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상위 262개 베스트 답변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상위 262개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영진사이버대학교사회복지계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82회 및 좋아요 3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차이를 알려드립니다.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차이 – 네이버 블로그

사회복지 와 #사회사업 이 어떤 차이가 있다고 보시나요? 왠지 그냥 느낌으로 사회복지는 인간의 삶에 중심을 둘 것 같고.. 사회사업은 사업이니까.

+ 여기에 표시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4/2022

View: 8280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견해

그리하여 사회복지는 제도나 정책의 목적적 개념을 중시한다. 사회사업(social work)은 개인, 가정, 집단,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형태나 기술적 활동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welfare24.net

Date Published: 10/26/2022

View: 7444

사회복지학(사회복지개론) 과제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사회사업(social work)이란 개인, 가정, 집단,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형태나 기술적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복지 운영의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을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arista7.tistory.com

Date Published: 9/22/2022

View: 2293

사회사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회 사업가(또는 사회복지사)는 지역, 국가, 더 나아가 한 대륙, 그리고 국제적으로 전문적인 기구들에 배치되어 있다. 사회사업은 경제학, 교육학, 사회학, 의학, 철학, …

+ 여기를 클릭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20/2021

View: 6531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 개념과 제도의 변화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 개념과 제도의 변화 Conceptual History of “Welfare”: From Social Work to Welfar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12/17/2022

View: 4378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인기 답변 업데이트

반면,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사회적 혹은 개인적 만 족과 독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간간 관계상의 과학적 지식과 기술에 바탕을 …

+ 여기에 보기

Source: you.dianhac.com.vn

Date Published: 11/6/2022

View: 6682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개념은 한국과 미국, 일본 등에서 혼용하고 있으며,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50년대부터 1970대 중반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happyhaksul.com

Date Published: 1/12/2021

View: 4291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 개념과 제도의 변화 – KISS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간행물 : 사회와 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8권0호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발행년월 : 2013년 06월 · 페이지 : 5-41(37pages).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iss.kstudy.com

Date Published: 4/30/2021

View: 3155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 지식오아시스

사회복지는 생활과 건강상태를 만족한 수준에 미칠 수 있게 개인집단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와 제도의 조직적인 체계이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koasis.tistory.com

Date Published: 8/15/2021

View: 572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 Author: 영진사이버대학교사회복지계열
  • Views: 조회수 382회
  • Likes: 좋아요 33개
  • Date Published: 2021. 3. 1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3uT_oAF68bE

[사회복지개론]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차이

여러분은

#사회복지 와 #사회사업 이 어떤 차이가 있다고 보시나요?

왠지 그냥 느낌으로 사회복지는 인간의 삶에 중심을 둘 것 같고..

사회사업은 사업이니까.. ㅋㅋ 사업성 수익에? 중심을 둘 것..????!?!?!?

저도 어릴 때 는 이렇게 생각했었어요 ^^

엄밀히 말씀드리면 대학교 1학년때 ^^

실제 사회복지는 #socialwelfare 로

사회사업은 #socialwork 로 해석되어지고

사용되어 지고 있습니다.

사회복지는 사회사업과 비교하자면

방법적으로는 거시적방법과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론적인 측면, 이념적인 측면을 더 강조하는 것이 사회복지 입니다.

사회복지의 목적은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사회환경을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대상은 거시적방법과 맞게 보편적이며 전체적입니다.

사전 예방적 성격을 지니고 적극적이며 원칙적입니다.

이와 비슷하지만

사회사업은 엄밀히 비교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방법적으로는 미시적방법과 맞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보다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복지의 대상 또한

선별적이고 개별적입니다. 사회복지는 바람직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봤다면

사회사업은 바람직한 인간이 그 목적에 있다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사후 치료적이고 소극적이며 유연하고 역동적입니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사회복지사라고 하는데..

사회복지의 관련 개념을 본 후 우리의 호칭이 맞는지? 고민하게 되네요.

우린 우리를 Social walfarer 라고 부르지 않고

Social worker 라 부르는데..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혹은 영어를 사용하려하다보니 혼용된건지..

두가지가 묘하게 섞여버린 모습입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사라는 용어대신 #사회사업가 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었는데

어찌보면 우린 사회사업가로 불려야 하는게 조금 더 현실에 맞는것 아닌지..?

물론 전 #사회복지사 로 불리고 싶습니다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견해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견해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용어의 사용

2. 학자별 사회복지・사회사업의 개념

3.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구분 및 관계

4. 사회복지사에 대한 견해

5. 참고문헌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용어의 사용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관계 혹은 개념적 차이에 대한 이해는 특정한 사회나 시대를 배경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는 미국 등 서구의 영향을 받아 ‘사회사업 (social work)’라는 용어가 교육이나 실천현장에서 통용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사회사업의 토착화’ 과제가 제기 되었고, 당시 우리나라의 사회문제와 사회복지의 수준을 고려할 때, 사회사업의 실천적 접근보다는 ‘사회복지 (social welfare)’라는 광의의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 학계나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라는 개념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에는 두 용어가 혼용되어 오다가 1990년대부터는 ‘사회복지’라는 용어로 통일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되었다.

그러나 사회복지 학문과 실천현장에서 두 개념의 혼용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박종삼 외, 2002)

장인협(1988)은 사회복지나 사회사업을 지나치게 대립적 관점에서 볼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적인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반면, 김영모(1973)는 사회제도상의 모순에서 야기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실천 방법이 사회정책이고, 인간 행동의 부적응(일탈행동)에서 비롯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실천방법이 전문사회사업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사회복지는 사회사업과 사회정책에 의하여 그 학문의 성격이 규정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 김상균 외 (2011)는 미국의 ‘social work’가 1950년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용어를 번역함에 있어 일본의 社會事業을 모방한 것이라고 하였다. ‘社會事業(사회사업)’이란 단어는 일본 사람들이 1930년대부터 주로 자선 내지 박애사업의 의미로서 사용된 것이므로, ‘社會事業’이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과거의 자선사업으로 회귀하는 셈이라고 보았다. 게다가 ‘社會事業’이란 용어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의미로서의 ‘social work’와는 거리가 먼 개념이라고 하고 있다. 그래서 ‘社會事業’이라는 용어 대신 영어의 원어를 소리나는 대로 풀어서 ‘소셜웤’이라고 사용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2. 학자별 사회복지・사회사업의 개념

1) 학자별 사회복지의 개념

① W. A. Friedlander (1955) : 사회복지란 개인과 집단을 원조하여 건강상의 만족스러운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는 계획적인 사회적 서비스와 그리고 시설의 조직적인 제도이다.

② A. Dunham (1967) : 사회복지는 가족, 아동생활, 건강, 사회적응, 여가, 생활 수준 및 사회적 관계성과 같은 영역에 있어서 인간의 욕구를 해결하는 데 도와줌으로써 사회적 행복의 추진을 위한 조직적 노력이다.

③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71) : 사회복지란 일반적으로 인지된 사회문제를 예방하거나 완화시키며, 그러한 문제의 해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거나 또는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복리를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민간과 정부기관들의 광범위한 조직적 활동이다.

④ J. M. Romanyshin (1971) : 사회복지란 한정적으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재정적 원조나 서비스를 의미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의 보편적 욕구에 대한 공동적 책임을 의미한다.

⑤ N。Rescher (1970) : 복지란 다차원적인 것이므로 한 사람의 인간의 복지를 고려할 경우에도 거기에는 복합적인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것은 신체적인 면에서의 복지(건강), 물리적인 복지(풍요, 번영, 부), 정신적・심리적인 복지(정신적 안정, 정신적 위생)이다.

⑥ 국제연합 (1971) : 개인, 집단, 지역사회, 제도 및 사회적 수준에 있어서 보다 나은 사회적 기능 또는 사회적 관계를 목표로 한 사회적 서비스 및 인간의 복지를 가능하게 하는 과정이다.

⑦ R. L. Baker (1987) : 사회복지는 사회의 유지에 기본적인 사회적・경제적・교육적 및 건강적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사람을 돕는 프로그램, 급부 및 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체계이다.

⑧ 장인협 (1987) : 가족이나 시장기구로부터 탈락된 자들에게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 치료, 예방의 정책이나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⑨ 김상규 외 (1990) : 사회복지란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부나 민간단체들이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서비스 또는 제도를 통해서 사회적 역기능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이며 실천 활동이다.

2) 학자별 사회사업의 개념

① A. Salomon (1921) : 사회사업이란 문화적인 이상, 특히 경제면에 상응하는 국민생활 양태를 도입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 및 사회적 노력의 총체를 말하지만, 이들 모든 노력이란 문화가 뒤떨어져 있거나 또는 그것을 방해받고 있는 사회계층의 건강, 도덕 및 경제적 제 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이다.

② 미국사회사업교육협회 (1954) : 사회사업은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이루는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두는 활동을 통하여 개인들의 사회적 기능을 단독으로나 집단으로 향상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그 기능으로서는 손상된 능력의 회복, 개인적・사회적 자원의 제공, 사회적 기능장애의 예방을 들고 있다.

③ W. A. Friedlander (1955) : 사회사업은 개인으로 하여금 개인을 집단의 일원으로서 사회적・인간적인 만족과 독립을 성취하도록 원조하여 주고 인간관계에 관한 과학적 지식과 숙련을 기초로 한 전문적 활동이다.

④ A. Dunham (1967) :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인구 집단에 관심을 두고, 이것의 보호・치료 및 예방을 포괄한다.

⑤ 국제연합 (1971) : 사회과학과 기타 과학에서 도출되어 사회개발의 훈련 및 조사에 교육적으로 인정받는 사업에 의해 지지된 지식, 방법 및 철학의 체계에 주로 기초를 두는 훈련에 의해서 터득된 사회복지 분야에 있어서 사람들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문적 운영방법이다.

⑥ 김상규 외 (1990) : 사회사업이란 개인이 그의 일상생활 과정에서 사회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해 나가는 데 필요한 도움을 사회복지기관의 전문가가 제공해 나가는 전문적 활동이다.

3.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구분 및 관계

사회복지(social welfare)는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정부나 민간이 제반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또는 시설을 통해서 사회적 역기능을 예방하고 경감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이다. 그리하여 사회복지는 제도나 정책의 목적적 개념을 중시한다. 사회사업(social work)은 개인, 가정, 집단,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형태나 기술적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서 사회복지 운영의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을 중시한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의미, 목적, 대상, 방법, 특성으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면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구분 사회복지 사회사업 의미 목적 대상 방법 특성 이념적 측면 강조 바람직한 사회 (사회 환경 변화) 보편적, 전체적 제도와 정책 (거시적) 사전적・예방적・적극적・일반적・원칙적・고정적 실천적 측면 강조 바람직한 인간 (개인 변화) 선별적, 개별적 지식과 기술 (미시적) 사후적・치료적・소극적・구체적・유연적・역동적

이러한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관계를 살펴보면 ①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②모든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 사회복지라 하더라도 개개인의 행복을 위한 사회사업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③사회복지의 모든 정책은 사회사업을 기초로 하여 발전되고 제도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관계를 컴퓨터의 구조에 비유해 보면, 사회복지는 하드웨어이며, 사회사업은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4. 사회복지사에 대한 견해

우리나라에서는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이 개정되면서 ‘사회사업가’ 또는 ‘사회사업종사자’라는 명칭이‘사회복지사’로 전환되었다. 현재 ‘사회복지사’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의 ‘social worker’를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자리를 굳혔다고 볼 수 있다. 즉 ‘사회복지사’는 사회사업을 실천하는 전문가로 인간문제의 해결을 도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사회사업과 사회복지정책을 통칭에서 ‘사회복지’라 규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복지사’가 고유명사로 사용된다 하더라도, 일치되지 않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용어의 의미’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혼란은 분명히 존재하리라 생각한다. 다시 말해 이념적 측면을 강조하는 용어(사회복지)로,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을 지칭한다는 것은 그 둘의 관계가 상호 밀접하게 관계를 맺고 있다하더라도 혼란스러울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혼란은 역할에 대한 인식을 정확하게 하는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기본적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와 역할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타 학문의 연구자들이 보기에 사회복지학이 덜 전문적이라는 인상을 갖게 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사회복지 정책가를 비롯한 사회복지의 다양한 분야에서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통칭할 수 있는 새로운 용어(‘사회복지전문가’-김상균 외, 2011)가 또 필요하게 되리라 생각된다.

즉, ‘사회복지사’라는 용어는 지금의 사회복지사가 하는 역할(social work)을 정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적당한 용어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사회복지사’라는 용어에 부합하려면, 사회복지정책가・사회복지행정가・사회사업실천가 등 사회복지 전반에 걸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섭렵하고,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5. 참고문헌

● 김상균 외 공저, 『사회복지개론』, 나남, 2011

● 박경일 외 공저, 『사회복지학강의』, 양서원, 2006

● 김융일 외 공저, 『사회복지개론』, 동인, 2003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및 사회복지사에 대한 견해

사회복지학(사회복지개론) 과제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사회복지학 필수과목인 사회복지개론을 공부하면서 과제로 작성했던 내용들을 다시 정리해 보았다. 과제 주제를 보고 자신의 견해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된다. 강의교재 및 사회복지 참고서적들 참고를 많이했다. 사회복지개론 과목은 건강가정사 관련과목(기초이론)에 해당되기도 한다.

사회복지학(사회복지개론) 과제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사회복지개론 과제 정리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사회복지란?

사회복지(social welfare)란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정부나 민간이 제반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또는 시설을 통해서 사회적 역기능을 예빵하고 경감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이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는 사회생활상의 곤란 또는 장애를 받고 있는 자, 즉 장애인, 노인, 아동 등의 요보호자에 대한 보호, 육성, 지도, 치료, 재활 등의 서비스 시책을 포함해서 모든 국민의 건강과 행복을 보장하는 사회정책, 사회보장, 보건, 의료, 주택, 고용, 교육 등의 여러 가지 사회적 서비스를 총칭하는 것이다.

사회복지는 사회구성원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통합을 추구하기 위한 제반법률, 프로그램, 급여 및 서비스체계를 총칭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는 인간생활의 만족스런 이상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인 동시에 그 이상 상태를 지향하는 구체적인 실천활동까지 포함하는 개념인 복지를 추구하기 위한 인간들의 공동체적 노력을 의미한다.

대체로 ‘목적적, 이념적, 추상적’인 면을 중시하며, 바람직한 사회건설에 목표를 두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대상 면에서 ‘일반적’이고, 현대적 사회복지를 추구하여 이에 요구되는 광범위한 ‘제도나 정책’의 기획과 조직화를 강조함으로써 실천면에서 고정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사회사업이란? 사회사업(social work)이란 개인, 가정, 집단,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형태나 기술적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복지 운영의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 사회복지와 가장 많이 혼용해서 사용된 낱말이다. 1970년대까지는 사회복지학은 대학의 사회사업학과에서 가르쳤고,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사람을 사회사업가로 불렀기 때문이다. 현재도 사회복지와 동의로 사용하는 견해도 있지만, 사회사업은 인간과 사회환경사이의 상호작용을 구성하는 사회적 관계에 초점을 두는 활동에 의해 개인 자체 및 집단 속에서의 개인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갖는 전문적 활동이다. 즉, 사회복지가 상호부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활동 영역으로서의 사회제도에 붙여진 이름이라면, 사회사업은 전문화된 직업의 이름 또는 전문직의 실천방법이라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개인, 집단, 지역사회를 도와 그들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하거나 회복하게 하고 사회적 여건을 창조하여 이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 활동으로 상호 작용하는 개인과 환경에 초점을 둔다. 사회사업은 손상된 개인의 능력을 치료와 재활을 통해 회복시켜주고, 개인의 능력을 발달시키고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적 기능을 통해 개인적, 사회적 자원을 제공해주고, 사회문제와 사회적역기능을 예방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관계를 살펴보면, 상호관련이 있으며 모든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 사회복지라 하더라도 개개인의 행복을 위한 사회사업을 분리해서 생각할수 없으며, 사회복지의 모든 정책은 사회사업을 기초로 하여 발전되고 제도화 될 수 있는 것이다. 사회복지는 하드웨어, 사회사업은 소프트웨어에 해당된다.

프래드랜더(Friedlander, 1974)는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 내리고 있다. 사회복지란 개인의 안녕과 사회질서유지를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규정들을 강화하거나 보장하는 법률, 프로그램, 급여 및 서비스들의 조직화된 체계라고 정의 내리며, 이 체계들은 국가의 경제수준이 향하고 국민들의 기대감이 커지는 사회변천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고 한다. 반면에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사회적 혹은 개인적 만족을 얻고 독립할 수 있도록 돕는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과학적 지식과 기술에 기초한 전문적 서비스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 즉, 프리드랜더는 사회복지라는 용어를 사회사업이라는 용어보다 포괄적이고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사회복지는 대체로 ‘이상적’인 면을 중시하며, ‘바람직한 사회건설’에 목표를 두고,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대상 면에서 ‘일반적’이고 현대적 사회복지를 추구하여 이에 요구되는 광범위한 ‘제도나 정책’의 기획과 조직화를 강조함으로써 실천면에서 ‘고정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사회사업은 대체로 ‘실천적’인 면을 중시하며, ‘바람직한 인간화’에 역점을 두고 인간의 존엄성과 독자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대상 면에서 ‘개별적’이며, 개인의 사회적 기능수행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실천면에서 ‘역동적’으로 활용한다.

사회복지는 국가발전의 주요목표가 되고 있으며, 사회사업은 종전의 사회적 약자만을 위한 책임한계를 벗어나서 국가전체의 개발에 적극 호응하며 공헌할 수 있는 전문분야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사회복지의 분야를 다양한 인간적 서비스 전문직을 포괄하는 것으로 볼 때 사회사업은 각종 사회복지 프로그램들과 활동의 관계 망 속에서 기능 하는 여러 전문직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사회사업의 지식, 기술, 및 가치관들은 개인들로 하여금 사회제도들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데 이용되고 또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회적 제도를 수정하는 것을 촉구해 온 것이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간략히 비교해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는 전문적 사회사업보다 광범위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사업, 공공복지 그리고 관련된 프로그램과 활동을 포함한다. 사회복지는 광대한 의미에서 많은 사람들의 안녕과 관심사, 즉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경제적 욕구를 다루게 된다. 방법적 측면에서 이러한 욕구에 대한 제도적 프로그램의 제공이 사회복지다. 또한 사회복지는 사회문제를 풀고 예방하는데 관련되는 기본제도나 과정을 포함한다.

사회사업은 사회복지제도에 의해 안내되는 계획된 변화 활동을 통해 개인, 집단 및 지역사회의 기능을 향상 시키는 도구적인 전문직이다. 이 활동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인간과 그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구성하고 있는 사회적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두는데 손상된 능력의 재활, 자원의 제공, 사회적 역기능의 예방의 기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그리고 지역사회가 자원을 잘 활용하도록 도와 인간문제를 경감시킨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의 능력과 장점을 개발한다.

사회복지사, 건강가정사 관련글

지금까지 사회복지학 필수과목중 하나인 사회복지개론을 공부하면서 작성했던 과제를 정리해보았다. 과제 주제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 가능한

아래 하트♥공감 버튼을 꾹 눌러주세요!

반응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회사업 교육은 고등교육기관(대학교 등)에서 체계적인 방식으로 시작한다.

사회사업(社會事業, 영어: social work) 또는 사회복지사업(social casework,소셜케이스워크)[1]은 빈곤, 사회부조리, 그리고 인권침해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보고 연구, 정책, 사회조직화, 직접 실천 및 교육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질 개선과 개인, 사회, 공동체에 걸쳐 전반적인 웰빙의 삶을 추구하는 전문적이고 학문적인 분야이다. 연구는 특히 인적자원 개발, 사회 정책, 공공 행정, 심리 치료, 프로그램 평가, 국제 개발 및 사회 개발에 조명을 맞추고 있다. 사회 사업가(또는 사회복지사)는 지역, 국가, 더 나아가 한 대륙, 그리고 국제적으로 전문적인 기구들에 배치되어 있다. 사회사업은 경제학, 교육학, 사회학, 의학, 철학, 정치학, 인류학, 심리학등 학제간의 연구가 활발한 분야이다.

역사 [ 편집 ]

자선단체라는 개념은 산업혁명 때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대격변이 초래되면서 특히 빈곤문제 관련 문제와 해결책을 찾는 사회와 종교계의 노력으로부터 생겨났다. 빈곤문제를 다루는 것은 초창기 사회사업의 가장 주요한 목적이었다. 자선사업과도 복잡미묘하게 연관되어있지만, 근래에 와서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과거와 달리 사회사업가들이 인종차별, 성차별, 동성애차별, 육체적, 정신적 장애나 나이로 인한 차별로 인해 일어나는 사회적 문제는 찾기 힘들다. 현대의 사회사업가들은 이전에 있어왔던 여러 문제들의 결과나 다른 분야들 보다도 복지사업의 모든 방면에 존재하는 사회적 병폐들에 대해 다룬다.

사회사업가들이 과학분야에 발을 들여놓기 시작한 것은 (빈곤은 질병과 같다는 사상이 지지 받던 때에) 각 개인을 관리하고 개선하려는 목적이었다. 또한 사회사업의 다른 모델들은 행동주의와 사회적 차원의 해결책을 주장하는 사회복지관 운동 및 제인 아담스 등의 사회운동가들을 통해서 시작되었다. 최근의 사회사업은 중대한 사업이며 사회문제를 이해 및 조정할 경우 전체론적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접근으로 빈곤문제가 도덕적 결함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정책을 토대로 한 사회적, 경제적 바탕을 통해 일어난다는 인식이 생겨나고 있다. 이는 또한 사회사업이 또다른 역사적인 발전을 하는 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사회사업가들이 이러한 사회적 제재에 더 개입하게 되면서, 개인과 사회 모두 자율성 증진을 이루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아동보호전문가와 같은) 현대 사회사업가들이 사회적 제재에 더 개입한다는 의미라기보다는 사회사업가들사이에서 현재 이러한 일들은 계속 해서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는 측이 더 바람직하다. 사회사업의 구조적인 문제와 인본주의적인 문제 사이에서 논쟁이 일어나는 것이 그 예이다.

현대의 사회사업가 [ 편집 ]

국제사회복지사협회에 따르면, 오늘날의 사회사업이란 ‘조사와 실습 평가에 결과에 기반한 체계적인 구조 방법론을 근간으로 한 각 상황에 따른 지역적, 민족적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 사회사업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생리심리학적인 요인들을 포함해 다양한 영향을 받고 또 변화하는 사람의 능력을 통해 인식된다. 사회사업 전문가들은 이를 통해 인적 자원 개발 관련 이론을 이끌어내고, 사회 이론과 사회구조를 파악하여 복잡한 상황들을 분석하며 문화적, 사회적, 구조적, 개인적 변화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자격 요건 [ 편집 ]

사회사업가 되려면 학사 학위 또는 사회사업 관련 학위증이 있어야 한다. 사회사업 관련 전공 대학원이 있는 국가들도 있다. 사회사업관련 전공을 졸업한 후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회사업을 평생 교육의 과정으로 여기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회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하고 사회복지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경우 전공 또는 전공 커리큘럼을 충족하는 경우에 사회복지사 자격을 인정하고있다.[2]

사회사업가로 활동할 수 있는 등록서류나 증명서를 요구하는 국가나 지역들도 있다. 전문 사회사업가 연합도 그에 맞는 학업 요구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사회사업가연합의 성공이유도 기업에서 직원을 뽑는 것과 같이 사람들에게 동등한 조건을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전문사회사업가협회 [ 편집 ]

사회사업가들을 위한 전문 협회가 여러 곳에 존재한다. 이 협회들은 도덕적 지침을 제공하고 연합 및 사회사업가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협회는 국제적, 대륙적, 국가적,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있다. 주요 국제 협회는 국제사회복지연합(International Federation of Social Workers)과 사회사업학교육성국제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Social Work)이다. 미국에가 가장 큰 전문 사회 사업가 협회는 미사회사업가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이다.

사회사업노동조합 [ 편집 ]

영국은 사회사업가의 반 이상이 공공부문에서 일하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은 공공노조(한국에 빗대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인 UNISON에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몇몇은 United the union이나 GMB에 있다. 영국 사회사업가연맹(The British Union of Social Work Employees)는 2008년 노동조합이 되었다. 2011년 영국사회사업가협회를 설립했다. 1976년 사회사업가연맹을 설립했으나 노동조합총협의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었다. 한국에서는 사회복지부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민주노동조합인 민주노총 공공노조 사회복지지부가 있다.

전문 사회사업가들의 역할 [ 편집 ]

전문사회사업가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사건관리제도시행(미국이나 영국에서 흔히 쓰이는 에이전시나 프로그램을 심리사회적 요인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연결시켜주는 일), 상담, 심리치료, 복지사업관리, 사회복지정책분석, 정책 및 실습 개발, 사회 조직, 국제 개발, 사회 개발, 공동체 개발, 변호, 사회사업교육, 사회, 정치 연구 등 다양하다.

같이 보기 [ 편집 ]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 개념과 제도의 변화

복지란 개념은 20세기 이래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복지는 Welfare의 번역어 인데, 이는 원래 행복을 뜻하는 용어였으며 1940년대 이후 사회구성원들이 좋은 상태의 유지를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입이라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 동양에서도 복지는 번역 초기, wellbeing의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식민지시기 복지란 용어보다는 사회사업, 후생, 민생으로 지칭되어지고 제도화가 되었다. 해방이후, 초기에는 식민지기의 제도적 명칭을 이어받지만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정부의 제도와 기구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회보장, 사회복지 개념의 수용에는 선성장 후복지가 복지의 확대를 막는 큰 요인으로 작동했다. 한국 사회의 복지 개념, 기구와 조직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논의 없이는 성장담론을 뛰어넘는 복지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The concept of ‘welfare’ is widely used since the 20th century.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is concept means among all different walks of life. ‘Bokji’, Korean translation of welfare, originally meant ‘well-being’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ince 1940’s with the influences of total in the Western countries, it started to gain the meaning of “the state or condition of doing or being well; good fortune, happiness, or well-being (of a person, community, or thing); thriving or successful progress in life, prosperity.” With the coming of Japanese colonialism, the concepts like social works, husaeng, minsaeng were employed and institutionalized. After liberation, the concepts from the colonial time persisted and were gradually replaced by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The development of such concept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m were greatly hindered by the discourse of “First Growth and Later Welfare.” Without the historical analysis of the concepts and institutions relevant to welfare, it will not be possible to create welfare discourses overcoming development orientated discourses handicapping welfare.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인기 답변 업데이트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dianhac.com.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dianhac.com.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영진사이버대학교사회복지계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67회 및 좋아요 3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차이를 알려드립니다.

사회복지 와 #사회사업 이 어떤 차이가 있다고 보시나요? 왠지 그냥 느낌으로 사회복지는 인간의 삶에 중심을 둘 것 같고.. 사회사업은 사업이니까.

+ 여기를 클릭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3/2021

View: 7184

사회사업(social work)은 개인, 가정, 집단,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형태나 기술적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서 사회복지 운영의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을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welfare24.net

Date Published: 7/8/2022

View: 6411

반면,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사회적 혹은 개인적 만 족과 독립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간간 관계상의 과학적 지식과 기술에 바탕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2/13/2022

View: 8654

사회사업(social work)이란 개인, 가정, 집단, 지역사회에 대한 서비스 형태나 기술적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복지 운영의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을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arista7.tistory.com

Date Published: 11/30/2022

View: 7629

해방이후, 초기에는 식민지기의 제도적 명칭을 이어받지만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정부의 제도와 기구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회보장, 사회 …

+ 더 읽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10/10/2022

View: 9951

사회복지는 생활과 건강상태를 만족한 수준에 미칠 수 있게 개인집단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와 제도의 조직적인 체계이다.

+ 더 읽기

Source: koasis.tistory.com

Date Published: 7/12/2022

View: 1334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간행물 : 사회와 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8권0호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발행년월 : 2013년 06월 · 페이지 : 5-41(37pages).

+ 여기에 표시

Source: kiss.kstudy.com

Date Published: 4/8/2022

View: 6749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비교하고 사회복지실천의 기능과 수준을 포함해 대상, 방법, 목적과 목표, 그리고 이념과 철학에 대해 서술하시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jisikworld.com

Date Published: 3/19/2022

View: 1642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개념은 한국과 미국, 일본 등에서 혼용하고 있으며,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50년대부터 1970대 중반까지 미국 등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happyhaksul.com

Date Published: 4/19/2022

View: 6241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복지란 개념은 20세기 이래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복지는 Welfare의 번역어 인데, 이는 원래 행복을 뜻하는 용어였으며 1940년대 이후 사회구성원들이 좋은 상태의 유지를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입이라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 동양에서도 복지는 번역 초기, wellbeing의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식민지시기 복지란 용어보다는 사회사업, 후생, 민생으로 지칭되어지고 제도화가 되었다. 해방이후, 초기에는 식민지기의 제도적 명칭을 이어받지만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정부의 제도와 기구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회보장, 사회복지 개념의 수용에는 선성장 후복지가 복지의 확대를 막는 큰 요인으로 작동했다. 한국 사회의 복지 개념, 기구와 조직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논의 없이는 성장담론을 뛰어넘는 복지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The concept of ‘welfare’ is widely used since the 20th century.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is concept means among all different walks of life. ‘Bokji’, Korean translation of welfare, originally meant ‘well-being’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ince 1940’s with the influences of total in the Western countries, it started to gain the meaning of “the state or condition of doing or being well; good fortune, happiness, or well-being (of a person, community, or thing); thriving or successful progress in life, prosperity.” With the coming of Japanese colonialism, the concepts like social works, husaeng, minsaeng were employed and institutionalized. After liberation, the concepts from the colonial time persisted and were gradually replaced by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The development of such concept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m were greatly hindered by the discourse of “First Growth and Later Welfare.” Without the historical analysis of the concepts and institutions relevant to welfare, it will not be possible to create welfare discourses overcoming development orientated discourses handicapping welfare.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개념은 한국과 미국, 일본 등에서 혼용하고 있으며, 학자에 따라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50년대부터 1970대 중반까지 미국 등 서구의 영향을 받아 사회사업(social work)”이라는 개념이 교육과 실천의 현장에서 통용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에 사회사업의 토착화 과제가 제기되었고, 당시 우리나라의 사회문제를 고려할 때, 사회복지 라는 광의의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학계와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social welfare) 라는 이념적 접근이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초록보기 복지란 개념은 20세기 이래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복지는 Welfare의 번역어인데, 이는 원래 행복을 뜻하는 용어였으며 1940년대 이후 사회구성원들이 좋은 상태의 유지를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입이라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 동양에서도 복지는 번역 초기, wellbeing의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식민지시기 복지란 용어보다는 사회사업, 후생, 민생으로 지칭되어지고 제도화가 되었다. 해방이후, 초기에는 식민지기의 제도적 명칭을 이어받지만 가회보장과 사회복지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정부의 제도와 기구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회보장, 사회복지 개념의 수용에는 선성장 후복지가 복지의 확대를 막는 큰 요인으로 작동했다. 한국 사회의 복기 개념, 기구와 조직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논의 없이는 성장담론을 뛰어넘는 복지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초록보기 대한민국 헌법 제정 과정에서 노동자의 경영참가권이 배제된 것이 한국 노사협의제의 전개에서 첫 번째 중요한 분기점이었다. 이후 1950년대에 노조가 결성된 사업체에는 단체교섭의 보조기구로서 기업별로 노자위원회 혹은 노사위원회가 설치되었고, 1960년대의 노사협의회 관행과 법규는 이들 배경이로 만들어졌다. 이시기에 한국생산성본부와 한국노총은 노동기본권들 전제로 산업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노사협의제를 적극 옹호했지만 정부와 경영자는 이에 소극적이었고, 이 구상은 결국 실현될 수 없었다. 1970년대 개발독재체제 하에서 노사협회는 급속히 확대 되지만, 위로부터의 동원기구로 규정되면서 본래의 협의기능이 형해화되었다.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노사협의회 제도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대폭 축소된 상황에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노사협의회 제도에 대해서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단체교섭을 중심으로 한 경영참가를 추진했고, 경영지는 경영권 논리를 내세우며 강력히 반대했다. 한국의 경영지는 노사협의회 제도에 실질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이에 따라 한국에서 노사협의회 제도는 양적으로는 꾸준히 팽창했지만, 내실있는 제도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

초록보기 이 글은 산업화 시기 한국의 재분배 정치가 사회정책보다는 조세정책과 저축장 려정책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 한국 복지국가 연구들은 주로 정당성 확보 수단으로서의 사회정책 등의 변수를 강조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들은 모두 국가의 사회정책이라는 측면만을 강조한 나머지 한국의 분배갈등과 재분배 정치의 독특성을 간과해 왔다. 반면 이 글은 산업화 시기 권위주의 체재 하에서 국가의 과세역량의 제약, 고리고 이를 만회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책금융의 활용이 한국사회에서 매우 독특한 재분배 정치의 경로를 형성하게 되었음을 지적 한다. 첫째, 국가의 정치적 정당성이 부재하고 공적 사회지출이 억제되는 상황에서 국가의 증세정책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오히려 근로소득세 면세점 제도를 통한 소득세 부담의 완화가 일종의 소득보장수안으로 활용된다. 둘째, 금융통제 하에서 정책금융이 국가의 재정부담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중요하게 활용됨에 따라’근로자재형저축제도’와 같은 소득보장적 성격이 강한 저축장려정책이 도입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산업화 시기 권위주의 국가의 조세정책과 저축장려정책의 결과, 한국의 재분배 정치가 사회정책을 중심으로 한 공적복지보다는 낮은 소득세부담과 민간복지를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초기의 경로형성이 민주화 이후 재분배 정치에도 강한 경로의존성을 형성하세 되었다고 주장한다.

초록보기 이 논문은 1960-70년대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구의 비서 구 인식이 이른바 ‘제3세계’에서 내부화되는 과장에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구는 20세기 중반 이래 서구가 비서구 세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경유하게 되는 개념의 하나였다. ‘제3세계’라는 용어가 과거 식민 지배로부터 해방 된 신흥독립국들을 인구학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등장했다는 사식은 이를 잘 드러내준다. 제3세계, 특히 아시아 지역의 과잉인구와 저발전에 대한 서구의 관심은 이 지역의 인구를 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시도로 이어졌으며, 아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된 가족계획 사업은 그 적극적인 형태였다. 이 연구는 ‘탈식민(postcolonial)’의 맥락에서 가족계획 사업의 이 같은 속성을 읽어내고자 하는 시도다. 한국의 가족계획 사업은 서구가 인구 개념을 경유해 인식하는 비서구 세계의 상(象)이 비서구가 스스로를 인식하는 양식과 어떻게 공명하는가를 보여준다. 가족계획 사업의 전개과정에서 농촌과 도시의 이항대립은 전근대와 근대, 야만과 문명, 과거와 현재(미래), 정체와 진보의 표상과 결합하면서 서구에 준거하는 비서구의 자기인식과 연결되었다. 특히 동시대인으로부터 동시대성을 제거하고 이들을 타파 되지 않은 나머지(remnant)이자 시대착오로 간주하는 비서구 엘리트들의 인식은 발전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인 역사주의(historicism)를 반영한다. 가족계획 사업은 역사주의와 결합하여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메워지지 않는 격차를 상정하고 그 낙오를 만회하기 위하여 식민주의의 이른바 문명화 임무를 내부화하며 전개되었다.

초록보기 이 논문은 국가형성기 북한의 생명정치와 규율적인 주체 형성의 역사적, 사회적 과정을 탐색한다. 서구의 자본주의 국가뿐만 아니라 여타 사회주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근대화 프로젝트 역시 과학적 합리성을 기치로 국가경영 및 사회통제 시스템을 확립하고 새로운 사회주의 인간형을 창출하려 노력했다. 북한 정권은 소비에트 시스템에 기초하여 위로부터의 강력한 국가적 동원을 통해 전체 인구의 재생산, 보건, 위생, 체육 등을 합리적, 과학적으로 경영하는 생명정치의 기제를 구사했고 이러한 생명정치는 전국민의 개별 육체를 규율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전체주의적 폭압의 정치로 변화되는 북한의 국가적 인종주의는 생명정치의 극단화된 결과를 드러내 준 것이면서 동시에 생명정치의 이중성을 보여주는 것이 기도 했다. 1950-1960년대 국가형성기 북한사회에서는 한편으로는 열등한 종족을 처벌하고 말살하는 국가적 인종주의가 가동되는 동안 다른 한편으로는 과학적 합리성으로 무장한 생명정치의 프로젝트 속에서 개별 주체의 ‘주체적’ 육체와 의식을 기획하고 창조하려 했던 미시적인 규율권력이 작동했던 것이다.

초록보기 1990년대 이래 문화주의를 이론적으로 수용한 디아스포라 연구는 지구화의 맥락 안에서 이주자의 민족정체성이 재구성되는 맥락과 주체의 문화 정치를 규명해왔다. 이 연구는 민족정체성이 문화주의적 디아스포라 연구의 키워드로서 갖는 유효성을 인정하면서도 디아스포라가 이주 사회에서의 삶과 경험의 총체를 드러내는 데는 미흡함을 제기하였다. 민족정체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장소성 개념을 통해 식민지민 디아스포라의 존재적 불안정성과 사회적 유동성을 드러낼 때 식민지민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이동)현상에 내재된 역사성이 차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논한 것이다. 장소는 인간의 모든 경험이 일어나는 기반이며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및 인간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물리적 공간이다. 이 장소의 역사, 문화, 기억을 공유하고 경험하는 장소와의 연관성이 결여될 때 디아스포라는 고립되거나 유동한다. 이방인, 이동성, 장소와 장소성 개념은 만주 조선인이 만주라는 공간과 가졌던 관계의 유동성, 사회적 관계 형성의 불가능성. 불온한 이동성인 浮動性의 존재방식을 드러낸다.

초록보기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 체류하는 조선족의 구체적인 실천전략과 개별적인 귀속의식을 고찰한 글이다. 현재 한국에서 살아가는 조선족의 정체성은 기존 정체성 유지여부, 주류사회에의 진입의지, 관계유지 여부를 기준으로 ‘동포지향형’, ‘조국지향형’, ‘귀화동화형’, ‘미래지향형’ 등 네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네 유형의 귀속의식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인다. ‘귀화동화형’은 국적과 정체성이 일치된다. 이에 반해, ‘동포지향형’은 이동 공간, 대상과 상황에 따라 자신의 귀속을 다르게 표출한다. ‘조국지향형’ 사례의 귀속의식은 ‘중국 조선족’의 기준 정체성을 강화하고 유지하려는 경향을 띠고, ‘미래지향형’은 한국과 중국의 어느 한쪽에 귀속된 존재보다는 ‘제3의 존재’로서 자신을 규정한다. 재한 조선족의 실천유형별 귀속의식 및 그 변환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발견되는 특징적인 현상의 하나가 각 개인별 귀속의식이 반드시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공간과 상황에 따라서 유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조선족들이 자신의 위치설정에서 유리한 입장에 서기 위해 귀속의식을 공간과 대상에 따라 유리하게 편의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즉, 불가피한 어떤 구조와 패턴 속에서 조선족들은 국가, 민족, 집단 등 3중의 귀속의식을 상황에 따라 자신의 생존과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도구로 사용한다.

키워드 보기

초록보기

키워드 보기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반응형

사회복지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Social welfare의 정의

1. W.A. Friedlander

사회복지는 생활과 건강상태를 만족한 수준에 미칠 수 있게 개인집단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와 제도의 조직적인 체계이다.

2. A. Dunham

사회복지는 인구의 일부 또는 전체의 경제적 조건, 건강, 대인관계 경쟁을 개선 유지함으로써 사회적 복리를 추진하려는 조직적인 활동이다.

3. 전재일 외

사회복지란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부나 민간단체들이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서비스, 제도를 통해서 사회적 역기능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노력이며 실천 활동이다.

사회사업개념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Social work의 정의

1. W.A. Friedlander

사회사업은 개인으로 하여금 개인을 집단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인간적 만족과 독립을 성취하도록 원조하고 인간관계에 관한 과학적 지식과 숙련을 기초로 한 전문적인 활동이다.

2. A. Dunham

사회사업은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인구집단에 관심을 두고, 이것의 보호, 치료 및 예방을 포괄하는 활동이다.

3. 전재일 외

사회사업이란 개인이 일상생활 과정에서 사회적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해 나가는데 필요한 도움을 사회복지기관의 전문가가 제공해 나아가는 전문적인 활동이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비교

사회복지 구 분 사회사업 이상면을 강조 어의[語意] 실천면을 강조 환경 지향적 목적[目的] 인간 지향적 전체적, 불특정적 대상[對像] 부분적, 특정적 제도, 정책, 고정적 방법[方法] 지식, 기술, 역동적 사전, 예방, 적극적 기능[機能] 사후, 치료, 소극적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다음은 Bing에서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YouTube에서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 사회 복지 와 사회 사업,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영어 회화 Mp3 | [원어민처럼 말하기 기초 영어 회화] Mp3 다운로드 안내 인기 답변 업데이트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