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오목 거울 상 |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상위 58개 답변

오목 거울 상 |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상위 58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오목 거울 상 –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계숙샘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6,083회 및 686028 Like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오목 거울 상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 오목 거울 상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오목거울에 물체를 가까이, 멀리, 매우 멀리 두었을 때 상이 어떻게 생기는지 원리
정립허상, 도립실상의 의미
오목거울 상의 작도

오목 거울 상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 자바실험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생깁니다. 실상(Real image): 실제로 빛이 그곳에서 모였다가 다시 출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더 읽기

Source: javalab.org

Date Published: 6/1/2022

View: 5431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배율은 1보다 큽니다. 자, 그럼 이거 정리해봅시다. 여백, 오목거울. 거울상.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도립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rush-on-study.tistory.com

Date Published: 5/6/2022

View: 5274

실제 빛이 모인 것 곡면 거울 볼록 거울 발산, 허상 실상

2011-03-17. 1. 오목 거울. 거울면. 볼록렌즈. 수렴, 실상 & 허상 … 도립: 상 자체가 뒤집힌 것 … b : 거울(혹은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

+ 더 읽기

Source: opt.dsu.ac.kr

Date Published: 1/10/2021

View: 2656

오목거울

평면거울은 물체와 같은 크기로, 거울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을 만들지. [참조: 빛의 반사/빛의 반사] · [참조: 빛의 반사/거울의 원리]. 하지만 오목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scienceorc.net

Date Published: 6/20/2021

View: 7133

Top 45 오목 거울 상 The 157 Detailed Answer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 자바실험실 ·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 볼록거울 오목거울 반사 알아보기 : 네이버 블로그 · 오목 거울 상 · [광학] 구면거울에 …

+ 여기를 클릭

Source: toplist.khunganhtreotuong.vn

Date Published: 9/24/2021

View: 29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오목 거울 상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오목 거울 상

  • Author: 계숙샘
  • Views: 조회수 6,083회
  • Likes: 686028 Like
  • Date Published: 2020. 2. 1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WkJ9CSW6B14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실상과 허상

어떤 물체를 보면서, 우리는 그 곳에 물체가 있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물체나 발광체가 그곳에 없는데도, 어떤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그곳에 있다고 느끼는 경우 우리는 그곳에 ‘상(image)’이 있다고 말합니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생깁니다.

실상(Real image): 실제로 빛이 그곳에서 모였다가 다시 출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실상이 맺혀지는 위치에 종이를 대보면 종이에 맺힌 상이 실제로 보입니다.

허상(Virtual image): ‘상’이 맺힌 곳에 실제로 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허상이 맺혀지는 위치에 종이를 대보면 아무런 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볼록 거울의 허상

거울에 나타난 상은 언제나 허상이고, 물체와 같은 모양으로 서있고, 또한 실물보다 작게 보입니다. 넓은 범위를 비춰줄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백미러나 감시용 거울에 사용됩니다.

오목 거울의 허상과 실상

오목 거울은 물체가 오목 거울의 초점 거리 안쪽에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물체가 거울의 초점 거리 안에 있을 경우: 허상이며, 물체는 실물보다 확대되어 보입니다. 그리고 항상 똑바로 서있습니다.

물체가 거울의 초점 거리 밖에 있을 경우: 실상이며, 거울과의 거리에 따라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보입니다. 그리고 항상 반전되어 있습니다.

숟가락의 안쪽은 오목 거울, 바깥쪽은 볼록 거울로 볼 수 있습니다.

맺힌 상의 거리 구하기

거울로부터 물체의 거리 o, 거울로부터 상의 거리 i, 그리고 거울의 초점거리 f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공식이 성립합니다.

\[\frac { 1 }{ o } +\frac { 1 }{ i } =\frac { 1 }{ f } =\frac { 2 }{ C } \]

o: 거울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항상 양(+)의 값을 가집니다.

i: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

f: 초점 거리

C: 구심 거리 (곡률의 중심, 초점거리의 약 2배 거리)

볼록 거울의 경우

o > 0: 실물체

i < 0: 허상 (V쪽) f < 0: 허초점 (V쪽) 오목 거울의 경우 o > 0: 실물체

f > 0: 실초점 (R쪽)

i = ?: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o < f 인 경우: i < 0 (똑바로 서 있는 허상) o = f 인 경우: i 값을 구할 수 없습니다. o > f 인 경우: i < 0 (뒤집혀 있는 실상) 광선추적법 어느 두 광선의 경로를 추적하면 맺힐 상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중심축에 평행한 광선은 반사 후 초점을 지나 갑니다. 거꾸로 생각하면, 초점을 통과한 후 거울에 입사한 광선은 거울을 반사한 후 중심축에 평행하게 진행해 나갑니다. 곡률중심 C를 통과한 후 거울에 반사한 광선은 입사 경로를 되밟아 나옵니다. 거울의 중심에 입사되는 광선은, 대칭적인 각도로 반사됩니다. (일반적인 반사의 법칙) 배율 구하기 거울에 맺힌 상의 크기 비율은, \[m=-\frac { i }{ o } \] m: 배율 i: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 o: 거울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계산된 m의 값에따라 상은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오목거울 앞에 물체를 놓으면 상이 비쳐 보이는데 물체의 위치에 따라서 보이는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물체를 초점 안쪽에 놓으면 물체와 같은 모양의 상이 크게 비쳐 보인다. 또한 초점 바깥쪽에 물체를 놓으면 거꾸로 된 상이 비쳐 보이는데 그 크기는 물체의 위치가 초점에 가까울수록 크고, 초점에서 멀어짐에 따라 차츰 작아진다. 초점의 위치에 물체를 놓으면 반사한 빛이 모이지 않으므로 상이 생기지 않아 전체가 흐릿하게 보인다.

이와 같이 생기는 상의 모양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초점의 안쪽에 놓인 물체에서 나온 빛은 오목거울에 반사하여 그림과 같이 나아간다. 이때 우리 눈에는 오목거울 뒤에 물체가 놓여 있는 것같이 보인다. 이 상은 실제로 빛이 모여서 생긴 것이 아니므로 허상이라고 한다. 초점의 바깥쪽에 물체를 놓으면 물체에서 나온 빛은 오목거울에 반사한 뒤, 한 점에 한 번 모인 다음 다시 퍼져서 나아간다. 이 점에 젖빛 유리(불투명한 유리)나 흰 종이를 놓으면 상이 거꾸로 비친다. 이 상은 실제로 빛이 모여서 생긴 것이므로 실상이라고 한다.

[오목거울에서의 상과 빛의 경로]

볼록거울 오목거울 반사 알아보기

위 그림은 오목거울에서 물체를 초점 안쪽에 놓았을 때의 상의 모습이랍니다

작도의 원리는 다음과 같아요

첫째 평행하게 입사한 빛은 초점을 향한다

둘째 초점을 통과한 축과 나란하게 반사된다

셋째 구심을 향한 빛은 왔던 곳을 되돌아 나간다

넷째 중심을 향한 빛은 평면거울에서와 같이 반사의 법칙을 따른다

그런데 볼록거울과 달리 오목거울은 물체의 위치가 초점 안쪽이냐 초점이냐 초점 밖이냐에 따라

상이 다르게 생겨요

위의 그림은 초점 안쪽에 물체가 있을 때 상의 작도인데요

이때는 확대된 정립허상이 만들어진답니다

반대로 물체가 초점 밖에 있을 때는 확대,축소된 도립 실상이 만들어

집니다

각각의 작도는 직접 해보시기를 권해 들여요 ^^

오목 거울의 사용 예를 찾아볼게요

평면거울,볼록, 오목거울 및 렌즈의 상 작도

빛 – 빛 – 빛 – 빛 – 빛 – 빛 – 빛 – 빛 – 빛 – 빛 –

1. 빛의 반사

(1) 빛의 반사: 빛이 나아가다 성질이 다른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 나오는 현상.

(2) 반사의 법칙 : 빛이 반사될 때 입사각과 반사의 각은 항상 같다.

1) 법선: 반사면과 수직을 이루는 직선

2) 입사각 : 반사면으로 들어오는 빛이 법선과 이루는 각.

3) 반사각 : 반사면에서 나가는 빛이 법선과 이루는 각.

2.정반사와 난반사

(1) 정반사 : 빛이 매끄러운면에 부딪쳐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예) 평면거울

(2) 난반사 : 빛이 거친면에 부딪쳐 여러방향으로 흩어져 반사되는것.

예) 달의 표면, 종이면, 칠판면 등

3. 평면거울에 의한 상의 작도

– 우리눈은 거울 면에서 반사된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마치 거울 뒷면에서 빛이 똑바로

온것처럼 느끼므로 거울 뒤편에 상을 그려야 한다.

– 평면 거울에 의한상 : 물체와 크기가 같으며, 좌우가 바뀐것처럼 보인다.

물체까지의 거리와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가 같다.

구면 거울에서의 빛의 반사와 상

(1) 오목 거울과 볼록 거울 : 구면의 안쪽이 거울인 것을 오목 거울, 바깥쪽이 거울인 것을 볼록 거울이라고 한다.

(2) 거울의 초점

① 초점 : 오목거울에서는 모든 광선이 한 점에 모이고, 볼록거울에서는 거울 속에서 한 점에서 나온 것처럼 나아간다. 이 점을 초점이라 한다

② 허초점 : 거울축에 평행하게 입사한 광선이 입사후 반사 또는 굴절되어 발산될 때, 역경로의 광이 모이는 점

③ 초점거리 : 거울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

<상의작도법>

– 거울의 축에 나란하게 지나는 광선은 반사 후에 거울의 초점을 지나거나 초점에서 나오는 것처럼 진행합니다.

– 초점을 지나는 광선은 반사 후 거울 축에 나란하게 진행합니다.

– 구심을 지나는 광선은 반사 후 온 길을 되돌아갑니다.

볼록거울에 의한 상 : 물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은 항상 허초점과 거울 안쪽에 생기는 허상이 되며 물체가 거울에 가까워질 수록 상의 위치도 거울에 가까워지면서 커지게 됩니다. 그러나, 상의 크기는 거울 앞에 있는 실체 물체보다는 항상 작게 보입니다.

오목 거울

① 숟가락의 안쪽과 같이 오목하게 생긴 거울

② 거울 앞쪽에 거꾸로 선 작은 상(도립실상)이 만들어진다.

③ 화장용 손거울, 자동차 전조등 속의 거울

< 허상과 실상의 차이 >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반응형

구면거울에서는 작도가 중요합니다. 블로그 포스팅 특성상 작도하는 과정을 담아내진 못해서 아쉽지만 최대한 이해시키도록 하겠습니다.

1) 오목거울

오목거울에 의한 상

a)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뒤에 있을 경우

– 위 그림은 현재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뒤에 있을 경우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보시면 작도에 의해 h’ (거울에 의해 맺힌 상의 높이)가 거꾸로 맺힌게 보이네요. 이를 도립상이라고 하구요. 실제 빛에 의해 맺혀진 것이므로 실상입니다.

따라서 도립실상이 되고, 크기는 실제 상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배율은 1보다 작습니다.

b)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앞에 있을 경우

– 이 때는 상이 정립상이 됩니다. 대신, 실제 빛에 의해 맺힌것이 아니라서 허상이죠. 그렇기 때문에 정립허상이 되구요. 배율은 1보다 큽니다.

자, 그럼 이거 정리해봅시다.

여백 오목거울 거울상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도립실상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정립허상 배율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m<1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m>1

2) 볼록거울

– 볼록거울도 봅시다.

볼록거울 사진 <출처 - 네이버 블로그 '타키온의 최강물리'>

위 그림에서 점선 보이시나요? 거울에 의해 반사된 빛의 연장선인데 이것은 가상선에 의해 맺힌 것이기 때문에 허상이라고 부릅니다. 보시면 오목거울은 초점이 물체가 있는 쪽에 같이 위치해 있었습니다. 근데 볼록거울은 초점이 물체가 있는 곳과 반대쪽에 있습니다. 자, 이 쯤에서 이제 방정식을 하나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거울방정식

p는 물체가 거울로부터 떨어진 거리

q는 상이 거울로부터 떨어진 거리

R은 거울 반지름

f는 초점거리

이걸 의미합니다. 다만, 여기서 부호를 결정짓는게 조금 헷갈릴 수 있습니다. 한번 봅시다.

p를 봅시다. 거울 앞에 있는 경우는 부호를 ‘+’로 지정합니다. 이 거울 앞이란게 뭐냐면 입사광선이 있는 위치를 말합니다. 맨 위에 오목거울 그림보시면 물체는 현재 입사광선이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물체는 거울로부터 ‘+p’ 만큼의 거리에 위치합니다.

q의 부호도 똑같습니다. 얘는 상의 위치에 따라 부호를 결정짓습니다. 오목거울을 보시면 거울상과 반사광선이 거울 앞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q’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근데 볼록거울을 볼까요? 볼록거울은 q의 부호가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반사광선과 다른 위치에 거울상이 맺혔으니까요.

초점 거리를 봅시다. 볼록거울의 경우는 초점이 거울 뒤에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초점이라는 것은 빛이 모이는 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볼록거울 그림을 보면 거울상쪽에 빛이 모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볼록거울에서 초점거리의 부호는 음수입니다.

오목거울은 뭐 초점거리가 양수란거 이해 단번에 되시죠?

여백 볼록거울 거울상 볼록거울은 항상 정립허상 (초점은 허초점) 배율 항상 m<1 아, 그리고 한가지. 만약 오목거울에서 물체가 거울로부터 떨어진 거리와, 초점 거리가 같다면 상은 맺히지 않습니다. 반응형

Top 45 오목 거울 상 The 157 Detailed Answer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 자바실험실

Article author: javalab.org

Reviews from users: 45439 Ratings

Ratings Top rated: 3.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 자바실험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생깁니다. 실상(Real image): 실제로 빛이 그곳에서 모였다가 다시 출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 자바실험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생깁니다. 실상(Real image): 실제로 빛이 그곳에서 모였다가 다시 출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Table of Contents:

실상과 허상

볼록 거울의 허상

오목 거울의 허상과 실상

맺힌 상의 거리 구하기

광선추적법

배율 구하기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 자바실험실

Read More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Article author: dic.kumsung.co.kr

Reviews from users: 32958 Ratings

Ratings Top rated: 4.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Updating

Table of Contents: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Read More

볼록거울 오목거울 반사 알아보기 : 네이버 블로그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Reviews from users: 33107 Ratings

Ratings Top rated: 3.8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볼록거울 오목거울 반사 알아보기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볼록거울 오목거울 반사 알아보기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최강물리 블로그

이 블로그

물리 이야기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물리 이야기

카테고리 글

볼록거울 오목거울 반사 알아보기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오목 거울 상

Article author: opt.dsu.ac.kr

Reviews from users: 38743 Ratings

Ratings Top rated: 4.9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오목 거울 상 2011-03-17. 1. 오목 거울. 거울면. 볼록렌즈. 수렴, 실상 & 허상 … 도립: 상 자체가 뒤집힌 것 … b : 거울(혹은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오목 거울 상 2011-03-17. 1. 오목 거울. 거울면. 볼록렌즈. 수렴, 실상 & 허상 … 도립: 상 자체가 뒤집힌 것 … b : 거울(혹은 렌즈)에서 상까지의 거리.

Table of Contents:

오목 거울 상

Read More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 Crush on Study

Article author: crush-on-study.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13578 Ratings

Ratings Top rated: 3.1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 Crush on Study 배율은 1보다 큽니다. 자, 그럼 이거 정리해봅시다. 여백, 오목거울. 거울상.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도립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 Crush on Study 배율은 1보다 큽니다. 자, 그럼 이거 정리해봅시다. 여백, 오목거울. 거울상.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도립 … 구면거울에서는 작도가 중요합니다. 블로그 포스팅 특성상 작도하는 과정을 담아내진 못해서 아쉽지만 최대한 이해시키도록 하겠습니다. 1) 오목거울 a)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뒤에 있을 경우 – 위 그림은 현재 물..1. 회사 직무일기 / 2. C언어 및 C++ / 3. OpenCV강의 / 네이버 블로그 Crush on Study와 동일합니다:)

Table of Contents: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티스토리툴바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 Crush on Study

Read More

평면거울,볼록, 오목거울 및 렌즈의 상 작도 – (2학년)수업자료 – 숲속의 왕자(전범진 과학사랑)

Article author: m.cafe.daum.net

Reviews from users: 21618 Ratings

Ratings Top rated: 4.0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평면거울,볼록, 오목거울 및 렌즈의 상 작도 – (2학년)수업자료 – 숲속의 왕자(전범진 과학사랑)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평면거울,볼록, 오목거울 및 렌즈의 상 작도 – (2학년)수업자료 – 숲속의 왕자(전범진 과학사랑) Updating 모든 이야기의 시작, Daum 카페

Table of Contents:

(2학년)수업자료

카페 검색

평면거울,볼록, 오목거울 및 렌즈의 상 작도 – (2학년)수업자료 – 숲속의 왕자(전범진 과학사랑)

Read More

¿À¸ñ°Å¿ï

Article author: scienceorc.net

Reviews from users: 19831 Ratings

Ratings Top rated: 4.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À¸ñ°Å¿ï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À¸ñ°Å¿ï Updating

Table of Contents:

¿À¸ñ°Å¿ï

Read More

볼록거울 오목거울 작도 가상 프로그램

Article author: sciencelove.com

Reviews from users: 45512 Ratings

Ratings Top rated: 4.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볼록거울 오목거울 작도 가상 프로그램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볼록거울 오목거울 작도 가상 프로그램 Updating 설치없이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웹용 추가로 만들어 올려 놓았습니다. 약간 기능이 떨어지지만 다운로드 없이 실험할 수 있습니다. http://sciencej.cafe24.com/html5/mirror/mirror.html 학생에게 안내하는 ..

Table of Contents:

관련글

댓글6

공지사항

최근글

인기글

최근댓글

태그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볼록거울 오목거울 작도 가상 프로그램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809+ tips for you.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볼록 거울과 오목 거울 실상과 허상 어떤 물체를 보면서, 우리는 그 곳에 물체가 있다고 느낍니다. 그런데 물체나 발광체가 그곳에 없는데도, 어떤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그곳에 있다고 느끼는 경우 우리는 그곳에 ‘상(image)’이 있다고 말합니다. 광학에서 말하는 ‘상(image)’은 빛이 굴절 혹은 반사되어서 생깁니다. 실상(Real image): 실제로 빛이 그곳에서 모였다가 다시 출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실상이 맺혀지는 위치에 종이를 대보면 종이에 맺힌 상이 실제로 보입니다. 허상(Virtual image): ‘상’이 맺힌 곳에 실제로 빛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허상이 맺혀지는 위치에 종이를 대보면 아무런 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볼록 거울의 허상 거울에 나타난 상은 언제나 허상이고, 물체와 같은 모양으로 서있고, 또한 실물보다 작게 보입니다. 넓은 범위를 비춰줄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백미러나 감시용 거울에 사용됩니다. 오목 거울의 허상과 실상 오목 거울은 물체가 오목 거울의 초점 거리 안쪽에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물체가 거울의 초점 거리 안에 있을 경우: 허상이며, 물체는 실물보다 확대되어 보입니다. 그리고 항상 똑바로 서있습니다. 물체가 거울의 초점 거리 밖에 있을 경우: 실상이며, 거울과의 거리에 따라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보입니다. 그리고 항상 반전되어 있습니다. 숟가락의 안쪽은 오목 거울, 바깥쪽은 볼록 거울로 볼 수 있습니다. 맺힌 상의 거리 구하기 거울로부터 물체의 거리 o, 거울로부터 상의 거리 i, 그리고 거울의 초점거리 f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공식이 성립합니다. \[\frac { 1 }{ o } +\frac { 1 }{ i } =\frac { 1 }{ f } =\frac { 2 }{ C } \] o: 거울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항상 양(+)의 값을 가집니다. i: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 f: 초점 거리 C: 구심 거리 (곡률의 중심, 초점거리의 약 2배 거리) 볼록 거울의 경우 o > 0: 실물체 i < 0: 허상 (V쪽) f < 0: 허초점 (V쪽) 오목 거울의 경우 o > 0: 실물체 f > 0: 실초점 (R쪽) i = ?: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o < f 인 경우: i < 0 (똑바로 서 있는 허상) o = f 인 경우: i 값을 구할 수 없습니다. o > f 인 경우: i < 0 (뒤집혀 있는 실상) 광선추적법 어느 두 광선의 경로를 추적하면 맺힐 상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중심축에 평행한 광선은 반사 후 초점을 지나 갑니다. 거꾸로 생각하면, 초점을 통과한 후 거울에 입사한 광선은 거울을 반사한 후 중심축에 평행하게 진행해 나갑니다. 곡률중심 C를 통과한 후 거울에 반사한 광선은 입사 경로를 되밟아 나옵니다. 거울의 중심에 입사되는 광선은, 대칭적인 각도로 반사됩니다. (일반적인 반사의 법칙) 배율 구하기 거울에 맺힌 상의 크기 비율은, \[m=-\frac { i }{ o } \] m: 배율 i: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 o: 거울에서 물체까지의 거리 계산된 m의 값에따라 상은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오목거울 앞에 물체를 놓으면 상이 비쳐 보이는데 물체의 위치에 따라서 보이는 모양과 크기가 다르다. 물체를 초점 안쪽에 놓으면 물체와 같은 모양의 상이 크게 비쳐 보인다. 또한 초점 바깥쪽에 물체를 놓으면 거꾸로 된 상이 비쳐 보이는데 그 크기는 물체의 위치가 초점에 가까울수록 크고, 초점에서 멀어짐에 따라 차츰 작아진다. 초점의 위치에 물체를 놓으면 반사한 빛이 모이지 않으므로 상이 생기지 않아 전체가 흐릿하게 보인다. 이와 같이 생기는 상의 모양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초점의 안쪽에 놓인 물체에서 나온 빛은 오목거울에 반사하여 그림과 같이 나아간다. 이때 우리 눈에는 오목거울 뒤에 물체가 놓여 있는 것같이 보인다. 이 상은 실제로 빛이 모여서 생긴 것이 아니므로 허상이라고 한다. 초점의 바깥쪽에 물체를 놓으면 물체에서 나온 빛은 오목거울에 반사한 뒤, 한 점에 한 번 모인 다음 다시 퍼져서 나아간다. 이 점에 젖빛 유리(불투명한 유리)나 흰 종이를 놓으면 상이 거꾸로 비친다. 이 상은 실제로 빛이 모여서 생긴 것이므로 실상이라고 한다. [오목거울에서의 상과 빛의 경로]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반응형 구면거울에서는 작도가 중요합니다. 블로그 포스팅 특성상 작도하는 과정을 담아내진 못해서 아쉽지만 최대한 이해시키도록 하겠습니다. 1) 오목거울 오목거울에 의한 상 a)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뒤에 있을 경우 – 위 그림은 현재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뒤에 있을 경우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보시면 작도에 의해 h’ (거울에 의해 맺힌 상의 높이)가 거꾸로 맺힌게 보이네요. 이를 도립상이라고 하구요. 실제 빛에 의해 맺혀진 것이므로 실상입니다. 따라서 도립실상이 되고, 크기는 실제 상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배율은 1보다 작습니다. b)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앞에 있을 경우 – 이 때는 상이 정립상이 됩니다. 대신, 실제 빛에 의해 맺힌것이 아니라서 허상이죠. 그렇기 때문에 정립허상이 되구요. 배율은 1보다 큽니다. 자, 그럼 이거 정리해봅시다. 여백 오목거울 거울상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도립실상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정립허상 배율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m<1 물체거리 < 초점거리라면 m>1 2) 볼록거울 – 볼록거울도 봅시다. 볼록거울 사진 위 그림에서 점선 보이시나요? 거울에 의해 반사된 빛의 연장선인데 이것은 가상선에 의해 맺힌 것이기 때문에 허상이라고 부릅니다. 보시면 오목거울은 초점이 물체가 있는 쪽에 같이 위치해 있었습니다. 근데 볼록거울은 초점이 물체가 있는 곳과 반대쪽에 있습니다. 자, 이 쯤에서 이제 방정식을 하나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거울방정식 p는 물체가 거울로부터 떨어진 거리 q는 상이 거울로부터 떨어진 거리 R은 거울 반지름 f는 초점거리 이걸 의미합니다. 다만, 여기서 부호를 결정짓는게 조금 헷갈릴 수 있습니다. 한번 봅시다. p를 봅시다. 거울 앞에 있는 경우는 부호를 ‘+’로 지정합니다. 이 거울 앞이란게 뭐냐면 입사광선이 있는 위치를 말합니다. 맨 위에 오목거울 그림보시면 물체는 현재 입사광선이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물체는 거울로부터 ‘+p’ 만큼의 거리에 위치합니다. q의 부호도 똑같습니다. 얘는 상의 위치에 따라 부호를 결정짓습니다. 오목거울을 보시면 거울상과 반사광선이 거울 앞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q’ 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근데 볼록거울을 볼까요? 볼록거울은 q의 부호가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반사광선과 다른 위치에 거울상이 맺혔으니까요. 초점 거리를 봅시다. 볼록거울의 경우는 초점이 거울 뒤에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초점이라는 것은 빛이 모이는 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볼록거울 그림을 보면 거울상쪽에 빛이 모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볼록거울에서 초점거리의 부호는 음수입니다. 오목거울은 뭐 초점거리가 양수란거 이해 단번에 되시죠? 여백 볼록거울 거울상 볼록거울은 항상 정립허상 (초점은 허초점) 배율 항상 m<1 아, 그리고 한가지. 만약 오목거울에서 물체가 거울로부터 떨어진 거리와, 초점 거리가 같다면 상은 맺히지 않습니다.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오목 거울 상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오목거울 특징, 오목거울 볼록거울 특징, 오목거울 영어, 오목거울 상 작도, 볼록거울 공식, 오목거울 원리, 오목거울 구매, 볼록렌즈 오목렌즈 볼록거울 오목거울

키워드에 대한 정보 오목 거울 상

다음은 Bing에서 오목 거울 상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YouTube에서 오목 거울 상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목거울- 상이 생기는 원리, 상의 작도 방법 | 오목 거울 상,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임파서블 푸드 주가 | 비욘드미트 Vs 임파서블푸드 4가지 측면에서 비교해 볼께요 16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