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거실 제연 설비 란 |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빠른 답변

거실 제연 설비 란 |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빠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거실 제연 설비 란 –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에듀파이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1,680회 및 좋아요 58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거실제연설비는 초기 화재 상황에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연기층이 호흡선 이하로 내려오지 않도록 해 재실자의 안전한 대피를 도와주는 피난보조설비다. 또 소방대원이 화재 발생 장소에서 원활히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거실 제연 설비 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 거실 제연 설비 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거실 제연 설비 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제연설비 (Smoke Control System) – ulsansafety – 티스토리

제연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송풍기(급·배기용), 풍도(급기·배출), 급기구, 배출구, 댐퍼, 연기감지기, 수동기동장치, 제연경계벽, 수신기 등이며, 그 …

+ 여기에 표시

Source: ulsansafety.tistory.com

Date Published: 2/27/2021

View: 256

[스크랩] 제연설비의 종류, 제연방식에 분류, 밀폐 … – Daum 블로그

[스크랩] 제연설비의 종류, 제연방식에 분류, 밀폐제연방식, 배연설비, 자연제연방식, 스모크타워 제연방식,기계제연방식,전실, 부속실제연설비, 거실제연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0/13/2022

View: 8122

제연 설비의 이해 – 별의 Life

거실제연설비는 화재로 발생한 연기를 건물 밖으로 빼내는 동시에 건물 안으로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피난자가 피난을 쉽게 하고 소방대가 건물 안에서 …

+ 여기를 클릭

Source: skystar7.tistory.com

Date Published: 1/2/2022

View: 5536

9번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해설).hwp

나. 제연설비의 종류. 제연설비는 설치된 장소에 따라 거실제연설비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제연설비로 구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mois.go.kr

Date Published: 10/21/2021

View: 4483

<용어> 제연설비

<용어> 제연설비 … “화재시 건물 안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유동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말합니다. …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가장 인명피해를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notsunmoon.tistory.com

Date Published: 10/20/2021

View: 884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거실 제연 설비 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거실 제연 설비 란

  • Author: 에듀파이어
  • Views: 조회수 51,680회
  • Likes: 좋아요 586개
  • Date Published: 2021. 1. 1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gzINMAf_sOU

제연설비 (Smoke Control System)

smoke control system

1 화재 발생시 연기와 유독가스의 위험성

화재발생시 사상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독가스에 의하여 질식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및 유독가스를 처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직방향으로 연기가 상승하는 속도 2~3 m/s 수평방향으로 사람이 이동하는 속도 1.5~2.0 m/s 수평방향으로 연기가 이동하는 속도 0.5~1 m/s 수직방향으로 사람이 계단을 올라가는 속도 0.5 m/s

제연설비는 소화활동설비의 일종으로 건축물의 화재 초기단계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화재실(거실)의 연기는 배출하고 피난경로인 복도, 계단 등에는 연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거주자를 연기로부터 보호하고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방대가 소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연기를 제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연설비의 주요 구성요소는 송풍기(급·배기용), 풍도(급기·배출), 급기구, 배출구, 댐퍼, 연기감지기, 수동기동장치, 제연경계벽, 수신기 등이며, 그 일반적 작동원리는 연기감지기 동작에 따라 작동신호가 수신기로 입력되고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기에서 받아 설비가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연설비는 화재초기에 연기감지기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소방대상물의 규모, 구조 및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2 제연설비

• 제연설비

자연 또는 기계적인 방법(송풍기, 배출기)을 이용하여 연기의 이동 및 확산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비로서 단순히 연기만 배출시키는 배연설비와 구분되어 사용되며, 송풍기로 가압시켜 가압공간내로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

도록 하는 방연(smoke defense)설비와 배출기로 화재실의 연기를 배출시키는 배연(smoke ventilation)설비로 구분 할 수 있다.

• 제연설비의 종류

제연설비는 설치된 장소에 따라 거실제연설비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제연설비로 구분한다.

거실제연설비

거실은 화재가 발생하는 화재실 이므로 해당 화재실에서 연기와 열기를 직접 배출시켜야 하므로 급기와 배기를 동시 에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급기송풍기와 배기송풍기가 동시에 필요하며 배출시킨 배기량 이상으로 급기를 하여 피난과 소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이나 부속실(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포함)은 화재가 발생하는 화재실이 아니며 거실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거주자가 일시적인 피난을 하거나 소방대가 대기하는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공간에는 급기만을 실시하여 거실보다 압력을 높게 함 으로서 거실의 연기가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제연 방법

방연막 설치

(Smoke barrier)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벽, 문의 설치로 연기 이동을 제어한 것이다. 급기가압

(Pressurization) 연기 차단벽에 의하여 구획된 보호 공간을 화재실로부터 연기의 유입을 막는 기능이며 미국의 NFPA에서 제시하는 차압은 스프링클러설비가 거실에 설치된 건물에서의 압력차는 거실의 경우 12.5 ㎩이다. 공기흐름에 의한 제어 화재실로부터 개구부를 통한 연기의 유입을 반대로 흐르게 함으로서 막는 방법이다. 강제배연

(Smoke forced venting, Forced ventilation system) 배출기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환기하기 위한 것이다. 자연배연 공간의 상부에 배연구를 만들어 축적된 연기를 배연 [스모크타워(smoke

tower), 배연창, 무동력 팬 등]하는 것이다.

*출처 https://lh3.googleusercontent.com/

3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용도 및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 (제15조 관련)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로서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200㎡ 이상 또는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영화상영관으로서 수용인원 100명 이상인 것

2) 지하층이나 무창층에 설치된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또는 창고시설(물류터미널만 해당한다)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이상인 층

3) 운수시설 중 시외버스정류장,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 공항시설 및 항만시설의 대기실 또는 휴게시설로서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천㎡ 이상인 것

4) 지하가(터널은 제외한다)로서 연면적 1천㎡ 이상인 것

5) 지하가 중 예상 교통량, 경사도 등 터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터널

6) 특정소방대상물(갓복도형 아파트등는 제외한다)에 부설된 특별피난계단 또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별표 5]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ㆍ용도 및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제15조 관련) (2).hwp 0.03MB

제연설비 설치 면제 기준

가.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별표 5 제5호가목6)은 제외한다)에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설치가 면제된다.

1) 공기조화설비를 화재안전기준의 제연설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고 공기조화설비가 화재 시 제연설비기능으로 자동전환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2) 직접 외부 공기와 통하는 배출구의 면적의 합계가 해당 제연구역[제연경계(제연설비의 일부인 천장을 포함한다)에 의하여 구획된 건축물 내의 공간을 말한다] 바닥면적의 100분의 1 이상이고, 배출구부터 각 부분까지의 수평거리가 30m 이내이며, 공기유입구가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외부 공기를 직접 자연 유입할 경우에 유입구의 크기는 배출구의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 설치되어 있는 경우

나. 별표 5 제5호가목6)에 따라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중 노대(露臺)와 연결된 특별피난계단, 노대가 설치된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또는 「건축법 시행령」 제91조제5호의 기준에 따라 배연설비가 설치된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에는 설치가 면제된다.

[별표 6]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설치의 면제기준(제16조 관련).hwp 0.02MB

배출구·공기유입구의 설치 및 배출량 산정 제외 기준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제13조(설치제외)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장실·목욕실·주차장·발코니를 설치한 숙박시설(가족호텔 및 휴양콘도미니엄에 한 한다)의 객실과 사람이 상주하지 아니하는 기계실·전기실·공조실·50㎡ 미만의 창고 등으로 사용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배출구·공기유입구의 설치 및 배출량 산정에서 이를 제외한다.

4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시행 2017. 7. 26.] [소방청고시 제2017-1호, 2017. 7. 26., 타법개정]

소방청(소방분석제도과), 044-205-7532

제1조(목적) 이 기준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제1항에 따라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소화활동설비인 제연설비의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5. 10. 28., 2016. 7. 13., 2017. 7. 26.>

제2조(적용범위)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5 소화활동설비의 소방시설 적용기준 란 제5호 가목에 따른 제연설비는 이 기준에서 정하는 규정에 따라 설비를 설치하고 유지·관리하여야 한다.<개정 개정 2012. 8. 20., 2015. 10. 28., 2016. 7. 13.>

제3조(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제연구역”이란 제연경계(제연설비의 일부인 천장을 포함한다)에 의해 구획된 건물 내의 공간을 말한다. <개정 2012. 8. 20.>

2. “예상제연구역”이란 화재발생시 연기의 제어가 요구되는 제연구역을 말한다. <개정 2012. 8. 20.>

3. “제연경계의 폭”이란 제연경계의 천장 또는 반자로부터 그 수직하단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개정 2012. 8. 20.>

4. “수직거리”란 제연경계의 바닥으로부터 그 수직하단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개정 2012. 8. 20.>

5. “공동예상제연구역”이란 2개 이상의 예상제연구역을 말한다. <개정 2012. 8. 20.>

6. “방화문”이란 「건축법 시행령」제64조에 따른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으로써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를 말한다. <개정 2012. 8. 20.>

7. “유입풍도”란 예상제연구역으로 공기를 유입하도록 하는 풍도를 말한다. <개정 2012. 8. 20.>

8. “배출풍도”란 예상 제연구역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풍도를 말한다. <개정 2012. 8. 20.>

제4조(제연설비) ① 제연설비의 설치장소는 다음 각 호에 따른 제연구역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이내로 할 것

2. 거실과 통로(복도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는 상호 제연구획 할 것

3.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4.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내에 들어갈 수 있을 것

5.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층의 구분이 불분명한 부분은 그 부분을 다른 부분과 별도로 제연구획 하여야 한다.

② 제연구역의 구획은 보·제연경계벽(이하 “제연경계”라 한다) 및 벽(화재 시 자동으로 구획되는 가동벽·샷다·방화문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으로 하되,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재질은 내화재료, 불연재료 또는 제연경계벽으로 성능을 인정받은 것으로서 화재시 쉽게 변형·파괴되지 아니하고 연기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 있는 재료로 할 것

2. 제연경계는 제연경계의 폭이 0.6m 이상이고, 수직거리는 2m 이내이어야 한다.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는 2m를 초과할 수 있다.

3. 제연경계벽은 배연 시 기류에 따라 그 하단이 쉽게 흔들리지 아니하여야 하며, 또한 가동식의 경우에는 급속히 하강하여 인명에 위해를 주지 아니하는 구조일 것

제5조(제연방식) ① 예상제연구역에 대하여는 화재 시 연기배출(이하 “배출”이라 한다)과 동시에 공기유입이 될 수 있게 하고, 배출구역이 거실일 경우에는 통로에 동시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통로와 인접하고 있는 거실의 바닥면적이 50㎡ 미만으로 구획(제연경계에 따른 구획은 제외한다. 다만, 거실과 통로와의 구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되고 그 거실에 통로가 인접하여 있는 경우에는 화재 시 그 거실에서 직접 배출하지 아니하고 인접한 통로의 배출로 갈음할 수 있다. 다만, 그 거실이 다른 거실의 피난을 위한 경유거실인 경우에는 그 거실에서 직접 배출하여야 한다. <개정 2008. 12. 15., 2012. 8. 20.>

③ 통로의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이며 마감이 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처리되고 가연성 내용물이 없는 경우에 그 통로는 예상제연구역으로 간주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만, 화재발생시 연기의 유입이 우려되는 통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6조(배출량 및 배출방식) ① 거실의 바닥면적이 400㎡ 미만으로 구획(제연경계에 따른 구획을 제외한다. 다만, 거실과 통로와의 구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된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배출량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개정 2012. 8. 20.>

1. 바닥면적 1㎡당 1㎥/min 이상으로 하되, 예상제연구역 전체에 대한 최저 배출량은 5,000㎥/hr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예상제연구역이 다른 거실의 피난을 위한 경유거실인 경우에는 그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은 이 기준량의 1.5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제5조제2항에 따라 바닥면적이 50㎡ 미만인 예상제연구역을 통로배출방식으로 하는 경우에는 통로보행중심선의 길이 및 수직거리에 따라 다음 표에서 정하는 기준량 이상으로 할 것 <개정 2012. 8. 20.>

② 바닥면적 400㎡ 이상인 거실의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예상제연구역이 직경 40m인 원의 범위 안에 있을 경우에는 배출량이 40,000㎥/hr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에는 그 수직거리에 따라 배출량은 다음 표에 따른다.

2. 예상제연구역이 직경 40m인 원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배출량이 45,000㎥/hr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에는 그 수직거리에 따라 배출량은 다음 표에 따른다.

③ 예상제연구역이 통로인 경우의 배출량은 45,000㎥/hr 이상으로 할 것. 다만, 예상제연구역이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에는 그 수직거리에 따라 배출량은 제2항제2호의 표에 따른다.

④ 배출은 각 예상제연구역별로 제1항부터 제3항에 따른 배출량 이상을 배출하되, 2개 이상의 예상제연구역이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에서 배출을 각 예상지역별로 구분하지 아니하고 공동예상제연구역을 동시에 배출하고자 할 때의 배출량은 다음 각 호에 따라야 한다. 다만, 거실과 통로는 공동예상제연구역으로 할 수 없다. <개정 2012. 8. 20.>

1.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벽으로 구획된 경우(제연구역의 구획 중 출입구만을 제연경계로 구획한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을 합한 것 이상으로 할 것

2.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예상제연구역이 각각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예상제연구역의 구획 중 일부가 제연경계로 구획된 경우를 포함하나 출입구부분만을 제연경계로 구획한 경우를 제외한다)에 배출량은 각 예상제연구역의 배출량 중 최대의 것으로 할것. 이 경우 공동제연예상구역이 거실일 때에는 그 바닥면적이 1,000㎡ 이하이며, 직경 40m 원 안에 들어가야 하고, 공동제연예상구역이 통로일 때에는 보행중심선의 길이를 40m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⑤ 수직거리가 구획부분에 따라 다른 경우는 수직거리가 긴 것을 기준으로 한다.

제7조(배출구) ①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배출구의 설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바닥면적이 400㎡ 미만인 예상제연구역(통로인 예상제연구역을 제외한다)에 대한 배출구의 설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할 것 <개정 2012. 8. 20.>

가.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의 배출구는 천장 또는 반자와 바닥사이의 중간 윗부분에 설치할 것

나. 예상제연구역 중 어느 한부분이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천장·반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에 설치할 것. 다만, 배출구를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출구의 하단이 해당 예상제연구역에서 제연경계의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높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2. 통로인 예상제연구역과 바닥면적이 400㎡ 이상인 통로외의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배출구의 위치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가.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의 배출구는 천장·반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에 설치할 것. 다만, 배출구를 벽에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구의 하단과 바닥간의 최단거리가 2m 이상이어야 한다.

나. 예상제연구역 중 어느 한부분이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을 경우에는 천장·반자 또는 이에 가까운 벽의 부분(제연경계를 포함한다)에 설치할 것. 다만, 배출구를 벽 또는 제연경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출구의 하단이 해당 예상제연구역에서 제연경계의 폭이 가장 짧은 제연경계의 하단보다 높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② 예상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배출구까지의 수평거리는 10m 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제8조(공기유입방식 및 유입구) ①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공기유입은 유입풍도를 경유한 강제유입 또는 자연유입방식으로 하거나, 인접한 제연구역 또는 통로에 유입되는 공기(가압의 결과를 일으키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해당구역으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개정 2012. 8. 20.>

②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공기유입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바닥면적 400㎡ 미만의 거실인 예상제연구역(제연경계에 따른 구획을 제외한다. 다만, 거실과 통로와의 구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에 대하여서는 바닥외의 장소에 설치하고 공기유입구와 배출구간의 직선거리는 5m 이상으로 할 것. 다만, 공연장·집회장·위락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부분의 바닥면적이 200㎡를 초과하는 경우의 공기유입구는 제2호의 기준에 따른다.

2. 바닥면적이 400㎡ 이상의 거실인 예상제연구역(제연경계에 따른 구획을 제외한다. 다만, 거실과 통로와의 구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에 대하여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고 그 주변 2m 이내에는 가연성 내용물이 없도록 할 것

3. 제1호와 제2호에 해당하는 것 외의 예상제연구역(통로인 예상제연구역을 포함한다)에 대한 유입구는 다음 각 목에 따를 것. 다만, 제연경계로 인접하는 구역의 유입공기가 당해예상제연구역으로 유입되게 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2. 8. 20.>

가. 유입구를 벽에 설치할 경우에는 제2호의 기준에 따를 것

나. 유입구를 벽 외의 장소에 설치할 경우에는 유입구 상단이 천장 또는 반자와 바닥사이의 중간 아랫부분보다 낮게 되도록 하고, 수직거리가 가장 짧은 제연경계 하단보다 낮게 되도록 설치할 것

③ 공동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공기 유입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각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되어 있을 때에는 제2항제2호에 따라 설치할 것

2.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에 설치된 각 예상제연구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연경계로 구획되어 있을 때에는 공동예상제연구역 안의 1개 이상의 장소에 제2항제3호에 따라 설치할 것

④ 인접한 제연구역 또는 통로에 유입되는 공기를 해당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공기유입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인접한 제연구역 또는 통로의 유입구가 제연경계 하단보다 높은 경우에는 그 인접한 제연구역 또는 통로의 화재시 그 유입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기준에 적합할 것 <개정 2012. 8. 20.>

1. 각 유입구는 자동폐쇄 될 것

2. 해당구역 내에 설치된 유입풍도가 해당 제연구획부분을 지나는 곳에 설치된 댐퍼는 자동폐쇄될 것 <개정 2012. 8. 20.>

⑤ 예상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의 풍속은 5㎧ 이하가 되도록 하고,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유입구의 구조는 유입공기를 하향 60° 이내로 분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⑥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공기유입구의 크기는 해당 예상제연구역 배출량 1㎥/min에 대하여 35㎠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⑦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공기유입량은 제6조제1항부터 제4항까지에 따른 배출량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제9조(배출기 및 배출풍도) ① 배출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배출기의 배출능력은 제6조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배출량 이상이 되도록 할 것 <개정 2012. 8. 20.>

2. 배출기와 배출풍도의 접속부분에 사용하는 캔버스는 내열성(석면재료는 제외한다)이 있는 것으로 할 것

3. 배출기의 전동기부분과 배풍기 부분은 분리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배풍기 부분은 유효한 내열처리를 할 것

② 배출풍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배출풍도는 아연도금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하며, 내열성(석면재료를 제외한다)의 단열재로 유효한 단열 처리를 하고, 강판의 두께는 배출풍도의 크기에 따라 다음 표에 따른 기준 이상으로 할 것

2. 배출기의 흡입측 풍도안의 풍속은 15㎧ 이하로 하고 배출측 풍속은 20㎧ 이하로 할 것

제10조(유입풍도등) ① 유입풍도안의 풍속은 20㎧ 이하로 하고 풍도의 강판두께는 제9조제2항제1호의 기준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08. 12. 15.>

② 옥외에 면하는 배출구 및 공기유입구는 비 또는 눈 등이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하고, 배출된 연기가 공기유입구로 순환유입 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11조(제연설비의 전원 및 기동) ①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2이상의 변전소(「전기사업법」제67조에 따른 변전소를 말한다)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거나 하나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2. 8. 20., 2016. 7. 13.>

1.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2. 제연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것

3.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4.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의 것(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한다)을 두어서는 아니 된다.

5.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② 가동식의 벽·제연경계벽·댐퍼 및 배출기의 작동은 자동화재감지기와 연동되어야 하며, 예상제연구역(또는 인접장소) 및 제어반에서 수동으로 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제12조(터널의 제연설비 설치기준) 삭제 <개정 2008. 12. 15.>

제13조(설치제외)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장실·목욕실·주차장·발코니를 설치한 숙박시설(가족호텔 및 휴양콘도미니엄에 한 한다)의 객실과 사람이 상주하지 아니하는 기계실·전기실·공조실·50㎡ 미만의 창고 등으로 사용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배출구·공기유입구의 설치 및 배출량 산정에서 이를 제외한다. <개정 2008. 12. 15., 2012. 8. 20.>

제14조(설치·유지기준의 특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기존건축물이 증축·개축·대수선되거나 용도변경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 기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해당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할 제연설비의 배관·배선 등의 공사가 현저하게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설비의 기능 및 사용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제연설비의 설치·유지기준의 일부를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 <개정 2012. 8. 20.>

제15조(재검토기한) 소방청장은「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16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매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전문개정 2015. 10. 28., 2017. 7. 26.>

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C%A0%9C%EC%97%B0%EC%84%A4%EB%B9%84%EC%9D%98%20%ED%99%94%EC%9E%AC%EC%95%88%EC%A0%84%EA%B8%B0%EC%A4%80(NFSC%20501)

제연경계 *draft curtain

https://www.smoke-management.com/wp-content/uploads/smoke-testing-1.jpg

Q. 지하층에 위락시설,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의 용도가 바닥면적 1,000㎡이상으로 거실제연설비가 설치되면 지상층에 위락시설의 용도가 일부 있는 경우 지상층 위락시설에도 거실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지?

A. 지하층이나 무창층에 설치된 해당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이상인 부분에 거실제연을 적용하면 됩니다.

Q. 당 현장은 천장마감이 없고 소방전용 제연설비로 하부급기 상부 배기 방식으로 설치됩니다. 이 경우, 1) 보를 제연경계로 사용할 수 있나요? 2) 제연커튼 (망입유리)을 사용하여 제연구역을 구획하게 된다면 제연커튼에 설비의 배관이나 덕트 등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나요?

A. 상기 제4조 제2항에 의거하여 보를 제연경계로 사용할 수 있 습니다. 2) 제연구역의 제연커튼에 설비의 배관이나 덕트 등의 관통은 불가피할 경우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관통부분에 열, 연기의 이동통로가 되지 않도록 불연재료 이상으로 마감처리를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Q. 제연경계벽으로 망입유리를 사용하는데 미관상 좋지않기 때문에 투명방화유리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법적문제는 없나요?

A. 제4조 제3항에 의거하여 제연경계벽은 배연시 기류에 따라 그 하 단이 쉽게 흔들리지 아니하여야 하며, 또한 가동식의 경우에는 급 속히 하강하여 인명에 위해를 주지 아니하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화재 후에도 제연설비 작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제연 경계의 재질은 화재시 화염이나 화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야 합 니다. 따라서 물성은 내화재나 불연재이어야 하며, 내화재나 불연 재일 경우에도 화열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이나 파손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일반유리, 방화유리의 경우에는 불연재이지만 화재 시 파괴되기에 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유리의 경우에는 망입유 리를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Q. 질의 우리건물은 연면적이 1,111.15㎡ 이고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코 어 및 화장실, 창고 면적 146.75㎡를 제외하면 1,000㎡미만인 964.4㎡가 됩니다. 이 때 제연설비를 제외해도 되는건지 문의 드 립니다.

A. 상기 제13조에 의거하여 제연설비의 설치대상범주에는 포함되 나 배출구, 공기유입구의 설치 및 배출량 산정에서 제외로 판단 됩니다.

[별표 5]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ㆍ용도 및 수용인원 등을 고려하여 갖추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제15조 관련) (2).hwp 0.03MB [별표 6]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설치의 면제기준(제16조 관련).hwp 0.02MB

제연설비 (NFSC 501) 해설서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링크하여 사용하는 것은 허용 됩니다. 단, 상업적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 합니다. 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경우 [email protected]으로 동의를 받아 사용이 가능합니다. 댓글 과 공감 은 블로거에게 큰 에너지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포스팅 일부 내용과 삽화 그림은 안전보건공단의 자료가 사용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실시간 소통

▷ SHE실무방 “카카오 오픈 채팅방” 💨 카카오톡 ①번방 해당 포스팅은 K-HSE의 나눔 활동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블로그 포스팅 내용은 안전보건환경에 관한 사고사례자료, 기술자료, 업무용 실무자료를 작성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내용을됩니다. 단,은 블로거에게 큰 에너지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SHE실무방 “카카오 오픈 채팅방” 카카오톡 ②번방

▷ ulsansafety 개인연락 ulsansafety 개인카톡 ▷ ulsansafety 개인연락

반응형

제연 설비의 이해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연 설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필자가 근무하는 곳에 있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된 제연설비를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소방 중계기와 수신기에 대한 글을 먼저 읽으신 후에 보시기를 추천해 드립니다.

2020/09/16 – [별의 시설관리/소방] – 소방 중계기에 대한 이해

2020/09/21 – [별의 시설관리/소방] – 소방 수신기의 이해

1. 제연 설비 개요

제연설비는 크게 거실제연설비와 전실제연설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거실제연설비는 화재로 발생한 연기를 건물 밖으로 빼내는 동시에 건물 안으로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피난자가 피난을 쉽게 하고 소방대가 건물 안에서 소화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입니다. 전실제연설비는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이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이나 부속실에 공기를 불어 넣어서 이곳의 공기압력을 높게 하여 옥내의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 또한 송풍기의 유입 풍속을 통하여서도 전실에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

위의 통계를 보시면 화재 사고 사망자 수 중에 상당히 많은 수가 유독가스에 의해서 사망한 것으로 나옵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을 끄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기를 배출하여 사람들이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제연 설비 개략도

위 그림은 필자가 근무하는 곳의 제연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필자가 근무하는 곳에서는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에 급기 댐퍼가 설치되어 있고, 승강장 문 밖에 바로 배기 댐퍼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제연 설비는 급기팬과 배기팬,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 덕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은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입니다.

3.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

출처: MBN News

아파트에 사시는 분들이라면 한번쯤 보셨을 것입니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큰 건물을 돌아다니다 보면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위의 제연 댐퍼 입니다.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위의 사진은 급기 댐퍼만을 나타낸 것입니다.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 모두 합쳐서 제연 댐퍼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제연 댐퍼는 정확하게 어떤 방식으로 되어 있는지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제연 댐퍼 상부의 뚜껑을 열어보니 왼쪽 사진과 같이 2개의 수동조작 스위치가 나왔습니다. 왼쪽의 것은 배기용 수동조작 스위치이고 오른쪽은 급기용 수동조작 스위치입니다. 가운데 있는 것은 모터인데 급기용 수동조작 스위치를 누르면 동작하여 댐퍼를 열게 됩니다. 먼저 급기용 댐퍼와 수동조작 스위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급기용 댐퍼

급기용의 초록색 수동조작 버튼을 눌렀더니 댐퍼가 열리면서 바람이 쏟아져 나옵니다. 그리고 방재실에서 댐퍼가 작동했다고 경보음이 울립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급기용 댐퍼는 자동으로 열리면서 바람이 쏟아져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즉 현장 기동 시에 방재실에서 알 수 있어야 하고, 화재 발생 시에 기동이 되어야 하는 2가지를 동시에 하기 위해 결선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위 회로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급기 댐퍼는 Input도 있고 Output도 있습니다. Input은 급기 댐퍼를 수동조작하였을 경우 중계기가 감지하여 수신기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Output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수신기에서 중계기에 신호를 보내면 중계기는 급기 댐퍼로 출력을 전달하여 급기 댐퍼가 동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계기의 Input 쪽으로 어렴풋이 종단저항이 보입니다. 종단저항은 회로의 단선을 판별하기 위해서 소방회로의 Input 쪽에는 모두 달려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과거에 많은 언급을 하였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잘 이해가 안 가시는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0/09/16 – [별의 시설관리/소방] – 소방 중계기에 대한 이해

수동조작 스위치의 오른쪽에 흰색 튜브 같은 것이 있습니다. 이것의 역할은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의 압력과 바깥쪽 복도의 압력 차이를 알기 위해 설치한 것입니다. 위쪽 튜브는 가운데 사진과 같이 바깥쪽의 천장에서 공기의 압력을 전달합니다. 아래쪽 튜브는 오른쪽 사진과 같이 댐퍼의 가장 하부에서 승강장 내부의 압력을 전달합니다.

만약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의 압력이 너무 높다면 바깥쪽에서 비상용 승강기를 타고 피난하기 위해 승강장으로 들어오는 사람이 문을 열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차압계를 설치한 것입니다. 위쪽의 동영상을 보셔도 수동조작 스위치의 위쪽에 차압이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차압이 높다가 약 40pa 정도로 유지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배기용 댐퍼

다시 위의 사진으로 돌아가면 배기용 수동조작 스위치가 있습니다. 역시 마찬가지로 스위치를 위로 올리면 배기용 Fan이 동작하며 복도 천장에 설치된 배기구로 바람이 빨려 갑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배기가 됩니다. 위의 왼쪽 사진은 급기구이고 배기구는 복도의 천장에 달려 있습니다. 연기의 성질이 위로 가는 것을 생각하신다면 상식적으로라도 위의 것은 급기용이고 배기용은 천장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복도에 설치된 배기용 댐퍼의 사진입니다. 천장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를 자세히 볼 수 없네요. 천장에 위와 같은 것이 설치되어 있다면 배기 댐퍼임을 의심해 보세요. 특히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및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이나 부속실의 입구 천장에 저런 것이 보이면 이것은 배기용 댐퍼입니다.

위에서 보신 급기 댐퍼와 동일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Input과 Output이 동시에 있습니다. Input은 수동조작 스위치가 작동되었을 때 신호를 중계기로 보내고 중계기는 수신기로 신호를 보내서 배기 댐퍼가 작동한 것을 알게 해 줍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수신기는 중계기에 화재 신호를 보내고 중계기는 출력으로 배기 댐퍼를 동작시킵니다.

배기 댐퍼를 수동조작하게 되면 위의 사진과 같이 Open이었던 부분이 Input으로 바뀌고 스위치도 Open되어 있었는데 닫혀있는 모습으로 보여줍니다. 급기 댐퍼도 마찬가지로 수동조작 시에 수신기에서 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4. 제연 댐퍼의 문제점

이런 제연 댐퍼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위의 그림과 같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에서 문을 열어 놓으면 정작 필요한 화재가 발생한 층에는 공기가 가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건물을 돌아다니다 보면 위와 같이 방화문에 걸이를 걸어 상시로 열어 놓은 곳이 있습니다. 어떤 곳은 소화기로 걸쳐 놓은 곳도 있고, 말발굽을 걸어 놓은 것도 있습니다. 필자가 공장에 근무했을 때 소방서에서 방화문에 설치된 말발굽을 모두 제거하라고 해서 제거했습니다. 당시에도 ‘불편하게 저런 것까지 제거하냐?’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모습이 평상시에는 아무 문제가 되지 않아도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의 생명을 빼앗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오늘은 제연 설비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특별히 필자가 근무하는 곳의 제연설비로 설명해 드렸습니다. 시설관리를 하신 지 얼마 안 되신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90

<용어> 제연설비

제연의 의미는

“화재시 건물 안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유동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연의 원리는

연기를 희석/ 배출/ 차단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연설비와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배연설비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링크를 확인하세요)

https://notsunmoon.tistory.com/110

배연설비는 건축물 내부 화재 발생시 ‘연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제연은 연기가 ‘내부로 유입이 되지 못하도록 하고 유입된 연기를 희석함’으로써 화재로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피난을 잘 하도록 돕는 시설입니다.

배연은 <건축법>에 근거한 시설인 반면

제연은 <화재예방,소방시설 설치·유지 및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제연설비 설치 대상

화재예방,소방시설 설치·유지 및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5 가.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와 같다. 1)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운동시설 로서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200㎡ 이상 또는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영화상영관으로서 수용인원 100명 이상인 것 2) 지하층이나 무창층 에 설치된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또는 창고시설(물류터미널만 해당한다)로서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 이상인 층 3) 운수시설 중 시외버스정류장, 철도 및 도시철도 시설, 공항시설 및 항만시설의 대합실 또는 휴게시설 로서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천㎡ 이상인 것 4) 지하가 (터널은 제외한다)로서 연면적 1천㎡ 이상인 것 5) 지하가 중 예상 교통량, 경사도 등 터널의 특성을 고려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터널 6) 특정소방대상물(갓복도형 아파트등는 제외한다)에 부설된 특별피난계단 또는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특정소방대상물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 법 시행령 [별표 5]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아래 첨부를 참조하세요

특정소방대상물.hwp 0.03MB

제연설비는 아래의 기준에 따라 별도로 세부 사항을 정하고 있습니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제4조(제연설비) ① 제연설비의 설치장소는 다음 각 호에 따른 제연구역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이내로 할 것 2. 거실과 통로(복도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는 상호 제연구획 할 것 3.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60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4.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내에 들어갈 수 있을 것 5.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 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층의 구분이 불분명한 부분은 그 부분을 다른 부분과 별도로 제연구획 하여야 한다. ② 제연구역의 구획은 보·제연경계벽(이하 “제연경계”라 한다) 및 벽(화재 시 자동으로 구획되는 가동벽·샷다·방화문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으로 하되,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개정 2012. 8. 20.> 1. 재질은 내화재료, 불연재료 또는 제연경계벽으로 성능을 인정받은 것으로서 화재시 쉽게 변형·파괴되지 아니하고 연기가 누설되지 않는 기밀성 있는 재료로 할 것 2. 제연경계는 제연경계의 폭이 0.6m 이상이고, 수직거리는 2m 이내이어야 한다.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는 2m를 초과할 수 있다. 3. 제연경계벽은 배연 시 기류에 따라 그 하단이 쉽게 흔들리지 아니하여야 하며, 또한 가동식의 경우에는 급속히 하강하여 인명에 위해를 주지 아니하는 구조일 것

지하 근생 제연설비 계통 사례

기타 제연설비관련 세부 내용을 아래 첨부를 확인하세요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hwp 0.63MB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적용범위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과 겸용하는 것 또는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을 포함한다) 의 제연설비

“제연구역은 차압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제4조(제연방식) 이 기준에 따른 제연설비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제연구역에 옥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제연구역의 기압을 제연구역 이외의 옥내보다 높게 하되 일정한 기압의 차이(이하 “차압”)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옥내로부터 제연구역내로 연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할 것 2.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속을 유지하도록 옥외의 공기를 제연구역내로 보충 공급하도록 할 것 3. 출입문이 닫히는 경우 제연구역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는 유효한 조치를 하여 차압을 유지할 것 <개정 2013. 9. 3.>

“제연구역의 선정”

제5조(제연구역의 선정) 제연구역은 다음 각 호의 1에 따라야 한다. 1.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 하는 것 2. 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 하는 것 <개정 2008. 12. 15.> 3. 계단실 단독제연하는 것 4.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단독 제연 하는 것

“유입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제13조(유입공기의 배출) ① 유입공기는 화재층의 제연구역과 면하는 옥내로부터 옥외로 배출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직통계단식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유입공기의 배출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기준에 따른 배출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개정 2013. 9. 3.> 1. 수직풍도에 따른 배출 : 옥상으로 직통하는 전용의 배출용 수직풍도를 설치하여 배출하는 것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개정 2013. 9. 3.> 가. 자연배출식 : 굴뚝효과에 따라 배출하는 것 나. 기계배출식 : 수직풍도의 상부에 전용의 배출용 송풍기를 설치하여 강제로 배출하는 것. 다만, 지하층만을 제연하는 경우 배출용 송풍기의 설치위치는 배출된 공기로 인하여 피난 및 소화활동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다. <개정 2013. 9. 3.> 2. 배출구에 따른 배출 : 건물의 옥내와 면하는 외벽마다 옥외와 통하는 배출구를 설치하여 배출하는 것 3. 제연설비에 따른 배출 : 거실제연설비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옥내로부터 옥외로 배출하여야 하는 유입공기의 양을 거실제연설비의 배출량에 합하여 배출하는 경우 유입공기의 배출은 당해 거실제연설비에 따른 배출로 갈음할 수 있다.

소방 도면

“아파트의 제연구역의 출입문은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제21조(제연구역 및 옥내의 출입문) ① 제연구역의 출입문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1. 제연구역의 출입문(창문을 포함 한다)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것. 다만, 아파트인 경우 제연구역과 계단실 사이의 출입문은 자동폐쇄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제연구역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자동폐쇄장치는 제연구역의 기압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충분한 폐쇄력이 있을 것 3. 제연구역의 출입문등에 자동폐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폐쇄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개정 2013. 9. 3.> ② 옥내의 출입문(제10조의 기준에 따른 방화구조의 복도가 있는 경우로서 복도와 거실사이의 출입문에 한한다)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하도록 할 것 1. 출입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로 할 것 2. 거실 쪽으로 열리는 구조의 출입문에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출입문의 개방 시 유입공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출입문을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충분한 폐쇄력이 있는 것으로 할 것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hwp 0.34MB

728×90

키워드에 대한 정보 거실 제연 설비 란

다음은 Bing에서 거실 제연 설비 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YouTube에서 거실 제연 설비 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년 소방설비기사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거실제연설비 완벽 이해하기“ | 거실 제연 설비 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경매 낙찰 후 절차 | #5. 부동산 경매 낙찰 후 절차 답을 믿으세요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