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Home »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상위 262개 베스트 답변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상위 262개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kk.taphoamin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kk.taphoamini.com/wiki/.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성공학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5,056회 및 좋아요 6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제가 조회한 결과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로 확인됩니다. 즉, 제가 살고 있는 주소에는 검색한 기간 동안 세대주나 세대원의 변화가 없다는 뜻입니다. 만약, 세대원이 전입 신청을 했다면 해당 목록이 보일 것입니다.

Table of Contents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이사를 하고 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전입신고인데요
요즘에는 인터넷으로도 전입신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신고를 하게 되면 세대주 확인 또한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데 그럼 간단하게 세대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전입신고세대주확인 #세대주확인 #전입신고확인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세대주 확인 방법(ft. 온라인) – 도움포스트

세대주를 확인하는 경우는 보통 이사를 가서 전입신고를 하거나 세대분리를 할 … 그런데,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고 표시가 되면서 승인할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dkdnt12.tistory.com

Date Published: 1/19/2022

View: 7853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민원24 인터넷 전입신고) – Forbes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전입신고는 누구나 할 수 있고, … 페이지 접속 3일 이전에 신청된 내용이라면 아래와 같이 ‘세대주확인목록이 없습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forbes.tistory.com

Date Published: 7/24/2022

View: 1531

정부24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하는법 – 간편

따라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주민등록이 잘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이사 … 위 화면의 경우 전입신고한 이력이 없으므로 세대주확인목록이 없다고 …

+ 여기에 표시

Source: info.nagogle.kr

Date Published: 12/25/2021

View: 6087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 잠자는중

아주 어릴때는 세대주라고 하면 아버지와 바로 연결이 되었는데 이제는 … 신고 세대주 확인을 해 본 화면인데 저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었습니다.

+ 더 읽기

Source: 1sleep.tistory.com

Date Published: 5/6/2022

View: 6765

Top 34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Quick Answer

제가 조회한 결과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로 확인됩니다. 즉, 제가 살고 있는 주소에는 검색한 기간 동안 세대주나 세대원의 변화가 없다는 뜻 …

+ 여기에 표시

Source: toplist.avitour.vn

Date Published: 12/2/2022

View: 4022

전입신고 – 민원24 자주묻는질문 검색

A) ①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전입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 신고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하는데 민원24에서는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더 읽기

Source: mobile.egov.go.kr

Date Published: 11/29/2021

View: 6063

세대주 확인 방법(정부24) – 꿀팁브리핑

조회한 결과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검색한 기간 안에 세대주나 세대원의 변화가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good-tips-info.tistory.com

Date Published: 3/11/2021

View: 3347

정부24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자주 묻는 질문 모음 FAQ

①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전입하고자 하는 …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가 완료되었는데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0muwon.com

Date Published: 10/5/2021

View: 7942

세대주 확인법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 …

세대주 확인이란, 온라인 전입신고 시 전출(입)지 세대주는 세대원이 신청한 … 그런데,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고 표시가 되면서 승인할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you.maxfit.vn

Date Published: 5/8/2021

View: 256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 Author: 성공학교
  • Views: 조회수 5,056회
  • Likes: 좋아요 61개
  • Date Published: 2021. 11. 2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_eMwLiWh1so

환영합니다! 블로그 아이디가 만들어졌어요.

나름대로 끄적거림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세대주 확인하기 박상태 010 5128 3100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이사를 하면 가장 먼저 전입신고를 하게 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우선변제권과 대항력을 얻어야 세입자의 권리가 생기기 때문인데 보증금 보호를 위해 “전입신고”, “확정일자”, “점유”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전입신고는 14일 이내 관할 주민센터나 인터넷을 통해 하게 되어 있지만 통상적으로 이사 당일에 하게 됩니다. ​ 기존의 세대주가 있는데 다른 세대원이 편입하거나 세대 합가가 이루어지는 경우 전입지 주소지 세대원의 세대주 확인이 필요하게 됩니다. 분가했던 자녀가 다시 본가로 돌아오거나 세대원 중에 지방으로 세대분리가 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할 주민센터에 신분증을 가지고 방문해서 세대주 확인을 할 수도 있지만 비대면이 생활화된 지금 인터넷으로도 편리하게 세대주 확인이 가능합니다. ​ ​ ​ © chuklanov, 출처 Unsplash ​ ​ ​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시 전입 세대주는 세대원이 신청한 전입신고에 대해서 세대주 확인을 해야 하는데 세대주에게 세대원이 전입신고 시 신고서에 입력한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 확인 안내가 발송됩니다. ​ 이때, 이사 온 곳에 살고 있는 기존 세대주와 별도로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전입신고가 되지 않습니다.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한 후 방문해야 합니다. ​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부 24″홈페이지로 갑니다. 메뉴 찾을 필요 없이 검색창에 “세대주 확인”을 입력하고 검색을 클릭해보았습니다. ​ ​ ​ ​ ​ ​ 아랫부분에 “메뉴 검색 1건”이 보입니다. 원래 메뉴에서 찾으려면 “서비스->신청/확인/공유->사실/진위 확인->세대주 확인”으로 확인됩니다. 메뉴에서 이렇게 클릭해도 되는데 검색으로 들어오니 저는 좀 더 편리했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시에 세대원이 신청한 전입신고에 대해 세대주가 확인을 하는 서비스로 안내되어 있습니다. 옆의 “바로 가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 ​ ​ ​ ​ “온라인 주민등록 신고(전입·정정·재등록 등) 시 세대주 확인”으로 넘어갑니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 확인”이 필수 입력 사항이며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을 하기 위해 본인확인용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 ​ ​ ​ ​ ​ 확인을 클릭하면 바로 “본인확인 인증창”이 활성화됩니다. “간편 인증”인 페이코, 삼성 패스, KB 모바일 인증서, 카카오톡, 통신사 인증서가 있고 구 공인인증서인 “공동 인증서” 가 있는데 이 중 선택하면 됩니다. ​ ​ ​ ​ ​ ​ 제가 조회한 결과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로 확인됩니다. 즉, 제가 살고 있는 주소에는 검색한 기간 동안 세대주나 세대원의 변화가 없다는 뜻입니다. 만약, 세대원이 전입 신청을 했다면 해당 목록이 보일 것입니다. ​ “해당목록”은 신청 일자, 민원접수번호, 민원사무명, 신청자, 본인확인 여부, 확인 일자, 상세칸이 있으며 민원사무명에 “전입신고”라고 되어 있고 상세에 “확인”버튼이 있습니다. ​ “상세”부분에 주소등 틀린부분이 있다면 신청인과 이야기해서 취소하고 다시 신청하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만일, “본인확인”을 마친 후인데 조회 시에 “본인 확인”버튼이 확인된다면 처리가 되지 않은 것이니 다시 입력해야 합니다. ​ 세대원으로 신고한 사람을 세대원으로 인정하고 세대주 확인을 하려면 상세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고 본인확인을 해주면 확인 여부와 확인 일자가 나타나고 1~2일 이내 전입신고 처리가 됩니다. ​ 전입신고 후 세대주 확인이 안된 상태로 8일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취소되니 유의해야 합니다. 전입신고 신청 후 7일 이내 세대주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기간이 지나면 다시 과정을 반복할 수 있어 확인 요청이 오면 진위 확인 후 바로 승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 ​ ​ ​ ​ 본인인증만 하면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절차이고 세대주 입장에서는 내가 모르는 사이 제3자가 세대원으로 등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어렵지 않아 간단하게 승인되지만 세대주 확인 시에 “기간별 검색”을 주의해야 합니다. ​ 3일 이전의 세대주 확인 내용은 검색 기간을 입력한 후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정상으로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은 주민등록등본 발급이겠습니다. “정부 24″에서 간단하게 발급하거나 열람도 가능합니다. 인쇄

세대주 확인 방법(ft. 온라인)

세대주를 확인하는 경우는 보통 이사를 가서 전입신고를 하거나 세대분리를 할 때입니다. 이외에도 정부의 지원금을 받는다거나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기 위해서 세대 구성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온라인을 통해서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경로가 친숙하지 않아서 많이들 어려워하시는 부분이 있습니다.

내가 알고 싶은 건 세대주 이름 하나뿐인데, 과정이 어려우면 쉽게 할 생각이 안 듭니다.

그럼에도 아래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경로만 들어가신다면 세대주를 확인하는 것쯤은 1분도 채 안 걸립니다.

세대주란(ft. 세대주 세대원 차이)

세대주 확인 방법

세대주 확인이란?

세대주 확인은 말 그대로 세대의 주인을 확인하는 절차인데요. 요즘에는 이사를 많이 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전입신고를 하면서 세대주가 제대로 변경이 되었는지 수시로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혹시나 자칫 세대주 신청/변경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부동산 관련해서 누릴 수 있는 기본 혜택조차 놓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로, 지인이 세대주 변경을 안 해서 국민주택 넣었다가 탈락한 적이 있습니다.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대표 경우]

A. 주택청약이나 아파트 매매에 필요한 자격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B. 재난지원금과 같이 정부지원금 자격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C. 자녀가 부모 집으로 편입하려고 할 때

D. 자녀가 세대분리를 해서 독립하려고 할 때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법

1. 정부 24 홈페이지 접속

2. 상단 > 서비스 클릭

3. 사실/진위 확인 클릭

4. 세대주 확인 클릭

위 4단계 경로를 통해서 세대주를 확인하는 서비스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세대주의 개인정보인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인증서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다음 화면에는 세대주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전입신고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자녀가 부모의 집으로 편입하려고 할 때 전입신고를 할 건데,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럴 때 세대주 확인 화면에 들어가셔서 확인 클릭만 하면 됩니다.

세대주 확인 안됨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

자녀가 부모 집으로 편입할 때, 부모 집으로 전입신고를 하면 부모가 세대주 확인 서비스로 들어가서 승인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고 표시가 되면서 승인할 건수가 없어서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2가지 경우인데, 하나는 자녀가 전입신고를 똑바로 하지 않았거나, 다른 하나는 기간별 검색에서 기간 설정을 최신으로 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자녀가 전입신고 후 일주일 내로 세대주분이 승인하지 않으면 전입신고가 취소됩니다.

세대주 확인 다른 방법

동사무소에 직접 방문을 하거나 등본을 발급받아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등본도 인터넷으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세대주를 확인하는 편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로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정부 24 > 메인화면 > 자주 찾는 서비스 > 주민등록등본(초본)

무주택 세대주 확인 방법

무주택이란 자신의 이름으로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무주택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 또한 위 내용과 동일합니다. 무주택 세대주가 유명해진 이유는 바로 주택청약조건과 보증금 대출 때문인데요.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그리고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기간이 긴 사람들에게 더 많은 점수를 주기 때문에 청약에 당첨될 확률이 높은 것입니다.

자녀가 있는데, 전월세 집에 살고 있는 분들이 청약 점수가 높은 이유입니다.

[관련 글 더보기]

무주택자 기준(ft. 무주택 세대주)

무주택기간 확인방법(ft. 청약홈)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민원24 인터넷 전입신고)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전입신고는 누구나 할 수 있고,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나 간단하면서도 사람들이 쉽게 놓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전입신고란?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거주지를 이동한 때에 신고의무자가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주소지변경 및 등록을 위한 전입사실을 새로운 거주지 구청, 주민센터 등 관할기관에 신고하는 것을 전입신고라고 합니다.

특히 월세, 전세로 거주하시는 분이라면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전입신고를 하셔야 하는데요.

전입신고를 하는 방법은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비치되어 있는 전입신고서 서류를 작성한 후 제출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직접 방문하여 처리 할 경우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민원24 사이트를 이용하신다면 집에서도 간편하게 전입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결혼으로 인해 배우자(세대주)의 거주지로 전입신고를 하거나, 세대편입, 세대합가 등 세대원이 전입 신고를 하게되면 세대주 확인을 필요로 하는데요. 많은 분들이 민원24에서 전입신고 후 처리완료가 되지 않고 취소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세대주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확인해주는 과정을 놓친 경우가 대다수인데요. 전입신고 신청 후 일주일 이내에 세대주 확인을 받지 못한다면 신청된 전입신고는 자동으로 취소처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민원24 전입신고 신청 후 일주일 이내에 세대주확인을 받지 못하면 자동으로 취소 처리

▷ 전입신고 or 세대주확인을 위해서는 민원24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민원24 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접속하시거나 네이버 검색창에 민원24 를 검색하여 사이트로 이동해주세요.

▷ 민원24 전입신고 신청 시 온라인 전입신고 서비스 이용 주의사항이 첫 화면에 나타나게 되는데, 안내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전입신고를 위해서는 당사자가 신청해야 하며 본인 공인인증서가 필요로 합니다. 마찬가지로 전입신고 신청후 근무일 기준 다음날 신청인이 [나의민원] 에서 처리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세대주확인(미접수)로 나타난다면 세대주확인이 안된 것으로 세대주에 통보하여 ‘세대주확인’을 처리하셔야 하는데요.

민원24 홈페이지 상단의 [확인서비스] > [세대주확인] 메뉴에서 세대주의 공인인증서를 통하여 인증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 세대주확인을 위해서는 본인확인용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확인 숫자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세대주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 세대주확인 페이지에서 세대원이 신청한 전입신고를 확인하시면 되는데, 세대주 확인 페이지 접속 3일 이전에 신청된 내용이라면 아래와 같이 ‘세대주확인목록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게 되지만, 이는 검색 통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 세대원이 전입신고한 날짜를 선택한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하세요.

▷ 2017. 6. 19. 기준 3일 이내의 신청 내용만 보여지므로, 2017. 6. 17. 이전에 신청된 내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입니다.

기간별 검색에서 일자 선택 후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이 전입신고 신청 내용이 나타나게 되며, 아직 세대주확인을 받지 못했으므로 본인확인여부에 ‘미확인’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전입신고 신청 목록에 검색된 민원사무명 우측의 [확인]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확인 버튼 클릭시 세대주확인을 필요로 하는 세대원 전입신고서 신청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 내용이 틀림없다면 하단의 정보제공 동의에 체크해주신 다음 [본인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본인확인 시 다시 세대주확인 전입신고 신청 목록 페이지로 돌아가게 됩니다. 본인확인을 정상적으로 완료하셨다면 ‘본인확인여부’에 ‘확인’이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24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하는법 – 간편

반응형

전입신고는 사전적 정의로 살펴봤을 때 거주지를 옮기게 될 경우 그 사실을 관할 관청에 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전입신고가 되어있어야 하며 이사를 했음에도 전입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다른 사람이 동사무소에 신고를 하여 주민등록 말소 처리 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주민등록이 잘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이사를 하는 경우 2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전입신고는 인터넷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인터넷의 경우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전입신고를 마친 후 세대주가 있는 경우 (본인이 세대주가 아닌 경우) 옮긴 주소지의 세대주가 전입신고 확인을 해주어야 합니다. 세대주 확인이 완료되어 전입신고가 최종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정부 24 전입신고 바로가기

전입신고 방법 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온라인으로 신청 ( 공인인증서 필요)

2) 방문 신청 (읍.면.동 접수)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방법

1. 먼저 포털 검색창에 정부24를 입력하고 홈페이지 에 방문합니다.

2. 여기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메뉴 중 서비스라는 곳을 클릭한 다음 사실/진위를 클릭 합니다.

3. 사실/진위확인 메뉴에 들어와 있다면 중간 부분에 있는 세대주 확인을 클릭 합니다.

4. 세대주 확인이 끝났다면 공인인증서 등록을 통해 로그인 을 해야 합니다. 성명/주민등록번호/부정방지 입력 확인까지 입력을 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5. 로그인 절차가 끝나면 세대주 확인 창이 뜨면 확인 을 하면 됩니다. 기간은 본인이 전입신고한 날짜를 입력하면 됩니다. 기억이 잘 안 날 경우 해당 연도 전체를 입력해도 무방합니다.

위 화면의 경우 전입신고한 이력이 없으므로 세대주확인목록이 없다고 뜨지만, 전입신고를 한 이력이 있다면 전입신고일, 신청자, 세대주 본인 확인 여부와 확인일자가 뜨게 됩니다.

정부24 세대주확인 바로가기

반응형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반응형

아주 어릴때는 세대주라고 하면 아버지와 바로 연결이 되었는데 이제는 본인이 직접 세대주가 될 수도 있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세대주는 30세 이상이긴 하나 소득에 따라서 세대주가 될 수도 있고 기혼자의 경우 세대주가 될 수도 있는데요.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따로 정리하도록 하고 전입신고에 대해 생각해보면 주민센터에 가서 신청을 할 수도 있지만 인터넷으로 신청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터넷으로 전입신고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특히 세대주 확인 부분에서 걸릴 때가 많습니다.

또한 인터넷으로 하려면 공동인증서가 필요한데 예전 공인인증서가 이름이 변경된 것입니다.

전입신고를 할 때에도 필요하지만 세대분리를 할 경우에도 필요하고 그 외에 주민등록정정에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다양하게 있는 것 같습니다.

전입신고를 인터넷으로 하다 보면 세대주 확인에 대한 부분이 나오는데요. 세대주 확인은 어디서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순서대로 사진과 함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정부24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해당 홈페이지 메인화면 검색창에 세대주 확인을 검색합니다.

메뉴검색에 1건이 보이는데 세대주 확인을 클릭합니다.

세대주 확인을 위해서는 본인확인용 인증서가 필요하며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를 위해서는 전입신고 상세내역 하단의 본인확인 버튼을 클릭하여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세대주확인 따라하기를 참조하라고 하는데 해당 사진도 가져왔습니다.

참고로 해당 화면은 제가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을 해 본 화면인데 저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었습니다.

따라하기에는 전입신고 시 전출(입)지 세대주는 세대원이 신청한 전입신고에 대해 세대주확인을 해야 하며 해당 세대주에게는 세대원이 전입신고 시 신고서에 입력한 휴대전화로 SMS로 확인 안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세대주 확인을 들어가면 저는 아까 아무것도 없었지만 신청에 따라서 세대주 확인 목록이 나오는데요.

전입신고서를 보면 신청인의 정보, 전에 살던 곳,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가 전출한 경우, 현재 사는 곳 등의 정보가 적혀져 있습니다. 그리고 본인확인을 하여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따라하기 부분이 아쉬웠던 것은 1~4번 아래에 설명이 붙은 것이 아니라 설명을 아래에 몰아놓았다는 것이였는데요. 다행히 그림만 보고서도 크게 어렵지는 않았기에 저도 해당 부분은 똑같이 아래에 배치를 해두었습니다.

반응형

Top 34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Quick Answer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세대주 확인하기 : 네이버 블로그

Article author: blog.naver.com

Reviews from users: 9862 Ratings

Ratings Top rated: 4.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세대주 확인하기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세대주 확인하기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Table of Contents: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작성자 이외의 방문자에게는 이용이 제한되었습니다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세대주 확인하기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세대주 확인 방법(ft. 온라인) – 도움포스트

Article author: dkdnt12.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8451 Ratings

Ratings Top rated: 4.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세대주 확인 방법(ft. 온라인) – 도움포스트 세대주를 확인하는 경우는 보통 이사를 가서 전입신고를 하거나 세대분리를 할 … 그런데,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고 표시가 되면서 승인할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세대주 확인 방법(ft. 온라인) – 도움포스트 세대주를 확인하는 경우는 보통 이사를 가서 전입신고를 하거나 세대분리를 할 … 그런데,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고 표시가 되면서 승인할 … 세대주를 확인하는 경우는 보통 이사를 가서 전입신고를 하거나 세대분리를 할 때입니다. 이외에도 정부의 지원금을 받는다거나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기 위해서 세대 구성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온라인을..

Table of Contents:

세대주 확인 방법(ft. 온라인) – 도움포스트

Read More

정부24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하는법 – 간편

Article author: info.nagogle.kr

Reviews from users: 48345 Ratings

Ratings Top rated: 4.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정부24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하는법 – 간편 따라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주민등록이 잘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이사 … 위 화면의 경우 전입신고한 이력이 없으므로 세대주확인목록이 없다고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정부24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하는법 – 간편 따라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주민등록이 잘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이사 … 위 화면의 경우 전입신고한 이력이 없으므로 세대주확인목록이 없다고 … 전입신고는 사전적 정의로 살펴봤을 때 거주지를 옮기게 될 경우 그 사실을 관할 관청에 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전입신고가 되어있어야 하며 이사를 했음에도 전입신고를 하지..

Table of Contents:

정부24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하는법 – 간편

Read More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 잠자는중

Article author: 1sleep.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13435 Ratings

Ratings Top rated: 4.1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 잠자는중 아주 어릴때는 세대주라고 하면 아버지와 바로 연결이 되었는데 이제는 … 신고 세대주 확인을 해 본 화면인데 저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었습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 잠자는중 아주 어릴때는 세대주라고 하면 아버지와 바로 연결이 되었는데 이제는 … 신고 세대주 확인을 해 본 화면인데 저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었습니다. 아주 어릴때는 세대주라고 하면 아버지와 바로 연결이 되었는데 이제는 본인이 직접 세대주가 될 수도 있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세대주는 30세 이상이긴 하나 소득에 따라서 세대주가 될 수도 있고 기..

Table of Contents:

인기포스트 MORE POST

인기포스트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 잠자는중

Read More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민원24 인터넷 전입신고)

Article author: forbes.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41462 Ratings

Ratings Top rated: 4.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민원24 인터넷 전입신고)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전입신고는 누구나 할 수 있고, … 페이지 접속 3일 이전에 신청된 내용이라면 아래와 같이 ‘세대주확인목록이 없습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민원24 인터넷 전입신고)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전입신고는 누구나 할 수 있고, … 페이지 접속 3일 이전에 신청된 내용이라면 아래와 같이 ‘세대주확인목록이 없습니다.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전입신고는 누구나 할 수 있고,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나 간단하면서도 사람들이 쉽게 놓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전입신고란? 하나..

Table of Contents:

티스토리 뷰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티스토리툴바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 (민원24 인터넷 전입신고)

Read More

정부24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자주 묻는 질문 모음 FAQ

Article author: 0muwon.com

Reviews from users: 34587 Ratings

Ratings Top rated: 3.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정부24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자주 묻는 질문 모음 FAQ 온라인 전입신고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세대주가 정부24(민원24)에 접속하여 상단 …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가 완료되었는데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정부24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자주 묻는 질문 모음 FAQ 온라인 전입신고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세대주가 정부24(민원24)에 접속하여 상단 …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가 완료되었는데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정부24(민원24)에서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할 수가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시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며, 별도의 신청 수수료는 없습니다. 오늘은 정부24 온라인 전입신고 관련 자주 묻는 질문을 모아봤습니..

Table of Contents:

네비게이션

정부24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자주 묻는 질문 모음 FAQ

사이드바

검색

티스토리툴바

정부24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자주 묻는 질문 모음 FAQ

Read More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Article author: justdim.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3911 Ratings

Ratings Top rated: 4.3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현재 제가 살고 있는 집에는 작년부터 오늘까지 아무런 세대주나 세대원에 대한 변화가 없습니다. 즉 다른 세대원이 전입신청을 한 사실이 없다면 위와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현재 제가 살고 있는 집에는 작년부터 오늘까지 아무런 세대주나 세대원에 대한 변화가 없습니다. 즉 다른 세대원이 전입신청을 한 사실이 없다면 위와 … 부동산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써니퍼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와 세대원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사를 하고나면 가장 먼저하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전입신고입니다…

Table of Contents:

태그

‘부동산이야기’ Related Articles

공지사항

최근 포스트

태그

검색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Read More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Article author: www.gyeongju.go.kr

Reviews from users: 8184 Ratings

Ratings Top rated: 4.5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온라인으로 인감증명 발급 신청이 가능한가요? 다음글: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시간은 어떻게 됩니까? 목록.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온라인으로 인감증명 발급 신청이 가능한가요? 다음글: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시간은 어떻게 됩니까? 목록. 부동산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써니퍼니’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와 세대원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사를 하고나면 가장 먼저하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전입신고입니다…

Table of Contents:

태그

‘부동산이야기’ Related Articles

공지사항

최근 포스트

태그

검색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인터넷을 통한 세대주 및 세대원 확인하는 방법

Read More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feat. 민원24)

Article author: foxyracoon.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5206 Ratings

Ratings Top rated: 4.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feat. 민원24) 이렇게 세대주1에게 확인을 하라는 문자가 오게 됩니다. 그때 기존 세대주인 세대주 1이 해야 하는 절차가 세대주 확인 입니다. 2. 확인 방법은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feat. 민원24) 이렇게 세대주1에게 확인을 하라는 문자가 오게 됩니다. 그때 기존 세대주인 세대주 1이 해야 하는 절차가 세대주 확인 입니다. 2. 확인 방법은 ? 안녕하세요. 불여시너부리 입니다. 얼마 전 ‘세대주 확인’ 이라는 행정절차를 경험해 보았습니다. ‘전입신고’는 많이 해 보았는데 세대주 확인은 처음이라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어렵지는 않습니다. 지금..불여시너부리의 경제적 자유를 향한 여정

Table of Contents: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feat 민원24)

티스토리툴바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방법(feat. 민원24)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avitour.vn/blog/.

현대해상 박상태 대출성상품 판매대리중개업자

나름대로 끄적거림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세대주 확인하기 박상태 010 5128 3100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이사를 하면 가장 먼저 전입신고를 하게 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우선변제권과 대항력을 얻어야 세입자의 권리가 생기기 때문인데 보증금 보호를 위해 “전입신고”, “확정일자”, “점유”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전입신고는 14일 이내 관할 주민센터나 인터넷을 통해 하게 되어 있지만 통상적으로 이사 당일에 하게 됩니다. ​ 기존의 세대주가 있는데 다른 세대원이 편입하거나 세대 합가가 이루어지는 경우 전입지 주소지 세대원의 세대주 확인이 필요하게 됩니다. 분가했던 자녀가 다시 본가로 돌아오거나 세대원 중에 지방으로 세대분리가 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할 주민센터에 신분증을 가지고 방문해서 세대주 확인을 할 수도 있지만 비대면이 생활화된 지금 인터넷으로도 편리하게 세대주 확인이 가능합니다. ​ ​ ​ © chuklanov, 출처 Unsplash ​ ​ ​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시 전입 세대주는 세대원이 신청한 전입신고에 대해서 세대주 확인을 해야 하는데 세대주에게 세대원이 전입신고 시 신고서에 입력한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 확인 안내가 발송됩니다. ​ 이때, 이사 온 곳에 살고 있는 기존 세대주와 별도로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전입신고가 되지 않습니다.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한 후 방문해야 합니다. ​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부 24″홈페이지로 갑니다. 메뉴 찾을 필요 없이 검색창에 “세대주 확인”을 입력하고 검색을 클릭해보았습니다. ​ ​ ​ ​ ​ ​ 아랫부분에 “메뉴 검색 1건”이 보입니다. 원래 메뉴에서 찾으려면 “서비스->신청/확인/공유->사실/진위 확인->세대주 확인”으로 확인됩니다. 메뉴에서 이렇게 클릭해도 되는데 검색으로 들어오니 저는 좀 더 편리했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시에 세대원이 신청한 전입신고에 대해 세대주가 확인을 하는 서비스로 안내되어 있습니다. 옆의 “바로 가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 ​ ​ ​ ​ “온라인 주민등록 신고(전입·정정·재등록 등) 시 세대주 확인”으로 넘어갑니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 확인”이 필수 입력 사항이며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을 하기 위해 본인확인용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 ​ ​ ​ ​ ​ 확인을 클릭하면 바로 “본인확인 인증창”이 활성화됩니다. “간편 인증”인 페이코, 삼성 패스, KB 모바일 인증서, 카카오톡, 통신사 인증서가 있고 구 공인인증서인 “공동 인증서” 가 있는데 이 중 선택하면 됩니다. ​ ​ ​ ​ ​ ​ 제가 조회한 결과는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로 확인됩니다. 즉, 제가 살고 있는 주소에는 검색한 기간 동안 세대주나 세대원의 변화가 없다는 뜻입니다. 만약, 세대원이 전입 신청을 했다면 해당 목록이 보일 것입니다. ​ “해당목록”은 신청 일자, 민원접수번호, 민원사무명, 신청자, 본인확인 여부, 확인 일자, 상세칸이 있으며 민원사무명에 “전입신고”라고 되어 있고 상세에 “확인”버튼이 있습니다. ​ “상세”부분에 주소등 틀린부분이 있다면 신청인과 이야기해서 취소하고 다시 신청하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만일, “본인확인”을 마친 후인데 조회 시에 “본인 확인”버튼이 확인된다면 처리가 되지 않은 것이니 다시 입력해야 합니다. ​ 세대원으로 신고한 사람을 세대원으로 인정하고 세대주 확인을 하려면 상세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고 본인확인을 해주면 확인 여부와 확인 일자가 나타나고 1~2일 이내 전입신고 처리가 됩니다. ​ 전입신고 후 세대주 확인이 안된 상태로 8일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취소되니 유의해야 합니다. 전입신고 신청 후 7일 이내 세대주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기간이 지나면 다시 과정을 반복할 수 있어 확인 요청이 오면 진위 확인 후 바로 승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 ​ ​ ​ ​ 본인인증만 하면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절차이고 세대주 입장에서는 내가 모르는 사이 제3자가 세대원으로 등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어렵지 않아 간단하게 승인되지만 세대주 확인 시에 “기간별 검색”을 주의해야 합니다. ​ 3일 이전의 세대주 확인 내용은 검색 기간을 입력한 후 확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정상으로 처리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은 주민등록등본 발급이겠습니다. “정부 24″에서 간단하게 발급하거나 열람도 가능합니다. 인쇄

세대주 확인 방법(ft. 온라인)

세대주를 확인하는 경우는 보통 이사를 가서 전입신고를 하거나 세대분리를 할 때입니다. 이외에도 정부의 지원금을 받는다거나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기 위해서 세대 구성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온라인을 통해서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경로가 친숙하지 않아서 많이들 어려워하시는 부분이 있습니다. 내가 알고 싶은 건 세대주 이름 하나뿐인데, 과정이 어려우면 쉽게 할 생각이 안 듭니다. 그럼에도 아래 포스팅에서 소개하는 경로만 들어가신다면 세대주를 확인하는 것쯤은 1분도 채 안 걸립니다. 세대주란(ft. 세대주 세대원 차이) 세대주 확인 방법 세대주 확인이란? 세대주 확인은 말 그대로 세대의 주인을 확인하는 절차인데요. 요즘에는 이사를 많이 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전입신고를 하면서 세대주가 제대로 변경이 되었는지 수시로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혹시나 자칫 세대주 신청/변경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부동산 관련해서 누릴 수 있는 기본 혜택조차 놓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로, 지인이 세대주 변경을 안 해서 국민주택 넣었다가 탈락한 적이 있습니다.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대표 경우] A. 주택청약이나 아파트 매매에 필요한 자격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B. 재난지원금과 같이 정부지원금 자격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C. 자녀가 부모 집으로 편입하려고 할 때 D. 자녀가 세대분리를 해서 독립하려고 할 때 온라인으로 세대주 확인법 1. 정부 24 홈페이지 접속 2. 상단 > 서비스 클릭 3. 사실/진위 확인 클릭 4. 세대주 확인 클릭 위 4단계 경로를 통해서 세대주를 확인하는 서비스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세대주의 개인정보인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인증서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다음 화면에는 세대주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전입신고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자녀가 부모의 집으로 편입하려고 할 때 전입신고를 할 건데,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럴 때 세대주 확인 화면에 들어가셔서 확인 클릭만 하면 됩니다. 세대주 확인 안됨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 자녀가 부모 집으로 편입할 때, 부모 집으로 전입신고를 하면 부모가 세대주 확인 서비스로 들어가서 승인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고 표시가 되면서 승인할 건수가 없어서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2가지 경우인데, 하나는 자녀가 전입신고를 똑바로 하지 않았거나, 다른 하나는 기간별 검색에서 기간 설정을 최신으로 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자녀가 전입신고 후 일주일 내로 세대주분이 승인하지 않으면 전입신고가 취소됩니다. 세대주 확인 다른 방법 동사무소에 직접 방문을 하거나 등본을 발급받아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등본도 인터넷으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세대주를 확인하는 편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로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정부 24 > 메인화면 > 자주 찾는 서비스 > 주민등록등본(초본) 무주택 세대주 확인 방법 무주택이란 자신의 이름으로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무주택 세대주를 확인하는 방법 또한 위 내용과 동일합니다. 무주택 세대주가 유명해진 이유는 바로 주택청약조건과 보증금 대출 때문인데요.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그리고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기간이 긴 사람들에게 더 많은 점수를 주기 때문에 청약에 당첨될 확률이 높은 것입니다. 자녀가 있는데, 전월세 집에 살고 있는 분들이 청약 점수가 높은 이유입니다. [관련 글 더보기] 무주택자 기준(ft. 무주택 세대주) 무주택기간 확인방법(ft. 청약홈)

정부24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하는법 – 간편

반응형 전입신고는 사전적 정의로 살펴봤을 때 거주지를 옮기게 될 경우 그 사실을 관할 관청에 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전입신고가 되어있어야 하며 이사를 했음에도 전입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다른 사람이 동사무소에 신고를 하여 주민등록 말소 처리 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 주민등록이 잘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이사를 하는 경우 2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전입신고는 인터넷으로 신청이 가능하며 인터넷의 경우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전입신고를 마친 후 세대주가 있는 경우 (본인이 세대주가 아닌 경우) 옮긴 주소지의 세대주가 전입신고 확인을 해주어야 합니다. 세대주 확인이 완료되어 전입신고가 최종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정부 24 전입신고 바로가기 전입신고 방법 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온라인으로 신청 ( 공인인증서 필요) 2) 방문 신청 (읍.면.동 접수)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방법 1. 먼저 포털 검색창에 정부24를 입력하고 홈페이지 에 방문합니다. 2. 여기에서 가장 상단에 있는 메뉴 중 서비스라는 곳을 클릭한 다음 사실/진위를 클릭 합니다. 3. 사실/진위확인 메뉴에 들어와 있다면 중간 부분에 있는 세대주 확인을 클릭 합니다. 4. 세대주 확인이 끝났다면 공인인증서 등록을 통해 로그인 을 해야 합니다. 성명/주민등록번호/부정방지 입력 확인까지 입력을 하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5. 로그인 절차가 끝나면 세대주 확인 창이 뜨면 확인 을 하면 됩니다. 기간은 본인이 전입신고한 날짜를 입력하면 됩니다. 기억이 잘 안 날 경우 해당 연도 전체를 입력해도 무방합니다. 위 화면의 경우 전입신고한 이력이 없으므로 세대주확인목록이 없다고 뜨지만, 전입신고를 한 이력이 있다면 전입신고일, 신청자, 세대주 본인 확인 여부와 확인일자가 뜨게 됩니다. 정부24 세대주확인 바로가기 반응형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전입신고 세대주 동의, 전입신고 세대주 확인 주민센터, 전입신고 확인서, 세대원 확인, 민원24, 주소지 거주자 확인, 정부24, 세대주 뜻

세대주 확인 방법(정부24)

여러 이유로 인해 세대주 확인을 해야 되는 상황이 있는데요. 확인 방법은 관할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는 방법이 있지만, 굳이 방문 말고 온라인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바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세대주 확인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게요.

목차(contents)

세대주란?

세대주 확인 방법

세대주 확인 방법(정부24)

1. 세대주란?

세대주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집의 실질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하고 있는 세대원 중 가장 대표되는 사람을 세대주라고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이사를 하게 되면 가장 먼저 전입신고를 하게 되고, 기존 세대주가 있는데 다른 세대원이 편입하거나 세대 합가가 이루어지는 경우 전입하는 거주지의 세대원의 세대주 확인이 필요하답니다.

또한, 전입신고 시 세대주 확인을 통해 해당 주택이 공실상태인지 아님 다른 누군가가 전입신고를 등록하고 거주하고 있는지 세대주 확인을 받아야지 해당 주택에 전입신고가 가능하답니다.

2. 세대주 확인 방법

세대주 확인 방법은 굳이 오프라인으로 방문 없이 온라인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바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STEP 1) 홈페이지 접속 후, 자주 찾는 서비스 항목에서 주민등록등본(초본)을 선택.

출처: https://www.gov.kr

STEP 2) 발급을 선택.

출처: https://www.gov.kr

STEP 3) 회원/비회원 택 1(모두 신청 가능).

출처: https://www.gov.kr

STEP 4) 본인인증을 통한 로그인 진행(회원일 시).

출처: https://www.gov.kr

STEP 5)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선택 > 발급형태 > 수령방법(온라인발급)을 선택하신 후, 민원신청하기를 클릭.

출처: https://www.gov.kr

STEP 6) 처리상태 항목에서 문서 출력을 선택.

출처: https://www.gov.kr

STEP 7) 세대주 성명에서 세대주를 확인하고, 필요할 시 인쇄 버튼을 눌러 인쇄 진행.

참고용(출처: https://www.gov.kr)

✅ 추가 세대주 확인 방법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추가로 세대주 확인이 가능한데요.

홈페이지 접속 후, 상단 메뉴탭에서 서비스 > 사실/진위 확인 선택. 메뉴에서 세대주 확인을 선택.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하고, 본인인증 절차 완료. 세대주 확인.

출처: https://www.gov.kr

조회한 결과 세대주 확인 목록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검색한 기간 안에 세대주나 세대원의 변화가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세대원이 해당 기간 안에 전입신고를 한 경우라면 해당 목록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지금까지 세대주 확인 방법에 대한 정보였습니다. 끝.

정부24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법 자주 묻는 질문 모음 FAQ

정부24(민원24)에서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할 수가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전입신고 시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며, 별도의 신청 수수료는 없습니다. 오늘은 정부24 온라인 전입신고 관련 자주 묻는 질문을 모아봤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자주 묻는 질문

1. 용어정리 및 신청절차

▼ 전입구분

▷ 세대구성 – 단독 또는 세대원 일부(전부)가 새롭게 전입하는 곳에 세대를 구성하는 경우

▷ 세대편입 – 이사할 곳에 세대주가 있고 그 곳에 세대원으로 주소를 옮기는 경우

▷ 세대합가 – 이사할 곳에 세대주가 있고 그 곳에 주소를 옮기며 세대를 합치는 경우

▼ 전출구분

▷ 세대전부 전출 – 세대주, 세대원 모두 전입하는 경우

▷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 전출(세대주 포함) – 세대주를 포함해서 세대원 일부가 전입하는 경우 이때, 남은 세대원 중 1명을 세대주(남은 세대주)로 설정해야 함

▷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세대주 미포함) – 세대주는 그대로 있고 세대원 일부만 전입하는 경우

▼ 전출입 선택기준

▷ 세대구성, 세대전부 전출 – 우리식구가 모두 함께 이사를 갑니다.

▷ 세대구성,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 전출 – 아버지(세대주)와 함께 새로운 곳으로 이사갑니다. 어머니(남은 세대주)와 누나는 직장 때문에 이전 집에 계속 살게 되었습니다.

▷ 세대구성,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 – 누나와 저는 (둘다 세대원 ) 직장 때문에 부모님과 떨어져 새로운 곳으로 이사를 가게 되었습니다.

▷ 세대편입, 세대전부 전출 – 우리 식구 모두 함께 고모님 집으로 세대원으로 이사를 갑니다.

▷ 세대편입,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 전출 – 아버지(세대주)와 함께 고모님 집으로 이사를 가고 어머니는 이전 집에 계속 살게 되었습니다.

▷ 세대편입, 세대주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세대일부 전출 – 어머니(세대원)와 함께 고모님 집으로 이사를 가고 아버지(세대주)는 이전 집에 계속 살게 되었습니다.

▷ 세대합가, 세대전부 전출 – 결혼하여 부모님과 따로 살다가 우리가족 전부가 부모님 집에 들어갑니다. 이때 세대주변경도 함께 하려고 합니다.

▷ 세대합가,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일부 전출 – 결혼하여 부모님과 따로 살다가 세대주를 포함한 우리가족 일부가 부모님 집에 들어갑니다. 이때 세대주변경도 함께 하려고 합니다.

전입신고 용어정리

▼ 번지입력법

▷ 예) 1-1번지면 입력시 1번지 1호 기재

▼ 세대주확인과정

▷ 온라인 전입신고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세대주가 정부24(민원24)에 접속하여 상단 메뉴 중 확인서비스>세대주확인을 클릭하여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확인번호를 넣은 후 인증서를 통한 본인확인 후 이용하시면 됩니다. 세대주확인이 안된 상태로 8일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2. 온라인 전입신고

▼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시간은 어떻게 됩니까?

▷ 온라인 전입신고는 업무시간(9시~18시)에 받은 민원에 한해 즉시처리(3시간내)됩니다. 근무시간외(18시 이후, 공휴일)에 신청한 민원은 근무 시작 시간으로부터 3시간 내에 처리가 됩니다. 신청시간이 15시를 넘긴 경우, 익일에 처리될 수 도 있습니다. 이때도 근무시간기준 3시간 내 익일처리 됩니다.

▼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①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전입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세대주가 “정부24(민원24)”에 접속하여 상단 메뉴 중 [민원24 > 진위확인 > 세대주확인]을 선택합니다. <정부24 바로가기>

②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확인번호를 넣은 후 공인인증서를 통한 본인확인을 완료하시면 확인 가능한 세대주 정보가 제공됩니다.

③ 신청된 전입신고를 확인하시고 상세내역 하단의 [본인확인] 버튼을 클릭하시면 세대주 확인이 완료됩니다. 전입신고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주민등록표열람]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단, 전입신고 후 세대주확인이 안된 상태로 8일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무료로 발급 받기 (작성방법 및 선청서 양식 등)

▼ 온라인에서 전입신고시 세대주변경이 가능한가요?

▷ 세대주 변경을 하는 2가지 방법입니다.

① “세대구성,세대편입”으로 전입신고 신청 후 “주민등록정정(말소)신고”를 신청합니다.

– 전입신고시 전입구분을 “세대구성,세대편입”를 선택하고 민원신청을 합니다.

– “나의민원처리결과”에서 전입신고의 처리상태가 “처리완료”로 상태변경을 확인합니다.

– 동일주소지에서 ” 세대주 A & 세대원B ” 의 상태에서 ” 세대주B & 세대원A ” 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정부24(민원24)에서 “주민등록정정(말소)신고”를 검색 후 신청서 작성을 “세대주변경” 으로 민원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인은 신청시에 공인인증서 확인을 해주시고 변경되는 세대주나 세대원은 “정부24(민원24) 사이트 상단 >> 민원24 >> 진위확인 >> 세대주확인” 메뉴에서 공인인증서로 본인확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 세대주확인 절차가 끝난 이후 “나의민원처리결과”에서 처리상태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② “세대합가”로 전입신고 신청합니다.

– 전입지에 이미 다른 세대주A가 있는 상태에서 신청인B가 세대주가 되어야 하는 경우 B가 전입신고 신청서 작성을 다음과 같이 합니다.

– 전입신고 1단계에서 전입구분을 “세대합가(두 세대주가 하나의 세대구성)”, “전입지 세대주와의 관계”는 “본인”을 선택합니다.

– 전입신고 2단계에서 “전(前)세대주”란에 세대주A의 인적사항을 작성합니다.

– 전입신고 2단계에서 전입지란의 세대주에는 B의 인적사항을 작성한 후 B의 공인인증서로 민원신청을 합니다.

– A는 “정부24(민원24) 사이트 상단 >> 민원24 >> 진위확인 >> 세대주확인” 메뉴에서 동의하는 경우 공인인증서로 본인확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 B는 A의 세대주확인 절차가 끝난 이후 “나의민원처리결과”에서 처리상태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세대합가”로 신청하는 경우 처리기관인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처리를 위한 확인전화가 갈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세대주 변경

▼ 온라인 전입신고 신청 시,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 인가요?

① 세대구성시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이 신청하는 경우 전입지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 합니다.

② 세대편입시 전출지의 세대주 또는 세대원이 전입지의 세대원으로 세대편입을 하면 전입지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 합니다.

③ 세대편입시 세대주를 포함하여 전입하는 경우 전출지의 세대원이 신청하는 경우 전출지,전입지의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④ 세대합가시 전출지 세대주가 신청하면 전입지 전(前)세대주의 확인이 필요 합니다.

⑤ 세대합가시 세대원이 신청하면 전출지,전입지 전(前)세대주의 확인이 필요 합니다.

▼ 온라인 전입신고시 제약사항은 무엇이 있나요?

① 미성년자는 신청불가 합니다. ( 미성년자의 기준-현행 민법제4조 (성년기) 만19세로 성년)

② 온라인 신청 월1회(오프라인 불포함)만 제한 합니다 (신청일시로부터 30일이후 이용가능 합니다)

③ 확정일자는 해당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④ 주민등록증 정리는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정리합니다.

⑤ 신청인은 반드시 전입 대상자 중 한 명이여야 합니다.

⑥ 세대합가는 세대주를 포함하여 세대주 변경이 동시 진행될 경우만 가능합니다.

▼ 전입신고 내용을 잘못 기재하였습니다. 취소가 불가능한가요?

▷ 전입신고 시 잘못 기재한 사항에 대해서는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유효하지 않는 정보로 잘못 기재한 경우에는 해당기관에서 담당자가 반려 처리 한 후 재신청이 가능합니다. 유효한 정보로 기재되어 해당기관에서 담당자가 처리완료를 한 경우에는 직접 행정기관에 방문하시어 재신청 해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전입신고가 처리완료 된 경우에는 한 달 이내에 전입신고 재신청 불가)

▼ sms로 세대주 확인요청 문자를 받았는데 어떻게 확인을 해야하나요?

①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확인]이 필요한 경우 전입하고자 하는 주소지의 세대주가 “정부24(민원24)”에 접속하여 상단 메뉴 중 [민원24 > 진위확인 > 세대주확인]을 선택합니다.

②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확인번호를 넣은 후 세대주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본인확인을 완료하시면 확인 가능한 세대주 정보가 제공됩니다.

③ 신청된 전입신고를 확인하시고 상세내역 하단의 [본인확인] 버튼을 클릭하시면 세대주 확인이 완료됩니다. 전입신고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주민등록표열람]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단, 전입신고 후 세대주확인이 안된 상태로 8일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 전입신고 신청을했는데 계속 미접수로 보여집니다.

▷ 전입지 세대주의 세대원 또는 동거인으로 전입하는 경우 (세대합가 또는 다른세대로 편입으로 신청시) 전입지 세대주의 본인확인이 필요한 부분으로 전입지 세대주가 본인의 인증서로 정부24(민원24) 접속하여 세대주 확인 처리를 해야 합니다. 상단 메뉴중 민원24 > 진위확인 > 세대주확인을 클릭하여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력확인번호를 등록 후 인증서로 확인을 하면 신청한 전입신고 내역이 확인됩니다. 우측 상세부분의 확인 버튼 클릭하면 신청한 전입신고의 신청서 화면이 나타나며 하단의 본인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세대주 확인이 완료되며 처리중으로 확인 됩니다. 만약 세대주 확인이 안된 상태로 8일이 경과하면 자동 취소됩니다.

▼ 온라인 전입신고 신청 3단계에서 세대원정보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 세대원정보조회 시 자료가 없다고 나오는 경우

– 개명 또는 회원정보상 성명에 공백이 포함된 경우로 [회원정보관리-수정-성명변경] 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대원정보조회가 되지 않더라도, 하단에 입력칸이 활성화되면 직접 입력은 가능합니다.

▷세대원정보조회 시 팝업창에 로딩이 계속되는 경우

① 인터넷 창 상단에 도구 >인터넷 옵션을 선택합니다.

인터넷옵션 클릭

② 보안 탭 >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선택 후 사이트버튼 클릭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추가

③ 영역에 웹 사이트 추가( *.gov.kr) 합니다. 이 영역에 있는 모든 사이트에 대해 서버 검증(https:) 필요 – 체크 해제를 합니다.

*.gov.kr 를 추가합니다.

④ 보안 탭 > 사용자 지정수준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지정수준을 클릭

⑤ 설정에서 기타 항목에 혼합된 콘텐츠 표시를 ‘사용’에 체크합니다.

혼합된 콘텐츠 표시를 ‘사용’에 체크

⑥ 다시 인터넷 창 상단에 도구 > 호환성 보기 설정을 클릭합니다.

호환성 보기 설정을 클릭

⑦ 호환성보기 설정에서 gov.kr 를 추가합니다.

gov.kr 를 추가

3. 전입신고 완료

▼ 온라인 전입신고 처리가 완료되었는데 처리결과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전입신고 담당자가 전입처리를 완료한 후 시스템 간 자료 동기화를 위해 약간의 시간(최대 10분)이 소요됩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시면 정부24(민원24)에서 처리완료 된 전입신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처리 완료

▼ 전입신고를 완료 한 뒤에는 어떤 걸 처리해야하나요?

▷ 일반적으로 전입신고를 완료한 후에 확인하셔야 할 사항입니다. 본인 및 세대원의 상황에 맞춰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처리할 사항

– 주민등록증뒷면정리

– 자녀의 취학통지서(학교배정) 수령

② 자동차등록번호판 시.도간 변경 등록신청

– 전입신고후 14일이내 시군구 차량등록사업소에 신청

– 전국 자동차번호판은 자동으로 처리됨(ex. 00가 0000)

③ 중학교 전학(편입학) 배정신청

– 다니던 학교의 재학증명서 수령

– 지방교육청 방문 후 학교 배정

– 배정받은 학교에 배정통지서 접수

④ 고등학교전학(편입학) 배정신청(단,인문계 평준화지역)

– 고등학교배정

– 시도교육청,재적학교

▼ 전입신고 처리완료 후 주민등록등초본 신청시 [해당시군구에 존재하지 않거나 말소된 주민번호입니다]라고 확인 되고 처리가 안됩니다.

▷ 주민등록등초본 발급 관할 시군구 서버(새올행정 또는 주민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서비스가 불가 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내역의 반영여부를 확인 하실분은 “주민등록표의 열람”을 통해 확인하시고 급히 발급을 하셔야 될 경우에는 가까운 무인민원발급기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발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의 단축 URL 입니다.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등으로 공유해보세요.

http://0muwon.com/1158

공감클릭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을 ( ♡ ) 클릭 해주세요. 블로그 운영이 큰 힘이 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다음은 Bing에서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 전입신고세대주확인
  • 세대주확인
  • 전입신고확인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YouTube에서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및 세대주 쉽게 확인하는방법!! | 세대주 확인 목록 이 없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우체국 공인 인증 센터 | 달라진 공인인증서 헷갈리시죠? 깔끔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95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