육형(Muscular) 심실중격에서 우각 및 좌각으로 나뉜다. 우각은 심실중격의 우측 심내막을 지나며, 좌각은 심실중격의 좌측 심내막을 지나면서 좌각전섬유속(left anterior fascicle)과 좌각후섬유속(left posterior fascicle)으로 나뉜다. 좌각전섬유속은 narrow band모양으로 좌심실과 심실중격의 전부와 상부에 자극전도하며, 좌각후섬유속은 broad band모양으로 좌심실과 심실중격의 후부와 하부에 자극전도한다. 좌각전섬유속과 좌각후섬유속의 근위부에서 심실중격의 좌측 심내막에 좌각중격섬유(left septal fiber)가 분지하여 심실중격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자극전도된다.

좌각전섬유속은 우각과 동일한 동맥에 의해 혈액이 공급되어 좌각전섬유속의 전도 장애가 동시에 발생하는 수가 많다.

⑦Prukinje 섬유

좌우심실의 심내막하에 널리 퍼져있는 Purkinje섬유를 통하여 좌각과 우각으로부터의 전기자극이 심근에 전도된다. 전기자극은 심실중격을 제외한 심실 부위 중 전중격부위(Anteroseptal)에 가장먼저 전도되고, 좌심실의 후기저부위(posterobasal), pulmonary conus, 심실중격의 최상단부위 등에 가장 늦게 전도된다.

동방결절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는 심방사이중격(interatrial septum)의 후하방에 위치하는 방실결절로 전달된다. 전기 신호는 방실결절에서 일정 시간 지연되며, 심실사이중격(interventricular septum)의 뒤쪽을 관통하는 bundle of his로 전달된다. 심실사이중격 내에서 bundle of his는 왼갈래(left bundle branch)와 오른갈래(right bundle branch)로 갈라져 각 심실로 주행하고 심내막하(subendocardium)에서 Purkinje fiber를 내보내어 심실근육에 분포시킨다.

전기 신호가 bundle of his를 따라 유두근(papillary muscle)에 전달되면 유두근 수축이 일어나 방실판막(atrioventricular valve)이 열린다. 전기 신호가 Purkinje fiber를 따라 심실벽에 전달되면 심실 수축이 일어나는데, 이 두 사건의 시간적 차이가 심실 수축 시 혈액이 심방으로 역류되는 것을 막아준다.

Reference

1. Lauralee Sherwood, 인체생리학 제9판, 라이프사이언스

2. Yun Shik Choim, M.D., FIFTH EDITION Clinical Electrocardi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을 쉽게 푸는 모임, 7th EDITION 쉽게 풀어 쓴 심장학, 예당북스

Copyright, 2020. 호호바다(별이온다) all rights reserved.

↓별이온다 인스타그램 링크↓

https://www.instagram.com/byul2onda/

728×90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심장 전도 계

다음은 Bing에서 심장 전도 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 #성간천사
  • #심전도계
  • #심전도
  • #간호사국가고시
  • #간호사국시 #국시 #강의
  • #간호사국가고시강의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YouTube에서 심장 전도 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장전도계], [심전도 살짝 알아보기] | ♡성간천사♡ | | 심장 전도 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삼성 카드 포인트 현금 전환 | 카드포인트통합조회 및 현금화 서비스 ! 숨어있는 카드포인트 손쉽게 통합조회하고 즉시 내 통장에 입금하세요 | 시금취 상위 248개 답변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